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사진=한국경제신문 최혁 기자
7월 1일부터 서울시가 지정한 공공장소에서 비둘기에게 먹이를 주다 적발되면 최대 10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서울시는 이를 “공공 위생과 시민 불편을 줄이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과도한 규제라는 지적과 함께 생명을 경시하는 윤리적 문제라는 반발도 제기된다.

이번 조치는 지난해 개정된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과 올해 1월 서울시가 제정한 관련 조례에 근거를 두고 있다. 위반 시 과태료는 1회 20만원, 2회 50만원, 3회 이상은 최대 100만원까지 부과된다. 광화문광장, 서울숲, 여의도공원, 한강공원 등 38곳이 ‘유해 야생동물 먹이주기 금지구역’으로 지정됐으며 향후 3년간 시범 운영된다. 단속 대상은 단순한 우발적 행동보다는 쌀 포대 등을 동원해 대량의 먹이를 지속적으로 주는 상습 행위에 초점이 맞춰진다.

서울시는 “비둘기의 배설물, 깃털, 악취, 건물 훼손 등으로 인한 시민 불편과 위생 피해를 줄이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서울시에 접수된 비둘기 관련 민원은 2020년 667건에서 2023년 1432건으로 3년 새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주요 민원은 위생 문제, 보행 불편, 사체 처리 등이다.

하지만 과태료 수준을 두고는 논란이 크다. 담배꽁초 무단 투기 과태료는 5만원에 불과한 반면, 비둘기에게 먹이를 준 행위는 최대 100만원에 달해 과하다는 지적이다. 과태료 100만원은 전월세 미신고, 소방차 진입 방해 등과 같은 중대한 사안에 부과되는 것과 같은 수준이다.

서울시의 조치에 대해 동물보호 단체들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비둘기를 굶겨 죽이겠다는 생명 경시적 발상’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먹이 금지가 되레 또 다른 위생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먹이를 얻지 못한 비둘기들이 음식물 쓰레기 봉투를 뜯고 다니면서 도심 곳곳에서 깃털 날림, 쓰레기 훼손, 새떼 습격 등 2차 피해로 이어질 가능성 때문이다. 위생을 위한 조치지만, 생명 윤리와 실효성에 대한 고려가 충분했는지 논란은 이어질 전망이다.

해외에서는 다른 방식을 통해 개체수를 성공적으로 줄인 사례도 있다. 스페인 바르셀로나는 2017~2019년 피임약을 섞은 먹이를 살포해 비둘기 개체수를 55% 줄이는 데 성공했다. 일각에서는 이 방식이 더 윤리적이고 효과적이라는 주장도 나온다.

일본 도쿄는 2000년대 초반부터 까마귀 개체수 급증으로 몸살을 앓았다. 도심 한복판에서 사람을 따라다니며 위협하는 일이 빈번해졌다. 원인은 도시 곳곳에 방치된 음식물 쓰레기에 있었다.

도쿄시는 쓰레기 수거 시간을 새벽으로 조정하고 새가 인식하지 못하도록 불투명한 노란색 쓰레기봉투를 도입했다. 이렇게 쓰레기 관리와 포획을 병행한 결과 까마귀 수는 점차 감소하고 있다.

호주는 2023년 ‘길고양이와의 전쟁’을 선포했다. 야생 고양이로 인해 27종의 토종 포유류가 멸종했다는 이유에서다. 호주는 드론, 열화상 카메라, AI, 탐지견 등을 동원해 길고양이를 포획하고 있다. 고양이의 외형과 움직임을 인식해 독성 젤을 분사하는 자동 미끼 기계도 개발했다.



한경비즈니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993 [속보] 윤석열 변호인단 "특검 출석, 7월 3일 이후로 연기 요청" 랭크뉴스 2025.06.29
48992 이 대통령, 법무·행안·기재 등 장관 후보자 지명…민정수석 봉욱 임명 랭크뉴스 2025.06.29
48991 "일본 여행 진짜로 취소했다"…대재앙 소식에 사람들 우르르 '이곳' 몰린다는데 랭크뉴스 2025.06.29
48990 기재부 구윤철, 복지부 정은경…장관 후보자 6명 지명 랭크뉴스 2025.06.29
48989 현금 1만 원·포인트 1만 원? '운명의 1주일' 맞은 SKT 고객 보상안은 랭크뉴스 2025.06.29
48988 정은경 복지장관 후보자 "의정갈등서 국민 큰 고통…신속 해결" 랭크뉴스 2025.06.29
48987 [속보] 尹, 30일 내란특검 조사 출석기일 변경 요청 랭크뉴스 2025.06.29
48986 삼풍백화점 참사 30주기… “유가족 63% 외상후울분장애” 랭크뉴스 2025.06.29
48985 [속보] 법무 이진수, 과기부 류제명, 국토 이상경... 李 대통령 추가 차관 인사 단행 랭크뉴스 2025.06.29
48984 기재 구윤철·법무 정성호·행안 윤호중…6개 부처 장관 인선(종합) 랭크뉴스 2025.06.29
48983 민정수석에 봉욱…윤석열 검찰총장 된 뒤 검찰 떠난 기획통 랭크뉴스 2025.06.29
48982 대출규제 발표날 '마래푸' 5000만원 낮춰 급매…"관망세 깊어질듯"[집슐랭] 랭크뉴스 2025.06.29
48981 법무 정성호·행안 윤호중…대통령 직속 지방위원장에 김경수 랭크뉴스 2025.06.29
48980 법무장관 ‘친명 좌장’ 정성호… 민정수석 봉욱·행안부 윤호중 랭크뉴스 2025.06.29
48979 "'국민 도련님'이 성범죄라니"…왕세자비 아들 만행에 발칵 뒤집힌 '이 나라' 랭크뉴스 2025.06.29
48978 국정원 1차장 이동수·2차장 김호홍…기조실장 김희수 임명 랭크뉴스 2025.06.29
48977 나경원, 알찬 김밥 놓고 ‘웰빙 농성’…“자기정치병엔 백약이 무효” 랭크뉴스 2025.06.29
48976 [프로필] 정성호 법무부 장관 후보자…李와 38년지기 ‘쓴소리꾼’ 랭크뉴스 2025.06.29
48975 "오늘 저녁은 치킨 어때?" 배달앱 열었다가 '깜짝'…가격 얼마나 올랐길래 랭크뉴스 2025.06.29
48974 이달 가계대출 증가액 7조 육박…내달부턴 '고액 영끌' 확 줄듯(종합) 랭크뉴스 2025.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