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경기도 성남시 청계산 매바위에서 바라본 서울 강남구와 한강 이북 아파트 단지. 연합뉴스
서울 아파트값 급등과 함께 이달 가계대출이 7조원에 가까운 폭으로 증가하며 5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그러나 정부가 6억원 이상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을 제한하는 초강력 규제를 시행하면서, 다음 달부터는 ‘고액 영끌’ 수요가 눈에 띄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일각에서는 고소득 전문직의 신용대출이나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 등 서울 외곽 지역으로 수요가 이동하는 풍선효과도 우려되고 있어, 금융당국의 추가 규제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10개월 만에 최대 폭 증가…‘영끌 주담대’가 주도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26일 기준 전체 금융권의 가계대출 잔액은 약 5조8000억원 늘었다. 남은 기간 대출 집행분을 고려하면 6월 한 달간 증가액은 6조원 후반에 달할 전망이다. 이로써 2월부터 시작된 증가세는 5개월 연속 이어졌고, 증가 폭은 지난해 8월(9조7000억원) 이후 최대치다.

서울 강남권과 마포·용산·성동구(일명 ‘마용성’)에서 아파트값이 신고가를 기록하면서, 주담대 수요가 가계대출 급증의 주된 요인이 됐다.

5대 은행 가계대출 4.9조원↑…신용대출도 4년 만에 최대치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5월 말 대비 4조9136억원 증가한 752조9948억원으로 집계됐다. 하루 평균 약 1890억원씩 증가해, 이 속도가 유지된다면 6월 말까지 총 5조6000억원 이상 늘어날 수 있다.

주담대 잔액은 3조9489억원 증가해 597조6105억원에 달했으며, 신용대출도 1조88억원 늘어나 4년 만에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다. 신용대출 증가는 주택 거래 자금 외에도 증시 투자 자금 수요가 반영된 결과로 분석된다.

7월에도 증가세 유지 가능성…8월부터 본격 효과 전망

지난 28일부터 주담대 한도 제한이 시행됐지만, 대출 실행까지는 시차가 발생하므로 실질적인 규제 효과는 8월부터 본격화될 전망이다. 금융당국은 주담대 승인액 기준으로도 시장 영향을 면밀히 분석할 계획이다.

하반기 가계대출 총량 관리 목표가 절반으로 조정되면서, 월간 증가 폭은 3조~4조원 이하로 통제될 것으로 보인다.

‘노도강’·전문직 신용대출로 수요 분산 우려…보완책도 검토

고가 아파트 수요는 위축되겠지만, 외곽 지역으로의 수요 이동 가능성도 제기된다. 특히 주담대 6억원 한도 내에서 매수가 가능한 서울 외곽 ‘노도강’이나 ‘금관구’(금천·관악·구로구) 지역이 주목받고 있다.

또한 소득이 높은 전문직을 중심으로 신용대출을 활용해 고가 아파트 매수가 지속될 가능성도 존재한다. 일부 직군은 연소득 내 신용대출 한도를 최대 4억~5억원까지 받을 수 있어, 주담대와 병행하면 여전히 고가 주택 구입이 가능한 상황이다.

금융당국은 이러한 풍선효과 가능성에 대응해 추가 규제 도입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한 관계자는 “시장 집중 현상이나 우회적 수요 증가가 포착되면 보완책을 마련할 것”이라며 “가계대출 동향을 주간 단위로 점검하고 있다”고 밝혔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068 트럼프, 국제 조세 형평성 ‘두 기둥’ 무너뜨리나…관세 무기로 최저한세·디지털세 무력화 나서 랭크뉴스 2025.06.29
49067 ‘폭염 속 방치’ 청년노동자 숨졌는데…‘업체 무혐의’ 내린 노동부 랭크뉴스 2025.06.29
49066 "산 타다 기절할 듯"…러브버그에 점령 당한 인천 계양산 '충격' 랭크뉴스 2025.06.29
49065 경주 37.5도 올 들어 최고기온…남부지방 중심 '가마솥더위' 랭크뉴스 2025.06.29
49064 ‘대출 6억원 한도’에 매수 문의 뚝…“규제 ‘약발’ 1~3개월은 갈 것” 랭크뉴스 2025.06.29
49063 박은정 "이진수 법무차관, 尹 정권서 승승장구한 친윤 검사" 랭크뉴스 2025.06.29
49062 [단독] "11월에도 무인기 보냈다"‥'충돌' 유도했나 랭크뉴스 2025.06.29
49061 갭투자자·신혼부부도 ‘유턴’… 대출 규제에 패닉바잉 ‘멈칫’ 랭크뉴스 2025.06.29
49060 尹측 ‘박창환 불법체포 지휘’ 주장에… 경찰 “사실 아니다” 랭크뉴스 2025.06.29
49059 "팁은 정중히 사양합니다"…美 택시 팁 문화에 한방 날린 로보택시, 무슨 일? 랭크뉴스 2025.06.29
49058 [단독] 진격의 K뷰티…올 화장품 수출액 미국도 제쳤다 랭크뉴스 2025.06.29
49057 복지 정은경·교육 이진숙·지방위원장 김경수‥오유경 식약처장 '유임' 랭크뉴스 2025.06.29
49056 법무장관 '친명 좌장' 정성호·행안 윤호중‥경제사령탑에 관료 출신 구윤철 랭크뉴스 2025.06.29
49055 “상임위 끝나니 나와 간사뿐”… 제 살길만 찾는 야당 랭크뉴스 2025.06.29
49054 "형!" 술먹다 전화하는 김남국…그는 어떻게 李 막냇동생 됐나 [이재명의 사람들⑦] 랭크뉴스 2025.06.29
49053 文정부 극약처방도 6개월 반짝 효과…“칵테일 요법으로 집값 잡아야” 랭크뉴스 2025.06.29
49052 교육장관 후보자 ‘지역에 서울대 10개 만들기’ 제안한 이진숙 랭크뉴스 2025.06.29
49051 李대통령 부동산책사가 차관으로…공공주택·투기방지 힘실리나 랭크뉴스 2025.06.29
49050 [일문일답] 구윤철 “어려운 경제 상황 속 증세 어렵다… 파이 키우는 게 1번” 랭크뉴스 2025.06.29
49049 '李 캠프 선봉장' 정책통 윤호중, 정부 조직 난제 풀 행안부 수장에 낙점 랭크뉴스 2025.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