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KBS가 입수한 황의조 항소이유서.

항소이유서 속 황의조 선수는 ‘회귀’를 꿈꾸고 있었습니다. 정확히는 축구 국가대표 선수로 ‘복귀’를 노리고 있었습니다.

총 93페이지 분량의 항소이유서에는 ‘불법 촬영 혐의’로 수사와 재판을 받기 전, ‘태극마크’를 단 축구 국가대표 선수로 돌아가고 싶어하는 황 씨의 생각이 자세히 들어 있었습니다.

■“국가대표로서의 삶을 잘 마무리하고 싶어”

황 씨는 항소이유서에서 축구 국가대표가 자신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 강조했습니다.

우선, 황 씨는 17살 때부터 국가대표로 활동하면서 ‘국위선양’에 기여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축구 국가대표 경기의 득점 이력과 2022년 월드컵 16강 진출에 기여하는 등 국가대표로서 활동 기록을 열거했습니다.

이어 황 씨는 “축구 국가대표 선수로 활동하는 것이 평생의 꿈이었다”면서 “국가대표 선수로서 국가와 국민에게 기쁨을 줬다는 게 일생의 보람이었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자신의 재판 결과가 확정되면 더 이상 국가대표를 못 하게 된다고 강조했습니다.

축구 국가대표 운영 규정을 거론하며 “원심의 양형(징역 1년 집행유예 2년)이 그대로 확정될 경우 만 32세인 피고인(황의조)으로서는 축구 국가대표 선수로의 삶은 사실상 종지부를 찍게 된다”고 적었습니다.

축구국가대표 운영규정. 그래픽 : 김성일

■‘실형·집행유예’면 국가대표 선발 불가능

황 씨는 ‘불법 촬영 혐의’로 수사가 본격화되자 국가대표팀에서 잠정 배제됐습니다.

축구협회는 당초 ‘명확한 사실관계가 확인된 게 없다’면서 처분을 미뤘지만, 2023년 말 황 씨를 국가대표로 선발하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

문제는 이 상태가 지속되면 황 씨는 최소 몇 년간 국가대표가 될 수 없다는 점입니다.

축구협회의 축구국가대표팀 운영 규정 17조(징계 및 결격사유)는 ‘금고 이상의 실형을 받고, 그 집행이 종료되거나 집행을 받지 아니하기로 확정된 후 5년이 경과하지 아니한 자’ 또는 ‘금고 이상의 형의 집행유예 기간이 끝난 날로부터 2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는 국가대표가 될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황 씨가 1심처럼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 형이 확정되면, 집행유예 기간(2년)이 끝나고 2년 후에야 다시 국가대표가 될 수 있습니다.

실형이 선고되면 실형 기간이 끝난 5년 후에야 태극마크를 달 수 있습니다.

1심에서 불법 촬영 혐의를 자백한 황 씨에게 무죄가 나오기는 힘든 게 사실입니다. 황 씨가 국가대표로 선발될 수 있는 경우는 법원에서 벌금형 혹은 선고유예 처분을 받는 길 뿐입니다.

검찰 출신 한 변호사는 취재진에게 “특별한 증거가 나와 사실관계가 달라지지 않는 한 무죄는 쉽지 않을 것 같다”면서 “선고유예나 벌금형은 성범죄 피해자 측과 합의, 그로 인한 피해자 용서가 있어야만 이뤄질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대표팀 중심·기둥 역할 해야 하는 상황”

황 씨는 항소이유서에 ‘월드컵’을 거론했습니다.

항소이유서에서 황 씨는 “내년에는 2026 FIFA 북중미 월드컵이 예정돼 있다”면서 “황 씨로서는 대한민국의 간판 스트라이커이자 선배로서, 후배들에게 노하우를 전달해 줘야 할 뿐 아니라 팀의 중심이자 기둥 역할을 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밝혔습니다.

황의조 항소이유서 일부. 그래픽 : 김성일

이어 “현재 국가대표 소집 명단에 포함된 공격수들은 황 씨에 비해 많이 어리거나 경험이 부족한 선수들”이라면서, “(황 씨가) 향후 국가대표팀에 승선하게 된다면 선배로서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는 상황”이라고도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최대한의 선처를 해주시어, 국가대표로서의 삶을 잘 마무리할 수 있도록 한 번의 기회를 주실 것을 부탁드린다”면서 “최대한 관대한 처분을 내려달라”고 호소했습니다.

[연관기사][단독] ‘불법 촬영’ 황의조 “북중미월드컵 출전, 기둥 역할 원해”…항소이유서 입수 (2025. 06. 21. ‘KBS 뉴스9’)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8284447

■“4,559개 게시물, 321개 유튜브 영상 삭제”

아울러 황 씨는 외부 업체에 의뢰해 관련 불법 촬영 영상을 온라인 공간에서 지속적으로 없애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항소이유서에서 황 씨는 2023년 7월부터 올해 6월 말까지 전문 업체에 3억 원 넘는 비용을 지불하며, 동영상 삭제 작업을 진행해 왔다고 밝혔습니다.

황 씨는 2023년 7월 1일부터 지난해 9월 15일까지 불법 촬영 게시물 4,559개를 지웠고, 유튜브 영상 321개를 삭제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온라인상 황 씨의 불법 촬영물 삭제 여부는 항소심 재판부(서울중앙지법 형사항소1-3부)가 묻는 내용이기도 합니다.

지난 19일, 황 씨의 항소심 첫 공판에서 재판부는 “지금도 삭제해야 할 정도로 유포되고 있나요?”라고 물었습니다.

황의조 불법 촬영 혐의 항소심 첫 공판 中 (6월 19일)

재판부
“참고 자료로 게시물 삭제 리포트와 탄원서 등을 냈는데, 영상과 관련해 유포가 안 되게 노력했다는 취지인가요?”

황의조 측 변호사
“과거에도 노력했고, 지금도 삭제하고 있다는 취지입니다.”

재판부
“지금도 계속 삭제해야 할 정도로 유포되고 있나요?”

황의조 측 변호사
“그건 아닌데, 지속적으로 노력한다는 취지입니다.”

■“다행스럽게 피해자 식별 안 돼”…피해자 측, 엄벌 촉구

지난 19일 항소심 첫 공판에 출석하는 축구선수 황의조. 출처 : 연합뉴스

황 씨는 특히 영상물 속 피해자가 식별되지 않는다고 강조했습니다.

항소이유서에서 황 씨는 “무척이나 다행스럽게도 황 씨의 얼굴만 노출됐을 뿐, 피해자들의 얼굴은 노출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피해자 측은 피해자 식별이 되지 않는다는 황 씨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았습니다.

피해자 대리인 측은 항소심 첫 공판기일에 “황 씨는 수사 단계에서 불법 촬영 혐의를 부인했다”면서, “정작 지금 ‘그 사람이 아닐 수 있다’는 걸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느냐. 다른 피해자가 있다는 것이냐”고 황 씨에게 따져 물었습니다.

피고인석에 앉은 황 씨는 고개를 숙였습니다.

피해자 측은 “피해자는 황 씨를 용서하지 못 한다는 입장”이라며 다시 한번 엄벌을 촉구했습니다.

황 씨 측 변호사는 이에 대해 “저희는 잘못을 다 시인하고 있고, 다만 피해자 신원이 드러나지 않아 피해가 확대되지 않았다고 주장하는 것이다”라면서 “결코 무죄를 다투거나 하는 것은 아니”라고 덧붙였습니다.

재판부는 다음 달 24일 재판을 더 열고 변론을 종결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다음 재판에서 황 씨는 최종 의견 진술을 할 예정입니다.

지난해 12월, 1심 선고 전 결심 공판에서 검찰은 황 씨에게 징역 4년을 선고해달라고 법원에 요청했습니다. 황 씨는 최후진술에서 “이번에 한해 선처해 주시면 감사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이후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 형이 부당하다며 항소한 황 씨. 피해자는 여전히 엄벌을 요구하는데, 황 씨는 축구 국가대표 복귀까지 꿈꾸고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656 [속보] 미국 S&P 500·나스닥 또 최고치 경신…무역협상 낙관론 부상 랭크뉴스 2025.07.01
49655 車부품, 항공·국방까지 털린다…中 기술 유출 통로 된 3D 프린팅 랭크뉴스 2025.07.01
49654 방에 다시 숨어든 '쉬었음' 청년… "민관 참여하는 패키지 대책 필요" 랭크뉴스 2025.07.01
49653 "尹정부서 후퇴"…국민참여예산 3년간 감소세 랭크뉴스 2025.07.01
49652 [단독] 주한 러시아 대사, 대선 때 친명 중진에 '특사 파견' 타진했다 랭크뉴스 2025.07.01
49651 이준석·권영국 득표율, 청년 거주 비율 높은 지역일수록 올라 랭크뉴스 2025.07.01
49650 이재명 힌트 주자 2조 몰렸다…"생활비로 쓰라" 배당주 꿀팁5 랭크뉴스 2025.07.01
49649 [2보] 미국 S&P 500·나스닥 또 최고치 경신…무역협상 낙관론 부상 랭크뉴스 2025.07.01
49648 대한민국 결정적 순간 60장면, 그 첫 번째는 87년 넥타이부대 [창간 60년 연중기획①] 랭크뉴스 2025.07.01
49647 지난 대선, 국민의힘에 실망한 만큼 민주당 지지 늘지는 못했다 랭크뉴스 2025.07.01
49646 "폭염에 철골 구조물 파리 에펠탑 20㎝ 변형 가능성" 랭크뉴스 2025.07.01
49645 [단독] 정부, 5강 주재대사에 "2주 내 귀국하라" 지시 랭크뉴스 2025.07.01
49644 WHO "외로움과 사회적 고립으로 매시간 약 100명 사망" 랭크뉴스 2025.07.01
49643 한은 "관세협상 실패로 관세전쟁 격화땐 美경제 타격 더클 수도" 랭크뉴스 2025.07.01
49642 [뉴욕유가] OPEC+ 공급 우려 속 나흘만에 하락…WTI, 0.6%↓ 랭크뉴스 2025.07.01
49641 美제약업계, 美정부에 "무역협상 지렛대로 韓약값정책 개선하라" 랭크뉴스 2025.07.01
49640 챗GPT에 밀린 신입사원…"일자리 3분의1 사라졌다" 충격 결과 랭크뉴스 2025.07.01
49639 AI발 구직난 현실화···“챗GPT 출시 이후 신입사원 일자리 3분의 1 사라져” 랭크뉴스 2025.07.01
49638 강경한 특검 “체포영장 그다음 될 수도”…尹 ‘5일 이후 연기 요청’ 거부 랭크뉴스 2025.07.01
49637 與 박선원 "드론사령관이 '평양 무인기' 직접 지시했단 제보 확보" 랭크뉴스 2025.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