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6·3 선거, 새로운 역사 쓰는 날"
헌정질서 회복 제일 중요
"화력발전소, 폐쇄 불가피…재생에너지 산업 전환 기회"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캐스팅보트인 충청권 공략에 나선 25일 충남 당진전통시장을 찾아 줄다리기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고영권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25일 '민심의 풍향계'라 불리는 충청권을 찾아 지지를 호소했다. 특히 이 후보는 "
(내란 비호세력이 복귀하면 나라가) 완전히 추락해서 다시는 재기 못 하고, 아이들이 깡통 들고 다니며 지나가는 관광객한테 '100원만 주세요' 하는 나라로 전락할 수 있다
"고 우려했다. 대선 투표를 불과 9일 앞둔 시점에서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의 지지율 격차가 한 자릿수로 좁혀진 여론조사 결과가 나오자 '심판론'을 내세워 표심 다지기에 나선 것이다.

"내란 세력 복귀시 나라 추락…국민 손으로 심판해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캐스팅보트인 충청권 공략에 나선 25일 충남 당진전통시장을 찾아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고영권 기자


이 후보는 이날 오후 충남 당진시 당진전통시장을 찾아 "이번 선거는
내란 비호세력과 내란 후보, 내란 동조 후보가 복귀할 것인지 아닌지가 결정되는 선거
"라며 "다시는 이런 일(비상계엄)이 재발하면 안 된다. 이번에 확실히 국민의 손으로 심판해야 되지 않겠나"고 외쳤다. 그는 윤석열 정부로 인해 지난 3년간 나라 경제와 민생, 국가안보 모두 무너졌다며 "내란 세력들이 귀환하는 것을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민편 대 기득권편 줄다리기' 퍼포먼스
를 펼치기도 했다.

김문수 후보에 대한 비판도 이어갔다. 이 후보는 충남 아산 유세현장에서 국민의힘과 김 후보를 겨냥해 "내란수괴, 내란세력의 비상계엄 해제에 참여하지 않고, 탄핵에 반대했다"며 "내란당의 내란비호 후보가 다시 귀환하면 이 나라는 폭력과 불공정, 불법이 지배하는, 영원히 다시 일어서지 못하는 제3세계 후진국가로 전락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여러분만의 참여만으로는 부족하다. 3표 부족하다. 주권자 국민 참여가 있어야 나라가 지켜지고 만들어진다"며 투표를 독려했다.

"화력발전소, 폐쇄 불가피…재생에너지 산업전환 도울 것"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캐스팅보트인 충청권 공략에 나선 25일 충남 당진전통시장을 찾아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고영권 기자


대규모 석탄화력발전에 의존하는 당진의 산업구조 개편을 두고 전환이 불가피하다며 정부가 책임을 지고 산업 전환을 추진하겠다고도 했다.

이 후보는 "
화력발전소는 죄송하지만 국가 전체 차원에서 결국 폐쇄해야 한다"며 "RE100에 따라 전 세계는 재생에너지 사회로 전환하고 있다
"고 말했다. 그러면서 "화력발전소가 폐쇄되면 재생에너지 중심 산업단지를 만들든 변압시설을 만들든 해서 데이터센터를 유치하고 (기존에 화력발전소에서) 일하던 분들은
직업 전환을 정부가 책임지고 해야 한다
"며 "화력발전소 때문에 스트레스 받지 말고 이것이 '다시 사는 길'이라고 생각하고 희망을 가지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원자력발전을 강조한 김 후보의 공약도 비판했다. 이 후보는 "김 후보께서는 RE100이 불가능하다고 한다. 그런데 원자력발전은 재생에너지로 쳐주지 않는다"며 "원자력발전을 60%로 만들고 화력발전소 같은 기존의 화석연료 에너지를 계속 쓰면 나라가 수출을 못 해서 사실상 망하는 길로 가게 된다"고 꼬집었다. RE100은 2050년까지 사용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하겠다고 400여 개 국제 기업이 자발적으로 약속한 글로벌 캠페인이다.

충청, 대선서 줄곧 당선자 선택해






충청은 이전에도 전국 단위 선거, 특히 '대선'에서 캐스팅보트 역할을 해왔다.
지난 20대 대선에서도 이 후보는 각각 대전 3.11%포인트, 충북 5.55%포인트, 충남 6.12%포인트 차이로 윤석열 전 대통령에게 밀리며 패배했다. 이에 앞서 19대 대선에선 문재인 전 대통령이 충청 지역 모두 두 자릿수 차이 득표율을 거두며 승리했다. 18대 대선에서도 충청 유권자들은 박근혜 전 대통령을 선택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592 [속보] 북한 '금강산',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전망…신청 4년만 랭크뉴스 2025.05.27
48591 [속보] 북한 ‘금강산’,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전망…신청 4년만 랭크뉴스 2025.05.27
48590 대선까지 남은 일주일, ‘변수’는 셋···격차·단일화·설화 랭크뉴스 2025.05.27
48589 [속보] 북한 '금강산',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전망…신청 4년 만 랭크뉴스 2025.05.27
48588 상인들 “5시 통금, 매출 반토막”… 주민들 “이제야 좀 살 것 같다” 랭크뉴스 2025.05.27
48587 직영 AS센터 없는 샤오미… 스마트폰 액정 수리비 ‘들쑥날쑥’에 소비자 분통 랭크뉴스 2025.05.27
48586 김문수 지지층 41% "TV토론은 이준석이 잘했다" 이례적 평가 [중앙일보 여론조사] 랭크뉴스 2025.05.27
48585 [단독] U2 보노 “암울한 이 시대 다시 사랑을 생각한다” 랭크뉴스 2025.05.27
48584 '댄스 배틀'로 변질된 대선 유세... '흥'에 취해 놓친 정책과 비전 [기자의 눈] 랭크뉴스 2025.05.27
48583 “도대체 언제까지 일 하라고!” 70세 은퇴 ‘후폭풍’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5.27
48582 美·EU, ‘관세유예’ 다음날 무역수장 통화 재개… 협상 새국면 랭크뉴스 2025.05.27
48581 [단독]대선 투표도 거르고 ‘외유성 출장’···대구지역 노사 대표들 해외 방문 논란 랭크뉴스 2025.05.27
48580 "선호 얼굴 아냐" 너무 쉬운 방송계 해고···'프리랜서' 둔갑에 우는 방송사 직원들 랭크뉴스 2025.05.27
48579 남은 일주일, ‘변수’ 셋···격차·단일화·설화 랭크뉴스 2025.05.27
48578 [대선 D-7] 승부 가를 운명의 일주일…굳어지는 3자 대결 구도 랭크뉴스 2025.05.27
48577 서울도 7월부터 '초고령사회'…5년간 3.4조 쏟아 이것 늘린다 랭크뉴스 2025.05.27
48576 중국, 5년 만에 ATM 30만 대 줄였다 랭크뉴스 2025.05.27
48575 권한대행 2명 동시소환…"내란 수사 확대 신호탄" 랭크뉴스 2025.05.27
48574 [단독] 초중고 다니는 가습기살균제 피해자만 907명···“유난 떤단 말 듣고” 피해사실 감췄다 랭크뉴스 2025.05.27
48573 '키 큰 고기압' 솜이불 덮은 듯 덥다…올해도 '지독한 폭염' 랭크뉴스 2025.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