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물독재국가 출현 막는 게 최대 당면과제”
“이재명 사법리스크, 하나도 해결 안 돼” 비판
“2대째 민주당원... 선택의 고통 커” 토로
이낙연 새미래민주당 상임고문은 27일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와 국민통합을 위한 공동정부 구성과 운영, 제7공화국 출범을 위한 개헌추진 협력, 2028년 대선 총선 동시실시를 통한 대통령과 국회의 임기 불일치 해소 및 3년 임기 실천 등에 원칙적으로 의견을 같이했다”고 밝혔다.
이 상임고문은 이날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구체적 협의는 양당에 맡기기로 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괴물독재국가 출연을 막는 일이야말로 대한민국이 당면한 최대 숙제가 됐다”며 “저는 괴물독재국가의 출현을 막기 위해 나름대로 노력을 해왔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와 관련해 김 후보의 거듭된 요청으로 전날 그를 광화문 저의 사무실에서 비공개로 처음 만났다”며 “김 후보와 저는 괴물독재국가 출현을 막고 새로운 희망의 제7공화국을 준비하는 데 각자의 방식으로 협력하자는데 원칙적으로 합의했다”고 덧붙였다.
특히 이 상임고문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를 겨냥해 “사법리스크가 하나도 해결되지 않은 후보를 내놨다”고 직격했다.
그는 “민주당은 한 사람의 사법리스크를 없애기 위해 입법권, 행정권, 사법권을 모두 장악하는 괴물독재국가로 가는 길을 선택했다”며 “국무총리, 검·경, 방송통신 등에 대한 국회의 통제를 강화해 해당 기관들의 독립성 마저 허물어뜨리기로 했다”고 지적했다.
전날 이재명 후보는 대통령 거부권 제한, 비상명령 및 계엄 선포에 대한 국회 통제 권한 강화, 공수처와 검찰청, 경찰청 같은 중립적 기관장을 임명할 때 반드시 국회 동의를 받도록 해야 하는 내용을 개헌 공약으로 발표했다.
그러면서 “현직을 떠나신 원로도 모두 침묵하며 그 길을 따르고 계신다. 그 모든 것이 민주당의 기괴하고도 절망적 실상”이라며 “그렇게 민주당은 제가 협력할 수 있는 여지를 처음부터 차단했다”고 비판했다.
아울러 국민들을 향해 최선이 아니면 ‘차선’이라도 선택하라며, 자신도 “선택의 고통이 크다”고 토로했다.
이 상임고문은 “저 또한 선택을 마냥 미룰 수 없다”며 “선택했다면 그 결과를 감추는 것은 저의 도리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털어놨다.
또 “저는 아버지에 이어 2대째 민주당 당원이었다”며 “그렇지만 법치주의 민주주의를 파괴하는 괴물독재국가의 길까지 동행할 수는 없다고 결론지었다”고도 했다.
“이재명 사법리스크, 하나도 해결 안 돼” 비판
“2대째 민주당원... 선택의 고통 커” 토로
이낙연 새미래민주당 상임고문은 27일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와 국민통합을 위한 공동정부 구성과 운영, 제7공화국 출범을 위한 개헌추진 협력, 2028년 대선 총선 동시실시를 통한 대통령과 국회의 임기 불일치 해소 및 3년 임기 실천 등에 원칙적으로 의견을 같이했다”고 밝혔다.
새미래민주당 이낙연 상임고문이 27일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국민의힘과의 선거 연대 방안 등을 설명하고 있다./연합뉴스
이 상임고문은 이날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구체적 협의는 양당에 맡기기로 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괴물독재국가 출연을 막는 일이야말로 대한민국이 당면한 최대 숙제가 됐다”며 “저는 괴물독재국가의 출현을 막기 위해 나름대로 노력을 해왔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와 관련해 김 후보의 거듭된 요청으로 전날 그를 광화문 저의 사무실에서 비공개로 처음 만났다”며 “김 후보와 저는 괴물독재국가 출현을 막고 새로운 희망의 제7공화국을 준비하는 데 각자의 방식으로 협력하자는데 원칙적으로 합의했다”고 덧붙였다.
특히 이 상임고문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를 겨냥해 “사법리스크가 하나도 해결되지 않은 후보를 내놨다”고 직격했다.
그는 “민주당은 한 사람의 사법리스크를 없애기 위해 입법권, 행정권, 사법권을 모두 장악하는 괴물독재국가로 가는 길을 선택했다”며 “국무총리, 검·경, 방송통신 등에 대한 국회의 통제를 강화해 해당 기관들의 독립성 마저 허물어뜨리기로 했다”고 지적했다.
전날 이재명 후보는 대통령 거부권 제한, 비상명령 및 계엄 선포에 대한 국회 통제 권한 강화, 공수처와 검찰청, 경찰청 같은 중립적 기관장을 임명할 때 반드시 국회 동의를 받도록 해야 하는 내용을 개헌 공약으로 발표했다.
그러면서 “현직을 떠나신 원로도 모두 침묵하며 그 길을 따르고 계신다. 그 모든 것이 민주당의 기괴하고도 절망적 실상”이라며 “그렇게 민주당은 제가 협력할 수 있는 여지를 처음부터 차단했다”고 비판했다.
아울러 국민들을 향해 최선이 아니면 ‘차선’이라도 선택하라며, 자신도 “선택의 고통이 크다”고 토로했다.
이 상임고문은 “저 또한 선택을 마냥 미룰 수 없다”며 “선택했다면 그 결과를 감추는 것은 저의 도리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털어놨다.
또 “저는 아버지에 이어 2대째 민주당 당원이었다”며 “그렇지만 법치주의 민주주의를 파괴하는 괴물독재국가의 길까지 동행할 수는 없다고 결론지었다”고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