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6일에 원격으로 삭제돼
비화폰 서버 사용자 관련 정보
"일반 휴대전화로 치면 초기화"
구체적 지시 주체 등은 파악 안돼
비화폰 서버 사용자 관련 정보
"일반 휴대전화로 치면 초기화"
구체적 지시 주체 등은 파악 안돼
윤석열 전 대통령(왼쪽),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제1차장(가운데), 김봉식 전 서울경찰청장(오른쪽). 뉴스1
[서울경제]
12·3 비상계엄 선포 당시의 정황을 파악할 수 있는 ‘판도라의 상자’가 될 윤석열 전 대통령과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제1차장, 김봉식 전 서울경찰청장의 비화폰의 사용자 관련 정보가 완전히 삭제된 정황이 포착돼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비상계엄 특별수사단 관계자는 26일 서울 서대문구 미근동 경찰청에서 진행된 정례 기자간담회를 통해 “윤 전 대통령과 홍 전 차장, 김 전 청장이 비상계엄 당시 사용했던 비화폰에 대한 원격 삭제 정황을 포착했다”며 “증거인멸 혐의와 관련한 수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경찰은 비화폰 서버에 접근이 가능한 대통령 경호처 관계자가 계엄 직후인 지난해 12월 6일께 이들 3명의 비화폰 사용자 관련 정보를 삭제한 것으로 보고 지난주부터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 공교롭게도 12월 6일은 홍 전 차장이 윤 전 대통령으로부터 체포 지시를 받고 이를 거부했다는 언론 보도가 나온 날이다. 특수단 관계자는 “사용자 관련 정보 삭제는 일반 휴대전화로 치면 초기화의 개념”이라며 “원격으로 서버에 접근해 삭제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다만 현재까지 구체적인 지시 주체 등은 파악되지 않은 상태라 입건자는 ‘불상자’로 표시돼 있다고 경찰 관계자는 설명했다. 경찰은 증거인멸 혐의와 관련해서는 그간 특수공무집행방해 등 혐의로 임의제출 받은 자료로 충분히 혐의 입증이 가능해 입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특수공무집행방해 등 혐의로 윤 전 대통령의 비화폰을 포함한 19대의 휴대전화를 압수한 경찰은 대통령 경호처와 협의해 3주간 합동 포렌식을 진행하며 비화폰 서버 기록 대부분을 복구한 바 있다. 포렌식 대상 기간은 지난해 12월 3일 계엄 당일부터 올해 1월 22일까지였으며, 경찰은 이 중 수사에 필요한 자료를 골라 경찰에 임의제출 형식으로 제출했다. 이 기록에는 윤 전 대통령과 김 차장의 통화·문자 내역 등이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 관계자는 “비화폰 서버가 이틀마다 자동으로 삭제된 탓에 시간이 오래 걸렸다”고 설명했다.
더 나아가 경찰은 기간을 확대해 지난해 3월 1일부터의 비화폰 서버 내용을 추가로 포렌식했으며 대통령경호처와 제출 받을 자료를 선별하는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