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이 4월경부터 북방한계선 등 전선지역 수 개소에서 다수병력을 투입해 경계력 보강 일환 불모지 조성, 지뢰매설, 전술도로 보강, 대전차 방벽으로 보이는 미상 구조물 설치 등 다양한 형태의 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18일 밝혔다. 사진은 대규모 북한군이 전선지역에 투입된 모습 . 뉴스1
북한이 지난 25일 유엔사령부 측에 최전방의 작업을 재개하겠다는 통지를 한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해 10월 북한이 남북 연결 도로를 폭파하기 전 유엔사 측에 통지문을 보낸 지 8개월 만이다. 동시에 북한은 자국 주민들의 송환 방식 여부엔 답을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북한이 한·미 새 정부를 떠보기 위해 ‘선택적 소통’에 나선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정부, 긍정 신호에 무게…"메시지 보낸 자체 의미"
30일 국방부에 따르면 북한 군 당국은 이달 25일 통지문 형식으로 유엔사에 비무장지대(DMZ) 안의 기존 작업을 재개하겠다고 통보했다. 북한은 지난해 초부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남북 단절 지시에 따라 군사분계선(MDL) 일대를 따라 지뢰를 매설하고 철조망과 전술 도로 등을 조성하고 있는데, 이 작업을 계속 진행하겠다고 알린 것이다. 북한은 서부·중부·동부 전선 주요 도로의 축선엔 대전차 방벽을 쌓고 있다.

군에 따르면 이런 단절 작업은 지난 겨울 동계 훈련 동원 등을 이유로 뜸해졌다가 최근 일부 재개 됐다. 유엔사 통지 이후 접적 지역에서 하루 1000여명이 작업을 하고 있다는 게 군의 설명이다. 수천~1만명이 작업을 하던 이전보다는 적은 인원이지만, 재개 직전 유엔사에 통지문을 보낸 건 이례적인 반응으로 볼 수 있다.

당장 정부는 긍정적인 신호라는 데 무게를 뒀다. 국방부는 30일 북한의 통지 사실을 확인하면서 “이번 북한의 통지는 남북 간 긴장 완화와 관련된 의미 있는 메시지로 볼 수도 있으나, 아직까지 예단하기는 어렵다”면서 “우리 군은 긴장 완화와 우발적 충돌 방지를 위해 지속 노력할 것”이라고도 했다. 이어 국방부 관계자는 기자들과 만나 “북한이 내용과 메시지 보낸 것 자체를 의미 있다고 본 것”이라고 부연했다.

국방부가 유엔사와 북한 간 소통을 직접 확인하면서 ‘남북 간 긴장 완화와 관련된 의미 있는 메시지’란 해석까지 단 건 이례적이다. 북한은 지난해 10월 9일 동·서해 남북 연결도로를 물리적으로 폭파하기에 앞서 유엔사에 관련 통지를 한 적이 있다. 당시 국방부는 “세부 내용은 밝힐 수 없다”고만 했다.

이는 정부 내 달라진 기류를 반영한다는 해석이다. 이재명 정부는 9·19 남북군사합의 복원 방침 등을 비롯한 대북 유화 기조를 밝혔는데, 이에 따라 대북 확성기 방송도 먼저 중단했다. 정부는 이를 통해 북한의 대남 확성기 방송 중단도 이끌어냈다고 자평하고 있다. 유엔사도 이번 통지에 대해 “구체적인 상황은 언급하지 않겠다”면서도 “사전 통지는 오해와 착오의 위험성을 완화하는데 유용하다”며 북한의 소통 시도 자체는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취지의 입장을 냈다.



"북한 주민 송환 관련 내용 없어"
2011년 2월 서해상에 표류해 남하한 북한의 소형 목선을 해경 함정이 북한에 인계하기 위해 끌고 가고 있다. 당시 북한 주민 31명이 어선을 타고 연평도 해상으로 남하했다가 이 중 4명이 귀순하고 27명은 북한으로 돌아갔다. 연합뉴스
다만 근본적으로 이번 통지문이 MDL 내 지뢰 매설 등 대남 적대 조치를 재개한다는 내용이란 점에서 이를 곧바로 대화 신호로 받아 들이기엔 무리수라는 지적도 있다. 북한의 이번 통지가 남북 관계 단절의 방향성은 유지하되 저강도의 소통부터 한·미의 반응을 봐가며 향후 대응 수위를 결정해가려는 것일 수 있다는 해석이다.

특히 북한은 남측에 표류해 온 북한 주민 6명(서해 2명, 동해 4명)이 송환을 원하는 데 대한 입장은 이번 통지문에 포함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엔사가 지난 4월부터 꾸준히 주민들의 귀환 의지를 북측에 알린 점을 고려하면 해석에 따라 주민들을 받을 생각이 없다는 의미로도 볼 수 있는 대목이다.

북한의 관심사는 남북 대화 재개 보다는 도널드 트럼프 2기 미 행정부의 반응을 떠보려는 데 맞춰져 있을 수 있다. 북한은 트럼프 대통령의 친서 수령은 거절하면서도 트럼프에 대한 직접 비판은 피해 왔는데, 통지문을 통해 미측과의 대화 재개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일종의 ‘간보기’를 시도하는 것일 수는 있다는 해석이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711 “형이라고 생각하고 편하게…” 李, 유머·공감·메모하며 소통 랭크뉴스 2025.07.01
49710 "10초도 못 서 있어"‥'러브버그' 공포 언제까지 랭크뉴스 2025.07.01
49709 [단독] 이진숙 교육장관 후보자 하루 만에 친정서 “지명 철회하라” 공개 반발 랭크뉴스 2025.07.01
49708 "오늘 무조건 신청해야겠네"…'月 70만원' 넣으면 5년 뒤 5000만원 꽂힌다 랭크뉴스 2025.07.01
49707 글로벌 ‘산업 보조금’ 각축 한국 가세…잃어버린 ‘윤석열 3년’ 극복할까 랭크뉴스 2025.07.01
49706 불법계엄 연루 인물 중 가장 늦게···조지호 경찰청장 탄핵심판, 오늘 첫 심리 랭크뉴스 2025.07.01
49705 자사주 매입도 무용지물... 시총 10위 밖으로 밀려난 셀트리온 랭크뉴스 2025.07.01
49704 해바라기 "사랑은 줄 때도 받을 때도 행복, 평생 노래한 이유죠" 랭크뉴스 2025.07.01
49703 진용 갖춘 법무·민정‥'검찰 개혁' 방향은? [모닝콜] 랭크뉴스 2025.07.01
49702 대낮에 나체로 돌아다니던 50대 여성, 80대 모친 살해 혐의로 긴급 체포 랭크뉴스 2025.07.01
49701 미국인 신분 도용해 원격취업…美, '北노트북 농장' 29곳 적발 랭크뉴스 2025.07.01
49700 [단독] AI·에너지 산업에 보조금…‘한국판 IRA’ 추진한다 랭크뉴스 2025.07.01
49699 “물들어올때 노 저어야”…상법개정안 오늘 법사위 상정 랭크뉴스 2025.07.01
49698 벌써 취임 한 달?‥'100일' 안 기다리고 첫 회견 랭크뉴스 2025.07.01
49697 "여자도 군 입대해야지"…7월부터 여성도 '징병'한다는 덴마크 랭크뉴스 2025.07.01
49696 “한국 때문에 피해본다”…약값까지 압박하는 미국[이태규의 워싱턴 플레이북] 랭크뉴스 2025.07.01
49695 그물 내리다가 발이···군산 앞바다서 외국인 선원 실종, 해경 함정·항공기 수색 랭크뉴스 2025.07.01
49694 이재명 정부, K방산 이끌 수장…차기 방사청장 후보군은[이현호의 밀리터리!톡] 랭크뉴스 2025.07.01
49693 윤 사실상 '버티기' 돌입‥체포영장 '만지작' 랭크뉴스 2025.07.01
49692 [2025 하반기 부동산 전망]① “한강벨트 집값 조정될 것, 초양극화·풍선효과 우려도” 랭크뉴스 2025.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