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넷플릭스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가 제주를 배경으로 한 이전 드라마들과 달리 제주의 고유문화와 생활 정서에 대한 관심을 크게 끌어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제주관광공사는 ‘데이터로 보는 제주여행-폭싹 속았수다 편’을 발간했다. 드라마 방영 이후 소셜미디어 데이터와 내비게이션 데이터를 통해 제주 문화콘텐츠에 대한 관심 변화를 분석했다.

연관어 분석 결과 ‘폭싹 속았수다’는 ‘웰컴투 삼달리’ ‘우리들의 블루스’ 등 기존 제주 배경 드라마들과 다른 방식으로 제주의 매력을 전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두 작품은 오조포구·안돌오름·광치기 해변·가파도·비양도·오일장 등 촬영지 중심의 연관어가 주로 나타나 제주를 주로 장소적 관점에서 ‘여행지’로 소비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폭싹 속았수다’는 제주·성산일출봉·유채꽃밭 등 실제 장소와 함께 해녀·방언·문화·시대극 등 제주의 고유문화와 정서를 반영하는 연관어가 다수 등장했다. 제주를 극 속 등장인물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전달하면서 제주인의 삶에 대한 관심을 끌어올린 것이다.

특히 해녀는 드라마 공개 시점을 기점으로 키워드 검색수가 급증했다. 해녀 언급량을 보면 드라마 방영 직전인 2025년 1~2월 평균 5000건 수준에서, 드라마가 방영된 3월 7460건으로 41% 증가했다.

4월에는 6791건, 5월에도 7072건을 기록하며 높은 관심을 유지했다. 연관 키워드 역시 기존의 음식·식당 중심에서 엄마·삶·이야기 등 정서적 단어들로 변화하며 해녀가 제주의 문화적 상징으로 재조명되는 흐름을 확인했다.

드라마에 등장한 제주 고유의 말투와 표현이 화제를 모으면서 제주 방언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

유튜브에서는 2025년 3월과 4월 제주 방언을 다룬 콘텐츠가 각각 26편, 32편 업로드됐다. 4월 한 달 동안 누적 조회수가 220만회에 달해 제주어에 대한 호기심이 콘텐츠로 확산되는 경향을 보였다.

드라마 주요 촬영지였던 김녕해수욕장과 제주목관아에 대한 관심도 증가했다. 김녕해수욕장의 차량 도착 수는 방영 직전인 올해 1~2월 2442대에서 방영 직후인 3~4월 4775대로 96% 증가했다. 이 기간 온라인 언급량도 1814건에서 2602건으로 43% 늘었다.

제주목관아 역시 차량 도착 수가 198대에서 347대로 75%, 언급량은 514건에서 744건으로 4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관광공사 관계자는 “폭싹 속았수다는 제주의 자연뿐 아니라 역사나 사람들의 삶을 진정성 있게 담아낸 콘텐츠로 제주를 이야기와 정서가 있는 공간으로 재인식하게 한 계기였다”고 말했다.

제주관광공사는 ‘폭싹 속아수다’ 등 제주의 고유한 매력을 담은 콘텐츠를 활용해 글로벌 마케팅을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이번 자료는 제주관광빅데이터 서비스플랫폼 내 자료실에서 볼 수 있다.

‘폭싹 속았수다’는 1950년대부터 2025년까지 오애순(아이유)과 양관식(박보검)의 일생을 사계절로 풀어낸 16부작 드라마다. 넷플릭스에서 올해 3월 7일 첫 방영됐다. 제목은 제주도 방언으로 ‘수고 많으셨습니다’라는 뜻이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706 불법계엄 연루 인물 중 가장 늦게···조지호 경찰청장 탄핵심판, 오늘 첫 심리 랭크뉴스 2025.07.01
49705 자사주 매입도 무용지물... 시총 10위 밖으로 밀려난 셀트리온 랭크뉴스 2025.07.01
49704 해바라기 "사랑은 줄 때도 받을 때도 행복, 평생 노래한 이유죠" 랭크뉴스 2025.07.01
49703 진용 갖춘 법무·민정‥'검찰 개혁' 방향은? [모닝콜] 랭크뉴스 2025.07.01
49702 대낮에 나체로 돌아다니던 50대 여성, 80대 모친 살해 혐의로 긴급 체포 랭크뉴스 2025.07.01
49701 미국인 신분 도용해 원격취업…美, '北노트북 농장' 29곳 적발 랭크뉴스 2025.07.01
49700 [단독] AI·에너지 산업에 보조금…‘한국판 IRA’ 추진한다 랭크뉴스 2025.07.01
49699 “물들어올때 노 저어야”…상법개정안 오늘 법사위 상정 랭크뉴스 2025.07.01
49698 벌써 취임 한 달?‥'100일' 안 기다리고 첫 회견 랭크뉴스 2025.07.01
49697 "여자도 군 입대해야지"…7월부터 여성도 '징병'한다는 덴마크 랭크뉴스 2025.07.01
49696 “한국 때문에 피해본다”…약값까지 압박하는 미국[이태규의 워싱턴 플레이북] 랭크뉴스 2025.07.01
49695 그물 내리다가 발이···군산 앞바다서 외국인 선원 실종, 해경 함정·항공기 수색 랭크뉴스 2025.07.01
49694 이재명 정부, K방산 이끌 수장…차기 방사청장 후보군은[이현호의 밀리터리!톡] 랭크뉴스 2025.07.01
49693 윤 사실상 '버티기' 돌입‥체포영장 '만지작' 랭크뉴스 2025.07.01
49692 [2025 하반기 부동산 전망]① “한강벨트 집값 조정될 것, 초양극화·풍선효과 우려도” 랭크뉴스 2025.07.01
49691 무역협상 낙관론 확산…미국 S&P 500·나스닥 또 최고치 경신 랭크뉴스 2025.07.01
49690 [단독] 러-우 전쟁 이후 첫 러시아 발레단 내한공연에 우크라 대사관 중단 요청 랭크뉴스 2025.07.01
49689 [단독] 경상대 의대, ‘저소득층 지역인재’ 전형 3년 누락…교육부는 방관 랭크뉴스 2025.07.01
49688 [단독] 전영현, 엔비디아와 HBM3E 12단 공급 논의… 삼성 '반격' 본격화 랭크뉴스 2025.07.01
49687 나경원은 왜 국회에 텐트를 쳤을까···‘야당’ 한 달, 국힘의 쇄신은 몇 점?[점선면] 랭크뉴스 2025.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