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숫자로 보는 타이어와 빗길 안전]
빗길에서 차량이 물보라를 일으키며 달리고 있다. 뉴스1
‘1.6mm’.

자동차 타이어의 표면을 보면 홈(트레드)이 다양한 형태로 여러 개 파여 있는데요. 이 홈은 비에 젖은 도로에서 물을 분산시켜 바퀴가 미끄러지는 걸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런데 타이어가 오래돼 마모되면 홈도 잘 안 보이게 되는데요. 이 경우 마른 도로에서는 별 차이가 없어 보일지 몰라도 물기가 많은 도로에선 주행과 제동력에 상당한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그만큼 사고 위험이 높아진다는 얘기인데요.

정부에서 반드시 유지해야 할 타이어 홈의 깊이를 법령으로 정해 놓은 이유이기도 합니다. 국토교통부의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의 성능과 기준에 관한 규칙’이 바로 그것인데요.

타이어에 대해 ‘금이 가고 갈라지거나 코드층이 노출될 정도의 손상이 없어야 하며, 트레드 깊이가 1.6 mm 이상 유지될 것’이라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타이어의 홈 깊이를 최소한 1.6 mm 이상 유지해야 빗길 등에서 그나마 사고 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한국교통안전공단(이하 공단)에 따르면 빗길에선 브레이크를 밟은 뒤 실제 정지할 때까지 거리(제동거리)가 마른 도로에 비해 약 1.8배까지 길어진다고 하는데요. 평소처럼 브레이크를 밟았다간 추돌사고를 낼 가능성이 커지는 셈입니다.

빗길 교통사고는 치사율도 올라가는데요. 최근 3년간(2022~2024년) 노면상태에 따른 교통사고 치사율을 따졌더니 젖은 도로가 1.90명으로 마른 도로(1.27명)보다 1.5배 높았습니다. 치사율은 사고 100건당 사망자 수입니다.

이처럼 빗길에선 사고 가능성이 높은데 타이어 마모까지 심하면 위험은 더 커지게 되는데요. 공단이 2017년 젖은 도로에서 시행한 ‘타이어 트레드 깊이별 제동거리 실험’을 보면, 시속 80㎞로 달릴 때 새 타이어(깊이 7.5 mm)는 제동거리가 30.1m였습니다.
새 타이어와 마모된 타이어 비교. 사진 한국교통안전공단

반면 오래되 마모가 심한 타이어(깊이 1.6 mm)는 44.8m로 50%가량 더 길었는데요. 시속 100㎞ 주행 때 역시 오래된 타이어가 새 타이어보다 브레이크를 밟은 뒤 정지할 때까지 거리가 1.5배였습니다.

이렇게 많이 닳아버린 타이어는 젖은 도로에서 제동거리도 길어지지만, 고속 주행 때에는 ‘수막현상’ 탓에 더 위험합니다. 수막현상은 젖은 노면을 고속으로 달릴 때 타이어와 노면이 닿지 않아 조종이 불가능하게 되는 상태를 말하는데요.

타이어 홈이 적정 깊이를 유지하고 있다면 물을 배수하고 분산시켜서 노면과 접지력을 유지해 안정적인 운전이 가능하지만 그렇지 않은 상황에선 마치 물 위에 떠서 달리는 듯한 아찔한 상황이 벌어지게 됩니다.
타이어 마모 상태 확인요령. 자료 한국교통안전공단

특히 무거운 짐을 싣고 다니는 화물차나 많은 승객을 태운 버스가 낡은 타이어를 장착한 상태라면 더 위험할 텐데요. 이 때문에 비가 자주, 또 많이 오는 장마철에는 타이어 관리에 더 신경을 써야 합니다.

트레드 깊이는 자가 진단도 어렵지 않은데요. 100원짜리 동전을 홈에 거꾸로 넣어서 이순신 장군의 감투가 절반 이상 보인다면 서둘러 교체하는 게 좋습니다. 마모가 심하다는 의미이기 때문입니다.

공단의 정용식 이사장은 “장마철 안전운전을 위해선 타이어와 등화장치 등에 대한 철저한 사전 점검이 필수”라며 “비가 올 때는 속도를 최대 50%까지 줄이고, 차간 거리도 평소보다 더 충분히 확보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208 직장인 10명 중 8명 "국내서 여름휴가"…휴가비 1人 54만원 랭크뉴스 2025.06.30
49207 중국인들 다시 오자…K뷰티 수혜주, '아씨' 웃는다 랭크뉴스 2025.06.30
49206 트럼프 "모든 국가에 관세 서한 보낼 것‥25~50% 또는 10% 부과" 랭크뉴스 2025.06.30
49205 수백마리 우중 ‘결혼식’하던 러브버그 본격 대발생···친환경 방제 가능할까 랭크뉴스 2025.06.30
49204 [세계로 미래로 부울경] 부산콘서트홀 개관…글로벌 문화 예술 도시로 힘찬 도약 랭크뉴스 2025.06.30
49203 [단독] 징그러운 러브버그 줄어드나… 유충 잡는 ‘곰팡이 농약’ 개발 중 랭크뉴스 2025.06.30
49202 트럼프 “유예 연장 필요 없어…한국·일본 차 관세, 미국보다 낮지 않을 것” 랭크뉴스 2025.06.30
49201 가상자산 투자자 10명 중 4명, “노후준비” 위해 투자 랭크뉴스 2025.06.30
49200 [속보] 서울 신림동 빌라서 흉기 난동...용의자 사망, 2명 부상 랭크뉴스 2025.06.30
49199 [단독] 장성급 군인 12명, 올해 휴대폰 교체... '내란 특검' 수사 대비했나 랭크뉴스 2025.06.30
49198 [Why] K정수기, 말레이시아 장악한 까닭은?…‘韓 가전=프리미엄' 인증 랭크뉴스 2025.06.30
49197 영국인들, 손 선풍기 한 번 쓰고 버린다고요? [잇슈#태그] 랭크뉴스 2025.06.30
49196 총리·장관 44%가 현역 의원…李정부 '배지 장관' 전성시대 랭크뉴스 2025.06.30
49195 특검, 尹 외환죄·국회 의결 방해·국무회의 의혹 등 핵심도 조준 랭크뉴스 2025.06.30
49194 트럼프 “모든 국가에 관세 서한 보낼 것…무역 협상의 끝” 랭크뉴스 2025.06.30
49193 英축제서 "이스라엘군에 죽음을"…그대로 생중계한 BBC 발칵 랭크뉴스 2025.06.30
49192 '의원 불패' 신화 노렸나... 李 1기 내각 '배지 사랑'에 행정부 견제 약화 우려도 랭크뉴스 2025.06.30
49191 묻혀있던 '김건희 사건' 파헤친다...코바나 기업협찬도 추적 랭크뉴스 2025.06.30
49190 [단독] '삼계탕집 영업실장' 권오을…전국 5곳 수상한 동시 근무 랭크뉴스 2025.06.30
49189 트럼프 법안 반대해 낙선운동 직면한 공화 상원의원 재선 불출마 랭크뉴스 2025.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