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진학사 캐치, ‘지방 취업 의향’ 설문조사
Z세대 구직자 63% “지방 취업 안 간다”
게티이미지뱅크


“지방 취업을 받아들일 수 있는 연봉 기준은 8000만 원 이상이다.”Z세대 구직자 33% 응답

채용 플랫폼 진학사 ‘캐치’가 구직자 2,75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응답 중 일부다. 이른바 'Z세대'(1990년대 중반~2010년대 초반 출생자) 구직자들이 ‘지방 근무’를 수용할 수 있는 기준은 이토록 높았다. 바꿔 말하면 지방에서의 직장 생활은 거의 고려 대상조차 아닐 정도로 기피되고 있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왜일까.

지난 27일 공개된 캐치의 설문조사 결과는 Z세대의 지방 근무 비(非)선호를 뚜렷이 보여 준다.
전체 응답자 중 63%가 “지방 기업에 취업할 의향이 없다”고 답했다.
10명 중 6명에 해당하는 비율이다. ‘있다’는 응답은 37%에 그쳤다.

지방 근무 기피 이유로는
‘주거·생활·교육 인프라 부족’이 55%
로 가장 많았다. ‘가족·지인과의 거리감’(20%), ‘타지 생활에 대한 불안’(13%) 등이 뒤를 이었다. ‘원하는 일자리가 없을 것 같아서’(6%), ‘커리어 성장에 불리할 것 같아서’(5%)라는 답변도 있었다.

이렇다 보니 지방 기업 취업을 받아들일 수 있는 눈높이도 높아졌다.
Z세대는 지방행을 기꺼이 수락할 수 있는 연봉 조건으로
‘8,000만 원 이상’(33%)
을 가장 많이 꼽았다. 다음으로는 ‘5,000만~6,000만 원’(19%), ‘4,000만~5,000만 원’(17%), ‘6,000만~7,000만 원’(13%) 순이었다. ‘4,000만원 미만’은 약 10%뿐이었다. “올해 상반기 대졸 청년들의 희망 연봉 수준은 평균 4,023만원이고, 신입 직원을 원하는 구인 기업의 채용 공고상 평균 연봉은 3,708만 원”이라는 조사 결과(24일 대한상공회의소 발표)와 비교하면, 지방 기업 취업을 사실상 염두에 두지 않고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실제로 선호하는 근무 지역 역시 수도권에 편중됐다. 복수 응답을 허용한 결과,
‘서울 내’가 58%
,
‘수도권(판교·수원·인천 등)’이 52%
로 압도적 결과를 보였다. ‘중부권(대전·세종·강원)’은 17%, ‘남부권(부산·대구 등)’은 10%, 그 밖의 ‘도서 지역(제주 등)’은 3%에 각각 머물렀다.

그나마
지방 근무에 긍정적인 응답자들
‘취업 경쟁이 덜할 것 같아서’(29%)
를 주요 이유로 꼽았다. ‘지방 거주 가족·지인과의 근접성’(21%), ‘희망 산업이 지방에 있어서’(17%), ‘워라밸 기대’(16%), ‘생활비나 교통비 절감’(15%) 등의 장점도 거론됐다.

김정현 캐치 부문장은 “Z세대가 지방 취업을 기피하고 있는 데에는 인프라와 정보 격차, 정서적 거리감 등 다양한 이유가 얽혀 있다”고 짚었다. 이어 “지방 기업이 보유한 장점과 기회를 구직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연관기사
• ‘최고의 직장’을 떠날 결심 “너 여기서 계속 살 거야?”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61218210001385)• 10년째 주말이면 고요한 혁신도시... "수도권 쏠림에 질식사할 지경"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61214540005674)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050 혁신당 ‘윤건희 검사’ 명단 전달 직후 정진우·성상헌 기용···“우려 반영 안 돼” 랭크뉴스 2025.07.01
50049 '李 공소 취소' 정성호 발언 두고 공방... 野 "검찰 압박" 與 "당연한 얘기" 랭크뉴스 2025.07.01
50048 시청역 역주행 참사 1주기에 차량 또 인도 돌진‥1명 사망 랭크뉴스 2025.07.01
50047 [단독] 교대역 가스 누출 사고‥"굴착공사 사전 신고 없었다" 랭크뉴스 2025.07.01
50046 시청역 참사 1주기에...인도로 차량 돌진 사고로 1명 사망 랭크뉴스 2025.07.01
50045 말 잘못 꺼냈다가 '탄핵 위기' 놓인 태국 최연소 여성 총리…아버지 탁신은 '왕실모독죄' 랭크뉴스 2025.07.01
50044 뉴욕증시 장 초반 하락…트럼프·머스크 갈등에 테슬라 7% 급락 랭크뉴스 2025.07.01
50043 [알고보니] 윤석열, 내란특검 소환이 위법, 부당하다? 랭크뉴스 2025.07.01
50042 때릴수록 올랐다…징벌적 과세가 만든 강남 광풍 랭크뉴스 2025.07.01
50041 "쓰나미인 줄"…'폭염' 포르투갈 해안 거대한 두루마리 구름 랭크뉴스 2025.07.01
50040 ‘친윤 검찰’도 실력파는 요직에…“정책기조 동의땐 과감한 기용” 랭크뉴스 2025.07.01
50039 尹, 2차 조사 끝내 거부‥"오는 토요일 출석하겠다" 랭크뉴스 2025.07.01
50038 '국회 존중' 들고나온 李대통령…'尹정부 방통위' 겨냥 해석(종합) 랭크뉴스 2025.07.01
50037 국정위, 검찰 보고 무기 연기‥법무차관 "수사-기소 분리 공감" 랭크뉴스 2025.07.01
50036 러시아, 6월 드론 5438대 날려 우크라 공습…역대 최다 랭크뉴스 2025.07.01
50035 "더 많은 것 잃을 것" 트럼프·머스크 갈등에 테슬라 7% 급락 랭크뉴스 2025.07.01
50034 김혜경 여사, 여성기업주간 개막식 참석…"위기 극복 앞장서길"(종합) 랭크뉴스 2025.07.01
50033 임은정·김태훈, 윤석열 정부서 좌천…한직 돌다 검사장으로 부활 랭크뉴스 2025.07.01
50032 "여보, 날도 더운데 이혼할까?"…전 세계서 급증하는 'OO이혼', 왜? 랭크뉴스 2025.07.01
50031 "이제 폭염과 동거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유럽 역대급 폭염(종합2보) 랭크뉴스 2025.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