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4일까지 스페인·포르투갈행
사전투표·본투표 날짜 모두 포함
대구시가 경비 등 7600만원 지원
일정표엔 절반 이상이 ‘여행·관광’
사전투표·본투표 날짜 모두 포함
대구시가 경비 등 7600만원 지원
일정표엔 절반 이상이 ‘여행·관광’
대구시 산격청사 전경. 대구시 제공
대구지역 노사 대표들이 6·3 대선 때 투표를 거르고 세금지원을 받아 해외출장에 나서는 것으로 확인됐다. 출장 일정 중 절반 이상이 문화체험이나 관광 등으로 예정돼있어 “외유성 출장”이라는 비판이 제기된다.
26일 노동계 등에 따르면 대구시 노사정 대표자 및 관계자 등 10명이 오는 27일부터 다음달 4일까지 7박 9일간의 일정으로 스페인과 포르투갈을 방문한다. 노동계에서는 정병화 한국노총 대구지역본부 의장과 산별노조 대표 등 간부 9명이 포함됐다. 이창재 대구경영자총협회 상임부회장이 지역 경영계 대표 자격으로 동행한다.
대구시는 출장을 위해 항공 및 숙박료 등 약 7600만원을 지원한 것으로 확인됐다. 전액 대구시 예산으로 여행 경비뿐만 아니라 여행사 공모 및 선정, 심사위원 수당 등에도 쓰였다고 시는 설명했다.
올해 대구 노동계 및 경영계 대표단의 국제교류사업 요약 보고서 일부. 대구시 제공
현재 일정대로라면 대구시 노사대표들은 6·3 대선의 사전투표기간(5월29~30일) 및 본 선거일을 모두 출장길에서 보내게 된다. 노동자들의 투표할 권리 확대와 독려에 나서야할 노사 대표들이 대선 투표를 아예 거르는 것을 놓고 비판이 제기된다.
한 지역 노동계 관계자는 “시일을 다투는 사안도 아닌 ‘교류 수준’의 출장인 만큼 일정 연기도 충분히 가능했을 것”이라며 “투표 참여 의지의 문제”라고 말했다.
출장계획이 외유성 일정으로 상당수 계획된 점도 논란이 되고 있다. 경향신문이 입수한 출장 일정표를 보면 오가는 일정을 제외한 현지 일정 7일 중 노동관련 기관을 방문하는 일정은 총 4일에 불과하다. 나머지 3일(5월31일~6월2일)은 내내 ‘현지 문화유적지 방문 및 문화체험’으로 예정됐다.
노동관련 기관을 방문하는 4일 조차 오전에만 3시간 가량 일정이 잡혀있고, 오후는 아예 공식일정이 없다. 대구시 관계자는 “노동관련 기관을 찾은 뒤 각각 오후 시간대에는 노사 대표단이 인근 문화관광을 즐기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따르면 전체 일정의 절반 이상을 외유성 관광이나 문화체험으로 소화하는 셈이 된다.
대구시선거관리위원회가 6·3 대선을 앞두고 지역 기업 등에 배포한 자료. 노동자의 투표시간을 보장할 것을 안내하고 있다. 대구시선관위 제공
대표단은 일정 취소에 따른 위약금과 현지 사정 등을 이유로 계획 변경이 어려웠다는 입장이다.
한국노총 대구지역본부 관계자는 “출장시기가 지난 3월에서 한 차례 연기(6월)된 바 있다”면서 “계획 변경 때는 대선 일정이 나오지도 않았고, 국제노동기구 등 현지 방문 일정이 확정돼 있어 계획대로 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대구시 관계자는 “위약금이 막대하고, 방문 기관의 일정 등도 고려할 수밖에 없어 조정이 불발됐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