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갈이, 코골이, 수면 무호흡증 모두 수면장애의 한 종류다. 이갈이가 치과와 연관이 있다는 건 쉽게 떠올릴 수 있지만 코골이나 수면 무호흡증이 치과와 어떤 관련이 있을까 의문을 가지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코골이나 수면 무호흡증의 원인은 모두 구강이라는 동일한 환경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치과에서 만드는 교합 안정장치나 턱 견인 장치 같은 구강 내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다. 여기에 약 처방이나 보톡스 같은 부가 치료를 병행하면 치료 효과는 더욱 좋아진다.

그렇다면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은 어떻게 생기는 걸까? 두 증상 모두 수면 중 기도가 좁아져 발생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코골이는 누운 상태에서 턱과 입천장의 부드러운 목젖 부위가 중력에 의해 아래로 처지면서 기도가 좁아지고 이때 목젖이 떨리며 소리를 내는 것이다.

반면 수면 무호흡증은 잠자는 동안 기도가 좁아져 일정 시간 동안 숨을 쉬지 못하는 현상이다. 수면 무호흡증이 있는 경우 대부분 코골이도 함께 동반된다. 특히 얼굴을 옆에서 보았을 때 아래턱이 뒤로 들어가 있는 경우, 즉 아래턱이 작고 후퇴된 얼굴형을 가진 사람들은 기도가 좁아져 코골이나 수면 무호흡증이 더 자주 나타난다.

보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수면 다원검사를 받아야 한다. 수면 다원검사는 수면 중 발생하는 코골이, 수면 무호흡증, 이갈이, 잠꼬대, 수면 부족 등과 관련한 이상 증상을 확인하기 위한 검사다. 검사 방법은 근육과 머리 부위에 측정 장비를 부착한 후 병원에서 하룻밤 자면서 진행되며 수면 중 호흡의 흐름, 깊은 잠의 유무, 근육의 긴장도 등을 기록하고 분석해 이상 여부를 파악하고 치료 방향을 결정하게 된다.

이갈이는 소아기에도 흔하게 나타나며 보통은 성장하면서 자연스럽게 줄어드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은 나이가 들수록 발생 빈도가 높아지는 질환이다. 미국의 연구에 따르면 30~60세 연령층에서 시간당 5회 이상의 무호흡-저호흡이 나타나는 수면 호흡장애가 남성의 24%, 여성의 15%에서 관찰되었으며 주간 졸음증을 동반한 수면 무호흡증은 남성 4%, 여성 2%로 나타났다.

국내에서도 40~69세 연령대 남성의 27%, 여성의 16%에서 수면 호흡장애가 발견되었다고 보고되었으며 남성의 경우 4명 중 1명이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을 겪고 있다는 결과가 있다. 만일 아침에 일어나도 개운하지 않고 피로감이 지속된다면 코골이 또는 수면 무호흡증을 의심해 보는 것이 좋다.

이러한 증상의 주요 원인으로는 음주와 비만이 지적된다. 실제로 체중을 감량하면 코골이와 무호흡증이 줄어든다는 여러 보고가 있다. 또 다른 일반적인 치료법으로는 자는 동안 산소를 불어넣어주는 양압기(CPAP)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는 일정한 압력의 공기를 지속적으로 불어넣어 기도가 좁아지거나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로 효과는 입증되어 있지만 마스크를 착용해야 하는 불편함 때문에 여름철에는 착용이 어렵다.

이에 비해 치과에서 제작하는 장치는 마스크 없이 착용이 가능해 더욱 편리하다. 구강 내 장치, 하악 전방 유도 장치, 기도 확장 장치, 코골이 장치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자는 동안 아래턱을 앞으로 당겨 기도를 넓히거나 입천장의 목젖 부위를 들어 올려 기도 공간을 확보해 증상을 줄여주는 원리다.

이러한 구강 내 장치는 치아에 맞춰 제작되며 아래턱의 위치를 기도가 열릴 수 있는 이상적인 위치로 유도하는 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치열, 턱의 위치 등이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 방사선 사진과 3차원 CT를 통해 기도의 폭과 넓이를 측정하고 진단한 뒤 환자 개개인에 맞는 장치를 맞춤 제작하면 코골이나 수면 무호흡증의 개선 효과를 충분히 기대할 수 있다.

단, 목젖이 과도하게 크거나 편도선이 비대해 기도를 막는 경우라면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일반적인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증의 경우라면 수술보다는 치과에서 제작하는 보존적 치료장치만으로도 충분히 해결할 수 있다.

김현종 서울탑치과병원 원장

한경비즈니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997 "문형배 교수 임용 말라"…윤OO, 서울시립대에 협박편지 보냈다 랭크뉴스 2025.05.25
47996 '유튜브 프리미엄 라이트' 요금제 韓 출시 임박…음원 생태계 뒤바뀔까 랭크뉴스 2025.05.25
47995 [팩트 다이브] 캐나다가 이주노동자에 최저임금 차등 적용? 랭크뉴스 2025.05.25
47994 코로나때도 늘었던 커피숍… 올 1분기 처음으로 꺾였다 랭크뉴스 2025.05.25
47993 “백인 집단 학살했지?”…트럼프 ‘기습 윽박’에 남아공 대통령 봉변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5.25
47992 [가족] 짧은 눈맞춤·손길도 온몸으로 반기는 번식장 구조견 '제인' 랭크뉴스 2025.05.25
47991 “김문수가 만남 추진한다던데” 묻자 이준석이 팔 걷고 한 말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5.25
47990 ‘연봉 1억’ 회계사 관두고 화장실 청소하는 30대 女… “퇴사 후회 안 해” 랭크뉴스 2025.05.25
47989 'SNL 출연' 설난영, 김혜경에 "법카 쓰지 마세요"... 이준석엔 "식구" 랭크뉴스 2025.05.25
47988 [현장+]김문수 "난 방탄조끼 필요없는 역전의 명수"…중원서 표심 구애 랭크뉴스 2025.05.25
47987 김문수 후보 빼고 다 내준다... 대통령 임기 3년 단축도 '이준석과 단일화' 포석 랭크뉴스 2025.05.25
47986 SPC 노동자 사망에 분노… “KBO빵 사지 말자” 랭크뉴스 2025.05.25
47985 소상공인 폐업도 늘고 대출도 늘고 랭크뉴스 2025.05.25
47984 '지귀연 접대 의혹' 업소, 11년 전 '무허가 유흥주점' 단속 적발 랭크뉴스 2025.05.25
47983 민주당이 불붙인 ‘재판소원’…법조계 안팎 “오히려 국민 권리 구제 늦어져” 우려 랭크뉴스 2025.05.25
47982 “경쟁 피해 틈새시장으로”… 항공사 단독 노선, 1년 새 17% 늘어 랭크뉴스 2025.05.25
47981 국힘·이준석 "이재명, 실패한 거북섬 자랑"…민주 "허위사실 고발"(종합2보) 랭크뉴스 2025.05.25
47980 "미국산 쌀에서 '발암물질' 나왔다" 연구결과…'이렇게' 먹어야 한다는데 랭크뉴스 2025.05.25
47979 대선 투표용지 인쇄 시작… 단일화 ‘1차 시한’ 지났다 랭크뉴스 2025.05.25
47978 중국은 인재 귀국하는데… 한국선 박사 따도 일자리 없다 랭크뉴스 2025.0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