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부산과 창원, 울산에서도 시내버스 노사간 밤샘 협상이 진행됐는데요.
노사 협상이 결렬되면서,부산과 창원에서는 오늘 아침 첫차부터 모든 버스 운행이 중단된 상태입니다.
출근 시간대를 앞두고 있는 부산 도심에 취재기자 나가 있습니다.
이승엽 기자, 지금 상황 전해주시죠.
◀ 기자 ▶
네, 저는 지금 부산진구 서면 시내버스 환승센터에 나와 있습니다.
아직은 이른 시간이지만 평소 같으면 출근길 승객들을 태우기 위해 버스들이 분주히 오갈 시간인데요.
지금은 보시는 것처럼 이곳 버스 환승센터에 버스는 한 대도 찾아볼 수 없습니다.
제가 첫차가 운행된 시간부터 이곳에 나와 있었는데요.
파업 사실을 모르고 버스를 타러 나온 시민들도 일부 볼 수 있었습니다.
뒤늦게 대체 교통편을 알아보느라 당황해 하는 모습이었는데요.
버스노조 총파업으로 부산에선 147개 노선, 2천500여 대 버스가 운행을 멈췄습니다.
부산 시내버스 운행이 멈춘 건 준공영제 시행 18년 만에 처음인데요.
부산시는 일단 전세버스 200여 대를 긴급 투입해 파업에 대응에 나섰습니다.
도시철도나 마을버스가 다니지 않는 46개 노선을 중심으로 무료로 운행하고요.
도시철도와 경전철도 각각 50차례와 10차례씩 추가로 늘려 운행중입니다.
하지만 대체교통편이 기존 버스이용 수요를 모두 감당하기엔 어려울 것으로 보여, 출근길 시민 불편은 불가피해 보입니다.
부산 시내버스 노사는 오늘 새벽 3시까지, 11시간 동안 마라톤 협의를 이어갔는데요.
노조는 사측이 제시한 상여금 폐지 등 임금체계 개편을 수용했고, 사측도 임금인상에 일부 동의하며 협상의 물꼬를 텄지만, 준공영제 주체인 부산시가 조정안을 거부하면서 협상은 결렬됐습니다.
노동위원회는 결렬 직후 "협상장에도 나오지 않은 부산시의 무책임한 태도에 유감을 표명한다"며 이례적으로 비판 의견을 밝히기도 했습니다.
이번 파업이 언제까지 이어질지 미지수여서, 당분간 버스 운행 중단도 계속될 전망입니다.
또, 경남 창원에서도 오늘 새벽 노사간 협상이 결렬되면서 창원 시내버스 상당수가 오전 5시 첫차부터 운행을 멈춰, 창원시도 긴급하게 전세버스 등 대체 교통편을 투입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서면 버스환승센터 앞에서 MBC뉴스 이승엽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