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진학사 캐치, ‘지방 취업 의향’ 설문조사
Z세대 구직자 63% “지방 취업 안 간다”
게티이미지뱅크


“지방 취업을 받아들일 수 있는 연봉 기준은 8000만 원 이상이다.”Z세대 구직자 33% 응답

채용 플랫폼 진학사 ‘캐치’가 구직자 2,75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응답 중 일부다. 이른바 'Z세대'(1990년대 중반~2010년대 초반 출생자) 구직자들이 ‘지방 근무’를 수용할 수 있는 기준은 이토록 높았다. 바꿔 말하면 지방에서의 직장 생활은 거의 고려 대상조차 아닐 정도로 기피되고 있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왜일까.

지난 27일 공개된 캐치의 설문조사 결과는 Z세대의 지방 근무 비(非)선호를 뚜렷이 보여 준다.
전체 응답자 중 63%가 “지방 기업에 취업할 의향이 없다”고 답했다.
10명 중 6명에 해당하는 비율이다. ‘있다’는 응답은 37%에 그쳤다.

지방 근무 기피 이유로는
‘주거·생활·교육 인프라 부족’이 55%
로 가장 많았다. ‘가족·지인과의 거리감’(20%), ‘타지 생활에 대한 불안’(13%) 등이 뒤를 이었다. ‘원하는 일자리가 없을 것 같아서’(6%), ‘커리어 성장에 불리할 것 같아서’(5%)라는 답변도 있었다.

이렇다 보니 지방 기업 취업을 받아들일 수 있는 눈높이도 높아졌다.
Z세대는 지방행을 기꺼이 수락할 수 있는 연봉 조건으로
‘8,000만 원 이상’(33%)
을 가장 많이 꼽았다. 다음으로는 ‘5,000만~6,000만 원’(19%), ‘4,000만~5,000만 원’(17%), ‘6,000만~7,000만 원’(13%) 순이었다. ‘4,000만원 미만’은 약 10%뿐이었다. “올해 상반기 대졸 청년들의 희망 연봉 수준은 평균 4,023만원이고, 신입 직원을 원하는 구인 기업의 채용 공고상 평균 연봉은 3,708만 원”이라는 조사 결과(24일 대한상공회의소 발표)와 비교하면, 지방 기업 취업을 사실상 염두에 두지 않고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실제로 선호하는 근무 지역 역시 수도권에 편중됐다. 복수 응답을 허용한 결과,
‘서울 내’가 58%
,
‘수도권(판교·수원·인천 등)’이 52%
로 압도적 결과를 보였다. ‘중부권(대전·세종·강원)’은 17%, ‘남부권(부산·대구 등)’은 10%, 그 밖의 ‘도서 지역(제주 등)’은 3%에 각각 머물렀다.

그나마
지방 근무에 긍정적인 응답자들
‘취업 경쟁이 덜할 것 같아서’(29%)
를 주요 이유로 꼽았다. ‘지방 거주 가족·지인과의 근접성’(21%), ‘희망 산업이 지방에 있어서’(17%), ‘워라밸 기대’(16%), ‘생활비나 교통비 절감’(15%) 등의 장점도 거론됐다.

김정현 캐치 부문장은 “Z세대가 지방 취업을 기피하고 있는 데에는 인프라와 정보 격차, 정서적 거리감 등 다양한 이유가 얽혀 있다”고 짚었다. 이어 “지방 기업이 보유한 장점과 기회를 구직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연관기사
• ‘최고의 직장’을 떠날 결심 “너 여기서 계속 살 거야?”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61218210001385)• 10년째 주말이면 고요한 혁신도시... "수도권 쏠림에 질식사할 지경"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61214540005674)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419 [속보] 국민의힘 새 비대위원장에 송언석…내일 전국위 거쳐 비대위 구성 랭크뉴스 2025.06.30
49418 홍콩 ‘마지막 야당’ LSD 해산···국가보안법 시행 5년 만 랭크뉴스 2025.06.30
49417 여인형 전 방첩·문상호 전 정보사령관 추가 구속 랭크뉴스 2025.06.30
49416 조정훈 “대통령실 대변인은 핫바지인가”…노종면 “부동산 망치고 책임 돌리나” 랭크뉴스 2025.06.30
49415 [속보] 여인형 전 방첩·문상호 전 정보사령관 추가 구속 랭크뉴스 2025.06.30
49414 美 ‘원정 출산’ 금지 본격화…28개주 출생 시민권 폐지 시행 랭크뉴스 2025.06.30
49413 “웰빙 농성” vs “웰빙 단식쇼”…나경원·박홍근, ‘국회 농성’ 두고 설전 랭크뉴스 2025.06.30
49412 전국법관대표회의 '이재명 상고심 논란' 모든 안건 부결 랭크뉴스 2025.06.30
49411 “야근한다고 라면만 먹지 말고…” 학생들 울린 대학 식당 노동자의 졸업식 축사 랭크뉴스 2025.06.30
49410 尹정부서 양곡법 반대했지만… ‘유임’ 송미령 “이제 여건 돼” 랭크뉴스 2025.06.30
49409 판매 대박친 샤오미 전기차, 구매권마저 수백만원에 재판매 랭크뉴스 2025.06.30
49408 [단독] 나랏돈으로 외국인 빚 탕감?…새출발기금 외국인 채무조정 매년 증가세 랭크뉴스 2025.06.30
49407 "매주 월요일 이모티콘 쏟아진다"…카카오, 정기 무료 이모티콘 증정 이벤트 랭크뉴스 2025.06.30
49406 호불호 갈린 오징어게임 결말…황동혁 "원래 결말은 달랐다" 랭크뉴스 2025.06.30
49405 서울 성북구 문화유산 ‘성북동 별서’ 화재…소방 대응 1단계 발령 랭크뉴스 2025.06.30
49404 "재앙 수준" 계양산 점령한 러브버그, 적극 방역 못한다…왜 랭크뉴스 2025.06.30
49403 [속보] 전국법관대표회의 '이재명 상고심 논란' 모든 안건 부결 랭크뉴스 2025.06.30
49402 시신 운구 도중 고속도로서 숨진 50대… 심장질환 추정 랭크뉴스 2025.06.30
49401 시신 운송 중인 운전자도 숨진채 발견…한밤 고속도로서 생긴 일 랭크뉴스 2025.06.30
49400 한국 3대 정원 ‘성북동 별서’서 화재…소방당국 진화 중 랭크뉴스 2025.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