메뉴 건너뛰기

고관세 뉴노멀… 협상 연장 불가피
관세 다 적용 땐 GDP 0.4% ↓ 전망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상호 관세 유예 시한 종료(8일)가 일주일 앞으로 다가오며 한국 경제가 트럼프발(發) 관세 포성의 사정권에 재진입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 관세를 추가 유예하지 않거나 유예하더라도 한국을 제외하면 다수의 대미 수출품에 15% 상호 관세가 추가된다. 한국은 현재 기본 관세(10%)와 더불어 자동차·부품(25%) 및 철강·알루미늄(50%)에 품목별 관세가 적용 중이다. 한국에 대한 국가별 25% 기본·상호 관세가 현실화하면 자동차·철강 등에 나타난 수출 타격 여파가 전 산업으로 번질 수 있다.


미국과 관세 협상을 진행하고 있는 정부는 고율의 관세가 이제 ‘뉴 노멀’(새 표준)이 됐다고 보고 있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30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그간 (세 차례) 한·미 관세 협의의 전반적 분위기는 호혜적 개방 목적의 협상이 아니었다”며 “고(高)관세라는 뉴 노멀에서 어떻게 길을 뚫을지가 협상의 주안점이었다”고 말했다. 고율의 관세 부과 자체를 철폐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협상 시한 연장이 불가피하다는 점도 내비쳤다. 이 관계자는 “아무리 협상을 잘해도 관세 부과 전 상태로 현상 유지를 할 방안은 거의 없는 게 현실”이라며 “딜(합의)은 멀다고 생각된다”고 말했다.

정부는 일단 상호 관세 추가 유예를 최대한 끌어내 미국 측 요구사항을 신중히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유예 가능성은 미국 상황이 굉장히 유동적이라 안심할 수 없다”며 “끝까지 가봐야 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미국 측이 지난 24~26일(현지시간) 3차 한·미 기술협의에서 자동차 등 품목별 관세에 대한 협상 가능성을 처음 시사한 점도 변수로 거론된다. 이 관계자는 “기존엔 미국이 상호 관세 부분만 협상이 가능하다는 입장이었다”면서도 “이번엔 우리가 제공할 수 있는 범위에 따라 품목별 관세도 들여다볼 여지가 있다는 인디케이션(암시)을 받았다”고 했다.

미국이 예정대로 관세를 부과할 경우 한국의 성장률은 막대한 타격이 불가피하다. 한국의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최대 0.4% 주저앉을 거란 국책 연구기관 분석도 나왔다.

김영귀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선임연구위원은 이날 서울 중구 포스트타워에서 열린 ‘한·미 관세 협의 관련 공청회’에서 “통상 협상에 실패할 경우 한국의 실질 GDP는 0.3~0.4%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현행 기본·상호·품목별 관세에 반도체·의약품 관세(25%) 추가까지 가정했다. 다만 김 선임연구위원은 “한·미 협상 타결로 관세가 낮아지면 실질 GDP가 0.427∼0.751% 포인트 높아질 수 있다”고 했다. 이는 실제 GDP가 증가하는 것이 아닌 축소 폭이 감소하는 효과다.

미국의 비관세 장벽 해소 및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프로젝트 참여 요구도 진통이 예상된다. 이날 한·미 관세 협의 공청회에선 “30개월 이상 미국산 쇠고기 수입 제한이 관철되도록 해 달라”(한우업계 관계자),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관련 미국과 어떤 합의 내용이 있었는지 공개해 달라”(에너지업계 관계자) 등의 이해 관계자 목소리가 이어졌다. 송영관 한국개발연구원(KDI) 선임연구위원은 “미국 측이 제시한 요구사항이 국내 농업, 산업 분야와 복잡하게 얽혀 있다”며 “정상 간 빅딜을 통해 풀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했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772 [단독] 검찰 떠나는 ‘건진법사 수사’ 신응석 지검장…“많이 어려운 시기” 랭크뉴스 2025.07.01
49771 [속보] 李대통령 “임명권력은 선출권력 존중해야…국회에 존중감 갖길” 랭크뉴스 2025.07.01
49770 “빌딩 팔아 아파트 산다" 브랜드가 된 압구정 현대아파트[비즈니스 포커스] 랭크뉴스 2025.07.01
49769 [속보]이 대통령 “부동산에 한정된 투자수단, 주식·금융시장으로 대체 흐름 자리잡아야” 랭크뉴스 2025.07.01
49768 법원, 이재명 대통령 법인카드 의혹 재판 준비기일 예정대로 진행 랭크뉴스 2025.07.01
49767 李대통령 “국회 가면 선출 권력 존중하라” 국무위원들에 지시 랭크뉴스 2025.07.01
49766 '나는 솔로' 출연 30대 남성 성폭행 혐의로 구속 송치 랭크뉴스 2025.07.01
49765 [속보] 정성호 “검찰 ‘해체’ 표현 부적절…수사-기소 분리, 국민 공감대” 랭크뉴스 2025.07.01
49764 신응석 서울남부지검장 사직‥"어려운 시기에 떠나 죄송한 마음" 랭크뉴스 2025.07.01
49763 [단독] 檢 이진동 신응석 양석조 변필건 사의… 이르면 오늘 검사장 인사 유력 랭크뉴스 2025.07.01
49762 [속보] 李대통령 "임명권력은 선출권력 존중해야…국회에 존중감 갖길" 랭크뉴스 2025.07.01
49761 예금보호한도 1억원 상향, 수영장도 신용카드 소득공제[하반기부터 달라지는 것] 랭크뉴스 2025.07.01
49760 미 관세에도 6월 수출 4.3%↑…반도체 '역대 최대' 149.7억달러(종합) 랭크뉴스 2025.07.01
49759 “떨려, 손 줘봐봐” 성악가 조수미와 김혜경 여사, 무슨 사이길래 랭크뉴스 2025.07.01
49758 [단독] ‘건진법사 수사’ 신응석 지검장, 검찰 떠난다…“많이 어려운 시기” 랭크뉴스 2025.07.01
49757 오늘부터 3단계 스트레스 DSR 시행 [달라지는 하반기] 랭크뉴스 2025.07.01
49756 나경원 “누가 바캉스래” 김병기 “에어컨 틀어드릴게” 랭크뉴스 2025.07.01
49755 정성호 “검찰 해체 표현 부적절…국민 눈높이 맞는 개혁” 랭크뉴스 2025.07.01
49754 9월부터 예금보호 5천만→1억원…오늘부터 양육비 先지급제 랭크뉴스 2025.07.01
49753 코스피, 전고점 돌파해 3130선 ‘터치’… 3년 9개월 만 랭크뉴스 2025.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