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이슨 권 CSO 방한
제이슨 권 오픈AI 최고전략책임자(CSO)가 26일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챗GPT 개발사 오픈AI가 한국 법인을 세운다. 정부, 국내 기업과 인공지능(AI) 기반 시설 구축 분야 등에서 협력을 확대하기 위해서다.
26일 오픈AI는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 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한국 지사 설립을 공식 발표했다. 제이슨 권 오픈AI 최고전략책임자(CSO)는 간담회에서 “수개월 안에 서울에 지사를 개설한다”고 밝혔다. 한국 법인명은 ‘오픈AI코리아’이며 법인장은 아직 공석이다. 오픈AI는 현재 일본 도쿄와 싱가포르를 포함한 11개 도시에 지사를 운영하고 있다.
오픈AI는 이날 한국의 AI 인프라 구축을 위한 ‘오픈AI 포 컨트리즈’ 프로그램도 진행할 계획을 공개했다. 해당 국가 정부와 오픈AI가 공동 출자 방식으로 자국 내 AI 인프라를 구축하는 프로그램이다. 국가 내 데이터센터 구축 지원, 맞춤형 챗GPT 개발, 국가별 AI 스타트업 펀드 조성 등이 포함된다. 권 CSO는 “한국을 포함해 아시아 태평양의 여러 국가의 기관, 정책 담당자, 기업인들과 만나 AI 인프라를 어떻게 함께 구축할 수 있을지, 한국형 AI가 한국 전역에 이익이 되도록 어떻게 도울 수 있을지 논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오픈AI가 한국에 지사까지 설립한 이유는 한국이 챗GPT 등 오픈AI 제품에 대한 수요가 많은 나라여서다. 오픈AI에 따르면 국내 챗GPT 사용자 수는 전 세계 상위 10개국 중 하나다. 유료 서비스 구독자 기준으로는 전 세계 상위 5개국에 속한다. 권 CSO는 “한국은 반도체부터 소프트웨어까지 AI 전 영역을 아우르는 통합 생태계를 갖추고 있다”며 “학생부터 노년층까지 다양한 세대가 AI를 일상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AI 선도국”이라고 설명했다.
오픈AI의 한국 본격 진출로 국내 AI 시장 판도에 지각변동이 생길 전망이다. 오픈AI는 지사 설립을 계기로 정책 입안자, 기업, 개발자, 연구자들과 협력을 한층 강화할 계획이다. 한국 공식 진출 전에도 한국산업은행(KDB)과 국내 데이터센터 개발, 국내 스타트업 육성 등에 대한 금융 협력을 발표한 바 있다. 지난 2월에는 카카오와 전략적 제휴를 체결하고 AI 서비스를 고도화하는 기술 협력을 진행하고 있다. 게임사 크래프톤, SK텔레콤과도 파트너십을 맺은 바 있다. 국내 AI 업계 관계자는 “한국 기업으로서는 거대한 파트너이자 적이 한국으로 온 셈”이라며 “얼마 없는 한국의 고급 AI 인력이 오픈AI로 유출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한편 오픈AI 측은 이날 기자간담회 이후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 힘 등 정치권 관계자들을 만나 AI관련 정책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