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이미지투데이
[서울경제]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직장 동료 결혼식 적정 축의금 액수는 10만 원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HR테크기업 인크루트는 이달 20∼22일 직장인 844명을 대상으로 올해 기준 직장 동료의 적정 결혼 축의금은 얼마인지 설문조사한 결과를 26일 발표했다.
하객 1인 기준 결혼식에 참석해 식사까지 하는 경우 적정 축의금으로 가장 많은 61.8%가 10만 원이라고 답했다. 이어 5만 원 32.8%, 5만 원 미만 3.2%, 15만 원 1.4% 순이었다.
인크루트는 직장 동료와의 친소 관계에 따라 축의금 액수에 차이가 나는지도 물었다. ‘사적으로 친한 동료’(59.7%)와 ‘협업하거나 일로 엮인 동료’(60.1%) 등 동료와의 관계에 상관없이 1위는 10만 원이었다.
하지만 2위부터는 금액이 달랐다. 사적으로 친한 동료에 대한 적정 축의금으로는 20만 원(14.3%)이 2위였고, 3위와 4위에는 각각 15만 원(12.7%), 5만 원(9.4%)이 자리했다.
협업하거나 일로 엮인 동료의 경우 2위는 5만 원(30%)이었다. 이어 5만 원 미만(3.8%), 15만 원(3.3%) 등 순이었다.
2023년 같은 조사에서는 협업할 때만 마주치는 직장 동료의 적정 축의금으로 5만 원(65.1%)이 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었다. 하지만 물가 상승 영향 등으로 직장 동료 축의금도 함께 오른 것으로 풀이된다.
적정 축의금 액수 2위는 사적으로 친한 동료가 20만원(14.3%), 협업하는 동료가 5만원(30%)이었다.
직장 동료 결혼식 참석 범위 1위는 협업하는 동료(44.4%)였다. 청첩장을 받은 모든 직장 동료(28.2%), 사적으로 친한 동료(25.9%)가 그 뒤를 이었다.
동료 결혼식에 참석하지 않는다고 답한 응답자들은 그 이유(복수응답)로 결혼식까지 참석할 사이가 아니어서(33.3%), 개인 일정이 우선이어서(25%), 축의금의 경제적 부담이 커서(16.7%) 등을 꼽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