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재명 대통령과 김혜경 여사가 30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파인그라스에서 열린 문화예술계 수상자 간담회를 마치며 참석자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칸국제영화제 학생부문(라 시네프) 1등상을 수상 허가영 영화감독, 프랑스 문화예술공로훈장'코망되르'를 수훈한 조수미 성악가, 김 여사, 이 대통령, 토니상 6관왕을 석권한 뮤지컬 '어쩌면 해피엔딩' 박천휴 작가, 넷플릭스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를 연출한 김원석 감독, '로잔발레 콩쿠르'에서 우승한 박윤재 발레리노,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30일 뮤지컬 ‘어쩌면 해피엔딩’으로 토니상 6관왕을 달성한 박천휴 작가와 세계적 흥행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의 김원석 감독 등 ‘K문화’ 주역들을 만났다. 이 대통령은 이날 ‘폭싹 속았수다’를 감명 깊게 본 경험을 털어놓으며 “문화 산업이 세계적인 선도국가로 나갈 강력한 힘이 되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후 2시 용산 대통령실 청사 앞 야외정원인 파인그라스에서 ‘문화강국의 꿈, 세계로 나아가는 대한민국’ 행사를 열고 한국 문화예술의 국제적 위상을 높인 K컬처 주역들을 초청해 격려했다.

이날 행사에는 박 작가와 김 감독 이외에도 중단편 영화 ‘첫여름’으로 칸국제영화제 라시네프(시네파운데이션) 1등 상을 거머쥔 허가영 감독, 지난 5월 프랑스 문화예술훈장 최고등급 코망되르 훈장을 받은 조수미 소프라노, 한국 남자 무용수 최초로 로잔발레콩쿠르에서 우승한 박윤재 발레리노도 함께했다.

이재명 대통령과 김혜경 여사가 30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파인그라스에서 문화예술계 수상자들과 간담회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 대통령은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의 팬으로, 시청 도중 눈물을 흘린 일화가 대선 기간 화제가 된 바 있다. 그는 대선 경선 후보 시절이던 지난 4월 18일 대구 북구 소재 협동조합에서 열린 웹툰 진흥 간담회에 참석해“하나만 보고 말아야지, 휙휙 돌려보려고 했는데 폭삭 빠졌다. 눈물이 너무 많이 나는데 아내한테 들키면 안 되니 몰래 우느라 고생했다”며 “이게 바로 문화의 힘”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폭싹 속았수다’를 본 소감에 대해 “어떻게 하면 먹고 살길을 만들까 고민하던 중 주말에 몰아보다 놀랐다”며 “드라마를 산업으로 키우면 대한민국을 세계에 드러내는 계기가 될 것이란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드라마에 나오는) 고부갈등, 남존여비의 가부장적 문화 등에 대해 우리는 공감하지만 세계 사람들이 공감할 수 있을까 싶었다”며 “그런데 남미와 유럽에서도 호평받았다고 하니 정말 큰 가능성이 있겠다고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걸 어떻게 하면 키우고, 일자리도 만들고, 대한민국의 국력도 키우는 수가 될지 계속 고민하게 됐다"며 "'폭싹 속았수다'가 많은 가능성을 보여준 것 같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결국 섬세한 표현력 (때문이) 아니겠나”라며 “이런 게 우리의 실력”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드라마를 보며) 운 이유가 당연히 갱년기여서 그런 것인가 했는데, 그게 아닌 듯하다”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제가 좋아하는 김구 선생님이 ‘무력은 우리를 지키는 힘 정도면 충분하고, 경제적 부는 우리가 잘 먹고 잘사는 것 정도면 충분하다. 그러나 문화는 세상에 선한 영향력을 일으킨다. 강한 문화력을 갖는 것이 소망‘이라고 얘기했다”며 “우리가 김구 선생님이 말한 문화강국의 초입에 서 있는 것 같다”고 평가했다.

이어 “국가 전체적으로 문화에 투자하고 산업도 키운다면 세계적인 문화 선도 국가로 갈 수 있지 않겠나, 이 생각을 하면 뿌듯하다”고 말했다.

이 과정에서 이 대통령은 웃으며 “내가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못 뽑고 있다”며 “이걸 다 할 수 있는 사람이 해야 하는데 (인선이 쉽지 않다) 여러분도 고민해달라”고 말하기도 했다.

이 대통령과 함께 이날 행사에 참석한 부인 김혜경 여사는 “제가 먼저 드라마를 울며불며 보고서, 이후 (이 대통령과) 함께 본다”고 전했다.

김 여사는 ‘이 대통령이 어느 대목에서 눈물을 보인 것이냐’는 질문에 “아마도 주인공 애순이를 보면서 우리 현대사의 어머니와 누이를 생각했던 거 같다”며 “특히 하늘나라 가신 시누의 어릴 때 아명이 애자였다고 한다. 그래서 그런 것이 연상돼서 아마 눈물샘이 자극되지 않았나 싶다”고 설명했다.

김원석 감독은 “저는 초대된 다섯 분 중에 유일하게 상을 받지 않고 자리에 있다”면서도 “대통령 내외 분 눈물이 상이었던 것 같다”고 화답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175 [속보] 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2.2%… 두 달 만에 다시 2% 랭크뉴스 2025.07.02
50174 [고정애의 시시각각] 공직이 당직인가 랭크뉴스 2025.07.02
50173 화장품도 '키링'으로…요즘 애들의 뷰티 활용법 랭크뉴스 2025.07.02
50172 "더워서 생수 한 병 샀다가 통장 다 털렸다"…'워터보이즈' 주의보 뜬 美, 무슨 일? 랭크뉴스 2025.07.02
50171 서북도서 北 기습상륙 대응은…백령도·연평도 ‘전략무기’ 배치[이현호의 밀리터리!톡] 랭크뉴스 2025.07.02
50170 [속보]'영끌' 원천봉쇄…금융위 "'연소득 내' 신용대출에 카드론 포함" 랭크뉴스 2025.07.02
50169 '사랑과 전쟁' 온탕과 냉탕 오간 미국-이란 70년 역사 [중동전쟁②] 랭크뉴스 2025.07.02
50168 임은정 김태훈 등 윤석열 정부 때 찍힌 검사들 화려하게 부활 랭크뉴스 2025.07.02
50167 [단독] 최태원 아들 최인근, SK E&S 휴직... 스타트업 준비 랭크뉴스 2025.07.02
50166 다자녀 가구엔 ‘반값 혜택’이 뒤따르지···두산·LG·키움 경기 직관 ‘꿀팁’ 랭크뉴스 2025.07.02
50165 내년도 최저임금 합의 실패…노 “1만1260원”, 사 “1만110원” 랭크뉴스 2025.07.02
50164 [단독]‘자격미달 업체’ 용역보고서···전남, 알고도 ‘전남도기록원’ 부지 선정 랭크뉴스 2025.07.02
50163 “아 더워”…낮 최고기온 36도까지 오른다, 열대야도 계속 랭크뉴스 2025.07.02
50162 [단독] 신혼 버팀목대출 기준 상향도 취소…"왜 서민 대출 줄이나" 부글 랭크뉴스 2025.07.02
50161 9월부터 예금 1억까지 보호…단통법 10년 만에 폐지 랭크뉴스 2025.07.02
50160 이 대통령 “부처의 왕 노릇”···통합·분리 반복된 기재부, 중요한 것은 ‘운용의 묘’ 랭크뉴스 2025.07.02
50159 [단독] 윤 관저 유령건물 공사비 ‘1억 공백’…자금 출처로 국정원 거론 랭크뉴스 2025.07.02
50158 “소득·부동산·부모”…20대부터 쌓이는 부의 속도가 다른 이유 [잇슈 머니] 랭크뉴스 2025.07.02
50157 지하철서 '엄카' 찍고 출퇴근한 40대 아들…1800만원 물게 됐다 랭크뉴스 2025.07.02
50156 [단독] "월 10만원씩 18년 내면 5000만원"…국정위, 아이펀드 추진 랭크뉴스 2025.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