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국보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천전리 명문과 암각화, 가치 인정
다양한 시대 그림·문자 담긴 '걸작'…확정되면 韓 17번째 세계유산
60년째 이어진 침수 문제 해결 주목…7월 프랑스 파리서 최종 결정


국보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세부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김예나 기자 = 선사시대 사람들의 삶이 오롯이 녹아 있는 울산 반구천의 암각화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될 전망이다.

1965년 들어선 댐으로 인해 해마다 물에 잠기고 노출되는 일이 반복되면서 훼손이 우려됐던 만큼, 향후 보존 관리·대책에 속도가 붙을지 주목된다.

26일 유네스코와 학계 등에 따르면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이코모스)는 우리 정부가 세계유산으로 등재 신청한 반구천 암각화에 대해 '등재' 권고 판단을 내렸다.

정식 명칭은 '반구천의 암각화'(Petroglyphs along the Bangucheon Stream)다.

국보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세계유산 분야 자문·심사기구인 이코모스는 각국이 신청한 유산을 조사한 뒤 '등재'·'보류'·'반려'·'등재 불가' 등 4가지 권고안 중 하나를 선택해 세계유산센터에 전달한다.

등재 권고를 받은 유산은 이변이 없는 한 세계유산위원회에서 등재된다.

반구천의 암각화는 한반도 선사 문화의 '정수'로 평가받는 유산으로, 국보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와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를 포함한다.

암각화는 바위나 동굴 벽면 등에 새기거나 그린 그림, 즉 바위그림을 뜻한다.

두 암각화는 오랜 세월에 걸쳐 다양한 형상이 새겨진 것으로 추정된다.

대곡리 암각화 중심 암면의 유형별 그림
2013년 울산암각화박물관이 펴낸 보고서 일부 [국립문화유산연구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1971년 발견된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는 흔히 '반구대 암각화'로 불린다.

태화강 상류의 지류 하천인 반구천 절벽에 있으며 높이 약 4.5m, 너비 8m(주 암면 기준) 면적의 바위 면에 바다 동물과 육지 동물, 사냥 그림 등이 빼곡히 새겨져 있다.

울산광역시 반구천암각화세계유산추진단이 3차원(3D) 스캔 도면, 실측 자료 등을 분석해 2023년 펴낸 도면 자료집에 따르면 총 312점의 그림이 확인된다.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는 가장 오래된 고래사냥 그림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반구대 암각화 암각화 서쪽면 하부
미술사학자인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기증 자료 [국립문화유산연구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고래 무리의 움직임을 관찰한 듯 섬세하게 새긴 그림에는 작살 맞은 고래, 새끼를 배거나 데리고 다니는 고래 등이 포함돼 세계 학계에서도 주목하고 있다.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는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에서 약 2㎞ 떨어져 있다.

반구대 암각화 발견 1년 전인 1970년에 먼저 존재가 알려졌으며 높이 약 2.7m, 너비 9.8m 바위 면을 따라 각종 도형과 글, 그림 등 620여 점이 새겨져 있다.

그중에는 신라 법흥왕(재위 514∼540) 시기에 남긴 것으로 추정되는 글도 있어 6세기 무렵 신라 사회상을 연구하는 데 있어 중요한 자료로 여겨진다.

국보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두 암각화는 옛사람들이 바위에 남긴 치열한 삶의 흔적이자 기록으로 가치가 크다.

국가유산청은 지난해 등재 신청 당시 "신석기 시대부터 신라 시대에 이르기까지 한반도 동남부 연안 지역 사람들의 미적 표현과 문화의 변화를 집약한 유산"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약 6천 년 동안 지속된 다양한 시대의 그림과 문자는 당대의 암각 제작 전통을 확인할 수 있는 독보적인 증거"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국보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반구천의 암각화는 문화유산 보존을 둘러싸고 오랜 기간 고민해온 유산이기도 하다.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는 해마다 침수와 노출이 반복돼 왔다. 반구대 지점보다 하류에 있는 사연댐의 수위가 53m를 넘으면 암각화가 물에 잠기게 된다.

최근 10년 동안에도 암각화는 연평균 42일간 물에 잠겨 있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세계유산 등재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암각화 훼손을 막기 위해 사연댐 수위 조절, 임시 제방 설치, 임시 물막이 설치 등 여러 안이 나왔으나 쉽사리 해결책을 찾지 못했다.

정부는 2021년 국무총리 주재로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를 열어 논의에 나섰고, 현재 사연댐 여수로에 수문을 설치해 수위를 낮추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

국보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이번 평가 결과에 따라 두 암각화는 세계유산 등재가 확실해 보인다.

우리나라는 석굴암·불국사, 해인사 장경판전, 종묘(이상 1995년)를 시작으로 가야고분군(2023년)까지 총 16건의 세계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반구천의 암각화가 세계유산 등재에 성공하면 17번째 세계유산이 된다.

등재 여부는 오는 7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제47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결정된다. 회의는 7월 6일(현지시간)부터 16일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세계유산은 1972년 세계유산협약에 따라 인류 전체를 위해 보호되어야 할 뛰어난 보편적 가치(Outstanding Universal Value·OUV)가 있다고 인정한 유산을 일컫는다.

문화유산, 자연유산과 두 유산 성격을 모두 지닌 복합유산으로 나뉜다.

현재 우리나라는 문화유산 14건, 자연유산 2건을 보유하고 있다.

국보 반구대 암각화 모형
울산시 울주군청 로비에 조성된 국보 반구대 암각화 모형 [촬영 장영은]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884 국민의힘, 비대위서 ‘대통령 공천·인사 개입 금지’ 당헌·당규 개정 의결 랭크뉴스 2025.05.27
48883 올여름 덥고 폭우 잦다는데…커지는 '러브버그' 공포 랭크뉴스 2025.05.27
48882 이재명, 잇따른 보수 인사 지지에 “합리적 보수 역할까지 하겠다” 랭크뉴스 2025.05.27
48881 아주대 커뮤니티에 ‘이재명 살인청부’ 글 올린 10대 자수 랭크뉴스 2025.05.27
48880 “찌르면 돈 드림” 아주대 찾은 이재명 협박 글 올린 10대男, 경찰에 자수 랭크뉴스 2025.05.27
48879 민주 "정진석, PC 파쇄 지시 의혹‥증거 인멸 시 내란공범 처벌" 랭크뉴스 2025.05.27
48878 "AI 부총리 두고 과감히 자율성 보장…쉬운 연구는 지원 끊어야"[서울포럼 2025] 랭크뉴스 2025.05.27
48877 '옥씨부인전' 중견배우 최정우 별세…50년간 선굵은 연기(종합) 랭크뉴스 2025.05.27
48876 "TV 채널 돌렸다고 때려"…요양원 환자 폭행한 보호사들 랭크뉴스 2025.05.27
48875 하이브, 2천억 규모 SM엔터 지분 전량 中 텐센트에 매각 랭크뉴스 2025.05.27
48874 '복권 유효하나 상금은 못 준다' 1140억 당첨자 법정 달려간 사연 랭크뉴스 2025.05.27
48873 김문수, 반명 총결집… 이낙연 손 잡고 이명박도 측면 지원 랭크뉴스 2025.05.27
48872 [단독] 노동 현안 감독해야 할 노동부 공무원들, ‘과로사· 블랙리스트’ 물의 쿠팡 대거 이직 랭크뉴스 2025.05.27
48871 지지율 돌파구가 없다… '완주 배수진' 친 이준석의 고민 랭크뉴스 2025.05.27
48870 ‘文정부 총리’가 친윤 품으로… 이낙연, 친문 모임서 제명돼 랭크뉴스 2025.05.27
48869 김정은 격노 부른 '굴욕의 구축함'…선체에 매단 풍선 정체는 랭크뉴스 2025.05.27
48868 "시험문제 안 틀렸어요"…초등학생이 교사에게 주먹질 랭크뉴스 2025.05.27
48867 이준석, 洪이 만든 ‘청년의꿈’ 활동 시작… “틈날 때마다 들르겠다” 랭크뉴스 2025.05.27
48866 "찐윤 윤상현 임명은 선거 포기"…갈길 바쁜 김문수 캠프 또 내홍 랭크뉴스 2025.05.27
48865 [단독] "천주교에 빨갱이", "촛불혁명 빨갱이혁명"‥'색깔론' 드러낸 김문수 랭크뉴스 2025.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