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이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 지명 철회와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직의 야당 환원 등을 요구하며 지난 27일부터 국회 본관에서 농성을 벌이고 있다. 사진은 나 의원이 인스타그램에 올린 사진. 사진 인스타그램 캡처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 지명 철회 등을 촉구하며 국회 본관에서 농성을 벌이고 있는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을 향해 같은 당에서도 ‘보여주기식 정치’라는 비판이 나왔다.

친한(친한동훈)계 김종혁 전 최고위원은 30일 페이스북을 통해 “넓고 쾌적한 국회 본청에서 최고급 같은 텐트 치고 김밥과 커피 드시면서, 화장 여부는 모르겠지만 평소와 다름없는 얼굴로 화보 찍듯 활짝 웃고 손 선풍기 앞에 놓고 책 읽고 있는데 국민들이 이걸 농성이라고 생각할까”라고 꼬집었다.

그는 “로텐더홀은 일반 국민들은 출입하기 힘든 곳이니 거기서 텐트 치고 먹을 거 먹으며 1박 경험하라면 입장료 비싸도 지원자 미어터지겠다는 생각에 쓴웃음이 났다”고 했다.

김 전 최고위원은 “나 의원은 ‘피서 왔냐’는 비판이 이어지자 ‘이재명은?’ 하면서 반박했다고 한다”며 “이재명 당시 민주당 대표의 ‘출퇴근 농성’에 대해선 나도 열심히 비판했지만 이른바 ‘피서 농성’은 솔직히 더 한심해 보인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김 후보자는 결격사유 투성이지만 국민의힘은 거기에 맞서 제대로 효율적으로 싸웠나”라며 “상대방이 꼼짝 못 하게, 국민들 속 시원하게, 논리적이고 설득력 있게 공격했냐”고 반문했다.

이어 “그런 건 제대로 못 해놓고 버스 떠난 뒤 손 흔들 듯 농성자의 고통과 결의가 전혀 느껴지지도 않게 싸움하는 시늉을 하고 있으니 한심하지 않을 수 있냐”며 “나 의원은 텐트를 걷길 바란다. 아니면 로텐더홀이 아니라 뙤약볕 내리쬐는 국회 건물 밖에서 농성하든가. 보여주기식 정치 이제 정말 그만 보고 싶다”고 덧붙였다.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이 30일 서울 여의도 국회 로텐더홀 앞에서 김민석 국무총리 지명 철회 촉구 농성 4일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뉴스1


민주당 ‘웰빙 농성’ 비판에…羅 “악의적 폄훼”

앞서 나 의원은 지난 27일 김 후보자 지명 철회 및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직 야당 환원 등을 요구하며 국회 본청에서 숙식 농성에 돌입했다. 민주당은 이들 두고 ‘웰빙 농성’이라고 칭하는 등 강하게 비판했다.

박홍근 의원은 지난 29일 페이스북에서 나 의원을 향해 “웰빙 김밥 먹고 커피 마시고 덥다고 탁상용 선풍기 틀고”라며 “캠핑 같기도 하고 바캉스 같기도 하다”라고 일침을 날렸다.

그러면서 “단식도 철야도 아닌 숙식 농성은 희귀하다”며 “늘 다음을 노리며 돋보이는 데만 급급한 자기정치병에 걸리면 백약이 소용없다”고 비난했다.

그러자 나 의원은 “박 의원은 이재명 민주당정권의 내로남불 위선의 DNA를 그대로 보여준다”며 “범죄자들이 비범죄자를 조롱하고 있다”며 강하게 받아쳤다.

나 의원은 “(2023년 8월31일) 당시 이재명 대표는 후쿠시마 오염수 선동을 하며 대놓고 음식을 먹으면서 출퇴근, 웰빙 단식을 했다”며 “국민을 조롱하던 이재명 민주당의 위선이나 제대로 돌아보라”고 했다.

30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도 나 의원을 향한 비판은 이어졌다. 한준호 최고위원은 “나 의원의 농성을 두고 ‘무더위를 피하는 캠핑’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며 “저도 농성을 해봤지만 이런 좋은 환경에서 편안하게 투쟁할 수 있는데 왜 그때 그렇게 고생을 했느냐는 생각이 든다. 역시 선수는 무시할 수 없는 것”이라고 비꼬았다.

이언주 최고위원도 “국정 과제가 산적한데 국민의힘 때문에 김 후보자 인준이 늦어지고 있다”며 “나 의원은 단식 농성이 아니라 처음 듣는 숙식 농성 중”이라고 직격했다.

비판이 잇따르자 나 의원은 이날 오후 페이스북에 글을 올리고 “민주당 의원들은 우리의 농성을 악의적으로 폄훼하고 조롱하고 있다”며 불쾌함을 드러냈다.

그러면서 농성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나 의원은 “법치를 짓밟는 독재에 맞서고 민생을 파괴하는 이 정권의 폭주를 막기 위해, 무엇보다 대한민국의 헌법과 정의를 지키기 위해 국회 농성을 이어가고 있다”며 “결코 물러서지 않겠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674 정성호 “검찰개혁, 국민에 피해 없어야”…윤호중 “경찰국 폐지” 랭크뉴스 2025.07.01
49673 트럼프의 ‘본능’이자 ‘무기’···반이민 지휘하는 39세 극우책사[시스루피플] 랭크뉴스 2025.07.01
49672 “1시간만 늦었으면 나도”···1년이 지나도, 기억은 여전했다[시청역 차량 돌진 사고 1주기] 랭크뉴스 2025.07.01
49671 "일본여행 갈 때는 오른쪽 좌석이 유리"…항공권 예약 '꿀팁' 모았다 랭크뉴스 2025.07.01
49670 “이재명 유죄” “국부 이승만”···교육과 설교 사이, 기독대안학교의 위험한 밸런스 게임 랭크뉴스 2025.07.01
49669 대통령실은 ‘협치’, 민주당은 ‘전면전’···이재명 정부의 투 트랙 전략 랭크뉴스 2025.07.01
49668 ‘검찰’ 봉욱에, ‘유임’ 송미령에···‘대선 연대’ 혁신당·진보당, 여당과 미묘한 균열 랭크뉴스 2025.07.01
49667 "귀신보다 집값이 무서워"…'고독사 주택'마저 인기라는 이 나라[글로벌 왓] 랭크뉴스 2025.07.01
49666 "트럼프, 10월 APEC 때 방한하면 김정은과 판문점 회동 가능성" 랭크뉴스 2025.07.01
49665 美 관세협상 실패땐 GDP 9조원 증발…"관세 부과 전으로 못 돌아가"[Pick코노미] 랭크뉴스 2025.07.01
49664 “8일까지 무역합의 불발 시 상호 관세 재부과”…트럼프 “일본에 관세 서한 보낼 것” 랭크뉴스 2025.07.01
49663 경기 악화에 지갑 닫는 기업… 법인카드 회원수·결제 감소세 랭크뉴스 2025.07.01
49662 [단독] 서울지하철 성범죄 10건 중 6건 '열차 내부'서... CCTV 실시간 감시 사각지대 랭크뉴스 2025.07.01
49661 "연명의료 싫다" "끝까지 받겠다"...내 결정을 가족이, 의사가 막아섰다 [유예된 죽음] 랭크뉴스 2025.07.01
49660 [단독]김건희 특검, 본격 수사 전 불법 정치자금 사건 판례 검토 랭크뉴스 2025.07.01
49659 나란히 '신뢰 회복' 외친 의정, 진정한 '시험대'는 전공의 문제 랭크뉴스 2025.07.01
49658 대출 규제 사각지대에 쏠리는 눈…강북권 풍선 효과 우려 랭크뉴스 2025.07.01
49657 '시진핑 실각설' 떠도는데... 미 싱크탱크 "관영매체서 지위 약화" 랭크뉴스 2025.07.01
49656 [속보] 미국 S&P 500·나스닥 또 최고치 경신…무역협상 낙관론 부상 랭크뉴스 2025.07.01
49655 車부품, 항공·국방까지 털린다…中 기술 유출 통로 된 3D 프린팅 랭크뉴스 2025.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