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난 24일 오후 경기도 성남시 분당수서간 고속화도로에서 분당방향으로 주행중이던 벤츠 차량에서 불이 났다. 당시 한 시민이 소화기로 화재 진압을 한 뒤 신호봉으로 교통 통제를 했는데 제27대 성남소방서 서장을 지낸 이점동씨로 확인됐다. 동그라미 속 차량 진입을 막는 사람이 이점동 전 서장이다. 사진 경기도소방재난본부
지난 24일 오후 6시33분쯤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분당-수서 고속화도로 분당 방향. 도로를 달리던 흰색 벤츠 차량 엔진룸에서 하얀색 연기가 올라왔다. 놀란 벤츠 차량 주인 A씨는 다급하게 갓길에 차를 세우고 밖으로 나왔다. 하얀색 연기는 불꽃으로 바뀌더니 차량은 곧 불길에 휩싸였다. 방음벽 일부가 그을릴 정도로 불길이 치솟으면서 인근 도로 1㎞가 정체됐다.

그때 한 운전자가 소화기를 들고나와 불을 끄기 시작했다. 불길이 어느 정도 진정되자 이 남성은 신호봉을 들고 2차 사고를 막고 불이 난 갓길 쪽에 있는 3차선 도로 진입을 통제했다.

벤츠 차량의 불은 곧바로 출동한 소방관들에 의해 10분 만에 꺼졌다. 초기 진화에 나선 시민의 정체를 확인한 소방관들은 깜짝 놀랐다. 제27대 성남소방서장을 지낸 이점동(64) 전 서장이었다.
지난 24일 오후 경기도 성남시 분당수서간 고속화도로에서 분당방향으로 주행중이던 벤츠 차량에서 불이 났다. 당시 한 시민이 소화기로 화재 진압을 한 뒤 신호봉으로 교통 통제를 했는데 제27대 성남소방서 서장을 지낸 이점동씨로 확인됐다. 동그라미 속 차량 진입을 막는 사람이 이점동 전 서장이다. 사진 경기도소방재난본부

전직 소방서장이 고속화도로에서 불에 탄 차량을 초기 진압한 사실이 29일 알려졌다. 경기도소방재난본부 등에 따르면 퇴직한 뒤 민간 소방·설비·감리업체에서 일하는 이 전 서장은 퇴근하던 중 앞차들이 갑자기 서행하는 것에 이상함을 느꼈다. 그러다 멀리서 차에서 하얀색 연기와 함께 불길이 치솟는 것을 발견했다. 그는 즉시 비상등을 켜고 갓길에 차를 세운 뒤 트렁크에 있는 3.3㎏ 상당의 소화기를 들고 현장으로 달려갔다.

불길은 엔진룸은 물론 운전석과 보조석까지 태우며 몸집을 불리고 있었다. 차량 운전자 A씨도 소화기를 들고 달려오는 이 전 서장에게 “차가 폭발할 수도 있다”며 진입을 만류했다. 그러다 이 전 서장이 “소방관 출신”이라고 하자 비켜섰다고 한다. 이 전 서장은 소화기를 작동해 불을 끄는 한편 소방서에 연락해 정확한 위치를 설명하며 출동을 요청했다. 당시 사고로 접수된 신고 전화만 25건에 이른다고 한다.

이 전 서장의 빠른 대처로 초반 불길은 80% 정도 잡혔다. 그러나 소화액이 약해지자 화염도 커지기 시작했다. 119 상담원에게서 “소방차가 출동했다”는 말을 들은 이 전 서장은 이번엔 차 안에 있던 신호봉을 들고 차들의 도로 진입을 막았다. 소방차가 현장으로 진입하기 쉽도록 돕고, 불길이 다른 차들로 번지는 등의 2차 사고를 막기 위해서였다.

이 전 소방관은 출동한 소방대원들이 방수포를 이용해 화재를 완전히 진입하는 것을 확인하고 현장을 떠났다. 한 소방대원은 “이 전 서장의 침착한 초기 화재 진압과 차량 통제로 인명피해나 2차 사고 등도 발생하지 않았고 빨리 수습됐다”며 “화재 진압을 마친 소방대원들이 알아보고 인사하자 이 전 서장이 별일 아니라는 듯 ‘뒷마무리도 잘하라’고 당부하고 차를 몰고 귀가했다”고 말했다.
이점동 전 성남소방서 서장. 사진 본인 제공

이 전 서장은 고교 졸업 후 1984년 소방에 입문했다. 소방관 업무를 하면서도 서울시립대 소방방재 관련 학과에서 석·박사를 마쳤고, 소방관들 사이에서 ‘사법고시보다 어렵다’고 소문난 소방기술사 자격증까지 2010년 취득했다. 경기도소방재난본부 예방산업팀장, 성남소방서 서장 등을 거쳐 2020년 12월 퇴직했다. 이 전 서장은 “소방관이란 직책을 내려놓은 지 몇 년이 지났는데도 위급한 순간에 몸이 먼저 반응했다”며 “아무도 다치지 않고 사고 현장이 빨리 수습돼 다행”이라고 말했다.

홍진영 성남소방서장은 “퇴직 이후에도 누구보다 먼저 현장 진압에 나선 이 전 서장의 행동은 우리 조직에 큰 자부심”이라고 말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599 이란 ‘12일의 전쟁’ 피해는 큰데, 책임지는 지도자가 없다? 랭크뉴스 2025.07.01
49598 휴전 논의차 미 백악관 가는 이스라엘 장관... 가자지구선 무차별 폭격 랭크뉴스 2025.07.01
49597 3G 서비스 계속된다…통신사 주파수 재할당 랭크뉴스 2025.07.01
49596 서울대 역도부장·李 대통령 38년지기…법무장관 후보자는 누구 랭크뉴스 2025.07.01
49595 배추 18포기 놓고 ‘자체 김민석 청문회’ 연 국민의힘 랭크뉴스 2025.07.01
49594 “이란 ‘저농축 우라늄 시설’ 필요…미국과 대화, 신뢰회복 먼저” 랭크뉴스 2025.07.01
49593 국힘 ‘송언석 비대위’ 체제로…당내서도 “도로 친윤당” 랭크뉴스 2025.07.01
49592 “이스라엘군에 죽음을!”···영국 최대 음악축제서 생중계된 ‘이스라엘 규탄’ 구호 랭크뉴스 2025.07.01
49591 “윤석열 정부 때 사회권 전반적으로 퇴행”···시민단체들, 유엔에 보고서 제출 랭크뉴스 2025.07.01
49590 트럼프 행정부 "하버드대 유대인 학생 위협 방치…민권법 위반" 랭크뉴스 2025.07.01
49589 또 다슬기 참변‥공 주우러 물에 들어간 어린이 숨져 랭크뉴스 2025.06.30
49588 美재무 "성실히 협상하는 국가도 저항하면 상호관세 다시 부과" 랭크뉴스 2025.06.30
49587 ‘복지부 장관 내정’ 정은경 환영한 의사단체들…“신뢰·협력 관계 복원 시급” 랭크뉴스 2025.06.30
49586 “1일에도 못 나가, 5일 이후로”…윤석열의 ‘내란특검 출석일’ 몽니 랭크뉴스 2025.06.30
49585 이탈리아 나폴리 인근 화산지대서 40년만 최대 규모 지진 랭크뉴스 2025.06.30
49584 “이스라엘, 평화 말하며 민간인 공격”…불안감 감도는 테헤란의 일상 랭크뉴스 2025.06.30
49583 '통계 조작 사건' 재판서‥'압박 감사 정황' 제시 랭크뉴스 2025.06.30
49582 미 정보기관, 이란 고위 관리 통화 도청…“미 공습 덜 파괴적” 랭크뉴스 2025.06.30
49581 태양광만 의존땐 대정전 우려…ESS·LNG발전 투자 시급 랭크뉴스 2025.06.30
49580 "시진핑, 건강 안좋아 8월 은퇴 가능성" 美서 퍼지는 실각설 랭크뉴스 2025.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