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현 전 특전사 1공수여단장 증인신문
검찰, 尹 비화폰 압색 영장 발부 필요 강조
세 번째 포토라인 선 尹 때론 미소 짓기도
검찰, 尹 비화폰 압색 영장 발부 필요 강조
세 번째 포토라인 선 尹 때론 미소 짓기도
윤석열 전 대통령이 26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내란 우두머리 혐의, 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 혐의 사건 5차 오전 공판을 마친 뒤 차량으로 향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윤석열 전 대통령이 12·3 불법계엄 당시 "도끼로라도 문을 부숴 국회의원을 국회에서 끄집어 내라"는 지시를 내렸다는 증언이 또 나왔다. 계엄해제 요구안 의결을 방해하려 했다는 정황이 법정에서 속속 제시되고 있지만 윤 전 대통령은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부장 지귀연)는 내란 우두머리 및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혐의를 받고 있는 윤 전 대통령의 다섯 번째 공판을 26일 열었다. 이날 증인으로 출석한 이상현 전 육군특수전사령부 1공수여단장(준장)은 계엄 당일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으로부터 "윤 전 대통령이 '도끼로라도 문을 부숴서라도 국회의원을 끄집어 내라고 한다. 전기라도 끊을 수 없느냐'라고 지시했다"는 취지의 말을 들었다고 증언했다.
이 전 여단장은 그 전까지 '상황이 이상하다'고만 인식했을 뿐 위법성을 인지하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 말을 듣고 난 뒤 "'정상적인 군사작전이 아니구나'라는 걸 (차츰) 인식하고 있을 때 전화를 받았다"면서 "'대통령'이라는 단어를 듣고 '우리가 잘못한 거 아닌가'라는 생각이 불현듯 들어 정신이 바짝 들었다"고 증언했다.
이날 법정에선 이 전 여단장이 부하인 2대대장에게 전화해 "의원들을 좀 끄집어 내"라고 지시하는 녹취가 공개되기도 했다. 이 전 여단장은 이는 곽 전 사령관의 지시를 이행한 것이라면서 해당 지시를 내리던 계엄 초반 때만 해도 북한의 침투나 민간인의 소요사태로 인한 지시로 인지했다고 주장했다. 이 전 여단장은 계엄 당시 국회 봉쇄 작전 등에 연루된 혐의로 2월 불구속 기소됐다.
검찰이 요청한 윤 전 대통령과 사건 관계인들의 비화폰 서버 압수수색 영장 발부 여부는 결정되지 않았다. 검찰은 "피고인과 공범들은 대통령경호처 관리 비화폰을 매개로 은밀히 소통해 왔다"면서 불법계엄의 모의와 실행에 비화폰이 사용된 점을 강조했다. 윤 전 대통령 측은 이에 대해 다음 기일까지 의견서를 제출하기로 했다. 재판부는 양측의 의견을 듣고 발부 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다음 기일은 다음 달 9일 오전 10시 15분에 열린다.
한편, 이날 세 번째로 포토라인에 선 윤 전 대통령은 '대선을 앞두고 국민께 할 말씀 없나' '부정선거 영화는 왜 봤는가' 등 취재진 질문에 묵묵부답으로 일관했다. 윤 전 대통령은 취재진을 향해 거리를 띄워 달라는 듯한 손짓을 하거나 지지자들을 향해 웃음을 짓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