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가입국인 러시아는 전선에 대인지뢰 매설
발트3국, 핀란드, 폴란드도 협약 탈퇴 절차
우크라이나 소방대원들이 29일 러시아 드론 공격을 받은 중부 도시 스밀라의 한 아파트 현장을 정리하고 있다. 스밀라=로이터 연합뉴스


러시아와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가 대인지뢰 금지협약(오타와 협약)에서 탈퇴하기 위한 절차에 착수했다. 앞서 발트3국도 러시아 위협을 이유로 오타와 협약에서 탈퇴했다.

AFP 통신은 29일(현지시간)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오타와 협약 탈퇴를 추진하는 법령에 서명했다"고 전했다. 협약 탈퇴는 우크라이나 의회 비준을 거친 뒤 유엔에 통보해야 마무리된다.

우크라이나 외무부는 성명에서 "러시아의 침공에 직면한 상황에서 자국민의 안전과 국가 방어를 절대적인 우선순위로 둘 수밖에 없다"며 협약 탈퇴 추진 이유를 설명했다. 외무부는 "어려웠지만 불가피한 결정"이라며 "우리 땅을 점령으로부터, 우리 국민을 러시아의 끔찍한 만행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인지뢰는 사람이 밟으면 폭발하는 무기로, 발목 또는 무릎이 절단되거나 생명을 잃을 수도 있다. 전쟁이 끝난 뒤에도 땅속에 남아 민간인이 크게 다칠 수 있기에 대표적인 비인도적 무기로 꼽힌다. 이에 따라 국제사회는 1997년 대인지뢰를 금지하고, 매설된 지뢰를 제거하도록 하는 오타와 협약을 체결했다.

다만 오타와 협약 회원국인 우크라이나와 달리 러시아는 비가입국이다. 오타와 협약의 제약을 받지 않는 러시아는 개전 후 전선에 대인지뢰를 대거 매설해 우크라이나를 공격했다. 전쟁이 장기화되는 만큼 오타와 협약을 탈퇴해 대인지뢰 공격 옵션을 추가하겠다는 게 우크라이나 구상인 셈이다.

발트3국으로 불리는 리투아니아, 라트비아, 에스토니아도 러시아 위협을 이유로 지난 3월 협약 탈퇴를 선언했고, 28일 협약 탈퇴를 유엔에 통보했다. 러시아와 인접한 폴란드와 핀란드도 협약 탈퇴 절차를 밟고 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383 법관대표회의 의견 없이 종료…사법신뢰 등 5개안건 모두 부결 랭크뉴스 2025.06.30
49382 문화유산 ‘성북동 별서’ 화재… 대응 1단계 랭크뉴스 2025.06.30
49381 서울 지하철 부정승차 하루 155건… ‘무임’ 우대권 월 80회 쓴 승객도 랭크뉴스 2025.06.30
49380 "칼로 자르듯 날개가 꼬리 뚫었다"…베트남 항공기 충돌 순간 랭크뉴스 2025.06.30
49379 반려동물 진료비? 8월부턴 못 숨겨요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6.30
49378 음주사고 후 ‘운전자 바꿔치기’···전직 경찰관, 항소심도 집행유예 랭크뉴스 2025.06.30
49377 못 받은 양육비, 정부가 선지급…내일부터 시행 랭크뉴스 2025.06.30
49376 국힘 "김민석 의혹 눈덩이"…배추 18포기 쌓아놓고 '국민청문회' 랭크뉴스 2025.06.30
49375 '의사 출신' 정은경에 기대하는 의대생들 "기존 입장 조정해 대통령실에 전달" 랭크뉴스 2025.06.30
49374 김건희·순직해병 특검, 모레 현판식…내란특검, 내일 윤 재소환 랭크뉴스 2025.06.30
49373 [속보]전국법관대표회의, 안건 모두 부결···“의견 갈려” 랭크뉴스 2025.06.30
49372 안철수, 김경수 공직 복귀에 "러브버그처럼 전과자끼리 붙어" 랭크뉴스 2025.06.30
49371 여, 추경안 단독 심사‥야 "일방 진행" 반발 퇴장 랭크뉴스 2025.06.30
49370 30대 남성, 이웃주민 2명에 흉기난동 뒤 옥상 투신 사망 랭크뉴스 2025.06.30
49369 ‘저출생 재앙’인데...신생아 대출 상향도 없던 일로 랭크뉴스 2025.06.30
49368 음주운전 적발 우려에 ‘운전자 바꿔치기’ 의혹 구의원 감싸···이곳이 ‘청렴한 의회’? 랭크뉴스 2025.06.30
49367 [속보]채해병 특검팀, 임성근 전 사단장 ‘7월2일 오후 2시’ 출석 통보 랭크뉴스 2025.06.30
49366 이재명 대통령 국정지지율 59.7%‥새 정부서 민주당 지지도 50% 첫 돌파 랭크뉴스 2025.06.30
49365 與 문진석 “소비쿠폰 7월 내 집행 가능”… 1인당 최대 52만원 랭크뉴스 2025.06.30
49364 전국법관대표회의, 과반수 출석으로 임시회의 속개 랭크뉴스 2025.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