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사진=한국경제신문

종이 빨대로 전환한 지 7년 만에 스타벅스가 플라스틱 빨대를 다시 도입하기로 했다.

28일 스타벅스코리아에 따르면 스타벅스는 26일부터 전국 200여 매장에서 종이 빨대와 플라스틱 빨대를 함께 사용한다. 종이 빨대에 대한 고객 불편을 해소하고 고객 편의성을 높인다는 것이 이번 결정의 배경이다.

스타벅스 관계자는 “환자나 영유아는 종이 빨대 사용이 불편하다는 다양한 고객 의견을 반영해 우선 병원이나 주거상권 약 200개 매장을 중심으로 식물 유래 소재 플라스틱 빨대를 시범 도입한다”고 밝혔다.

시범 매장의 경우 기존 종이 빨대와 플라스틱 빨대를 함께 제공한다. 스타벅스는 시범 매장에서 수집된 고객 의견을 바탕으로 전체 2000여 매장에 플라스틱 빨대 확대 여부를 결정하기로 했다.

스타벅스 관계자는 “이번에 도입하는 플라스틱 빨대는 일반 석유계 원료가 아닌 사탕수수를 기반으로 한 식물성 소재로 만들어졌다”며 “수거함을 마련해 플라스틱 빨대를 재활용할 계획이다”라고도 전했다.

스타벅스는 지난 2018년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일회용 플라스틱 빨대를 대체하는 차원에서 전국 매장에 종이 빨대를 도입했다.

환경부가 2022년 11월부터 카페·식당에서 플라스틱 빨대 사용을 전면 금지하고 위반하면 과태료를 부과한다는 방침을 내놨기 때문. 그러나 종이 빨대에 대한 논란이 계속되자 계도 기간을 무기한 연장한 상태다.

그간 소비자들의 반응은 좋지 못했다. “금방 눅눅해져 불편하다”라는 불만이 터져 나왔고, 환경 보호를 위해 도입한 종이 빨대가 재활용되지 않고 일반 쓰레기로 버려지면서 ‘친환경이 맞느냐’는 논란이 제기되기도 했다.

스타벅스가 플라스틱 빨대 매장을 전체로 확대할 경우 종이 빨대를 사용 중인 여러 커피 전문점들도 이를 뒤따라갈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된다.

한경비즈니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728 [속보] 윤 전 대통령 내란특검 2차 조사 불출석…첫 ‘소환 불응’ 랭크뉴스 2025.07.01
49727 [Why] 패션 플랫폼 ‘에이블리’, 거래액 증가에도 적자 전환한 이유는 랭크뉴스 2025.07.01
49726 [속보] 尹, 내란특검 2차 조사 불출석…첫 ‘소환 불응’ 랭크뉴스 2025.07.01
49725 尹, 내란특검 2차조사 불출석…특검 첫 소환불응에 재통보 방침 랭크뉴스 2025.07.01
49724 송도 펫페어, 강아지 ‘50% 할인’ 판매…“속 울렁거린다” 랭크뉴스 2025.07.01
49723 S&P500 신고가 경신했지만… 비트코인은 10만7000달러 소폭 하락 랭크뉴스 2025.07.01
49722 [속보] 6월 수출 598억불… 역대 6월 중 최대 실적 랭크뉴스 2025.07.01
49721 [르포] “가계약금 1억~2억 날릴 판”… 6.27 대책에 잠실 ‘직격탄’ vs 노원 ‘강세’ 랭크뉴스 2025.07.01
49720 엄마 카드 찍던 아들…부정 승차로 천8백만 원 낸다 [잇슈 키워드] 랭크뉴스 2025.07.01
49719 헬리콥터에서 떨어지는 돈다발? 랭크뉴스 2025.07.01
49718 [사이테크+] "남극해, 2015년 이후 더 짜지고 있다…해빙 감소 가속 요인" 랭크뉴스 2025.07.01
49717 김용민 "중수청 가면 '검사' 명칭 못 써" [모닝콜] 랭크뉴스 2025.07.01
49716 도카라 법칙? 열흘간 지진 683회… 日 7월 대지진 공포 랭크뉴스 2025.07.01
49715 [유지혜의 시선] ‘I’를 달성하는 방법 랭크뉴스 2025.07.01
49714 7월 첫째날 체감온도 35도까지 올라... 무더위 속 곳곳 소나기 예보 랭크뉴스 2025.07.01
49713 [단독]‘여론조사-공천’ 뇌물로 봤나···‘불법 정치자금 사건’ 판례 검토한 김건희 특검 랭크뉴스 2025.07.01
49712 [단독] 경상대 의대, ‘저소득층 지역인재’ 전형 3년 누락…교육부 방관 랭크뉴스 2025.07.01
49711 “형이라고 생각하고 편하게…” 李, 유머·공감·메모하며 소통 랭크뉴스 2025.07.01
49710 "10초도 못 서 있어"‥'러브버그' 공포 언제까지 랭크뉴스 2025.07.01
49709 [단독] 이진숙 교육장관 후보자 하루 만에 친정서 “지명 철회하라” 공개 반발 랭크뉴스 2025.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