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원전 발전 용량 4배 늘리기로
EU 주요국도 탈원전에서 친원전으로 전환
EU 주요국도 탈원전에서 친원전으로 전환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에터스의 강 건너편에서 바라본 스리마일섬 원자력발전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의 원자력 발전 용량을 2050년까지 4배로 늘리겠다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사진=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의 원자력 발전 용량을 2050년까지 4배로 늘리겠다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EU에 이어 미국도 원전 개발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밝혀 한국에는 엄청난 기회가 될 전망이다.
2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우리는 오늘 엄청난 행정명령에 서명하고 있다”며 “이것은 이 산업에서 미국을 진짜 파워(국가)로 다시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행정명령은 원자력규제위원회(NRC) 개혁, 에너지부 내 원자력 에너지 연구 개혁, 연방 정부 토지 내 원전 건립 추진, 미국 내 우라늄 채굴 및 농축 확대 등을 골자로 한다.
이번 행정명령은 향후 25년 내 원자력 발전 용량을 4배로 하는 것을 목표로, 규제 절차를 산업의 실제 필요와 공공 안전에 맞춰 NRC를 개혁하는 내용을 담았다.
AP통신 등은 이번 행정명령에 신규 원자력 발전소 허가 결정을 18개월 이내에 하도록 하는 내용도 포함돼 있다고 보도했다.
미국에 앞서 EU 국가들도 잇달아 탈원전을 취소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러시아가 대유럽 에너지 수출을 제한하자 에너지 안보 차원에서 원자력을 재평가하는 분위기다.
벨기에가 22년 만에 탈원전 정책을 폐기했고, 40년간 원전 금지 정책을 이어온 덴마크도 최근 에너지 정책 변화를 시사했다.
세계 최초의 탈원전 국가인 이탈리아는 마지막 원자력 발전소가 폐쇄된 지 25년 만인 지난 3월 원자력 사용을 다시 허용하는 법안을 승인했다.
스페인도 이 대열에 합류했다. 최근 대규모 정전 사태가 발생하면서 스페인도 향후 10년 안에 원자로 7곳을 폐쇄한다는 계획을 취소했다.
상황이 이렇자 한국이 가장 큰 수혜를 입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한국은 러시아, 중국과 함께 세계에서 가장 발전된 원전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기름 한 방울 나지 않는 한국은 수십 년 동안 화석 연료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목표로 자체 원전 기술을 개발해 왔기 때문.
특히 서구 대부분 국가가 전체주의 국가인 중국과 러시아 기술을 채택하는 것을 꺼리고 있어 한국은 유리한 위치를 점령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