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1분기 역성장 충격 속 환율은 1,300원대로 하락…인하로 내수 살려야"
"하반기 1∼2회 더 내릴듯…통화완화로 집값·가계부채 뛸 가능성도"


개회선언하는 이창용 한은 총재
(서울=연합뉴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7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며 개회 선언을 하고 있다. 2025.4.17 [사진공동취재단] [email protected]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한지훈 민선희 기자 = 대부분의 경제 전문가들은 오는 29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가 경기 부양 차원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p) 낮출 것으로 보고 있다.

민간 소비·건설투자 등 내수 부진으로 이미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전 분기보다 0.2% 뒷걸음쳤고, 미국발 관세전쟁 등의 영향으로 향후 수출까지 불안한 상황에서 금리라도 낮춰 소비·투자를 살릴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다만 일각에서는 추가경정예산(추경) 등 충분한 재정정책이 병행되지 않을 경우 금리를 내려도 경기 부양에 한계가 있고, 결국 부동산으로 다시 돈이 몰려 가계부채 등 금융 불안만 커질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그래픽] 경제성장률 추이
(서울=연합뉴스) 김민지 기자 = 한국은행은 올해 1분기(1∼3월)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직전분기대비·속보치)이 -0.2%로 집계됐다고 24일 발표했다.
[email protected]
X(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7명 모두 "한은, 성장률 대폭 하향조정하면서 금리 인하"
25일 연합뉴스가 경제 전문가 7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모두 이달 금통위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기준금리가 인하(연 2.75%→2.50%)될 것으로 예상했다.

금통위가 지난달에는 1,500원을 넘보는 원/달러 환율 불안을 명분으로 금리를 동결했지만, 이후 1분기 -0.2%의 충격적 성장률이 현실로 확인된 만큼 더는 인하를 머뭇거릴 여유가 없다는 게 이들의 공통된 견해다.

박정우 노무라증권 이코노미스트는 "내수 부진과 관세 충격 등으로 경기 하방 압력이 큰 상태로, 인하가 불가피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조영무 LG경영연구원 연구위원도 "생각보다 더 좋지 않은 경기 상황이 지표로 속속 확인되면서 여러 기관도 올해 한국 성장률 전망치를 계속 낮추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는 한은도 금리를 내릴 수밖에 없다"고 진단했다.

실제로 이달 들어서만 현대경제연구원이 올해 전망치를 1.7%에서 0.7%로 무려 1.0%p나 한꺼번에 깎았고, 국책 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예상 성장률마저 1.6%에서 0.8%로 반토막이 났다. 8개 해외 주요 투자은행(IB)이 제시한 올해 한국 성장률 전망치 평균도 4월 말 기준 0.8%에 불과하다.

한은 역시 19일 금리와 함께 공개할 수정 경제 전망에서 올해 성장률 추정치를 기존 1.5%에서 0%대로 낮출 것이라는 관측이 적지 않다. 이런 큰 폭의 하향 조정은 결국 금리 인하의 명분이 된다.

[그래픽] 주요 기관 2025년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
(서울=연합뉴스) 김민지 기자 = 국책 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은 14일 '2025년 상반기 경제전망'에서 우리나라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6%에서 0.8%로 대폭 끌어내렸다.
[email protected]
X(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달러약세와 국내 정치불안 해소로 환율↓…인하 걸림돌 사라져"
최근 안정된 원/달러 환율 흐름도 금리 인하 전망에 힘을 싣고 있다.

원/달러 환율은 앞서 지난달 9일 미국 상호관세 발효와 함께 주간(낮) 거래에서 금융위기 이후 가장 높은 1,487.6원까지 치솟았지만, 이후 미국 관세정책 불확실성과 재정 적자 확대 우려 등으로 달러 가치가 급격히 약세를 보이면서 지난 23일엔 6개월여만에 최저 수준인 1.375.6원까지 떨어졌다.

안재균 신한투자증권 연구위원은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불확실성 등에 외국인 입장에서는 달러 약세-원화 추가 절상 기대가 남아 있다"며 "1,400원대 환율에 영향을 미쳤던 국내 정치 불안까지 해소 단계이므로 환율이 금리 인하의 걸림돌이 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장민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도 "현재 환율이 낮은 수준이라고 보기는 어렵지만, 일단 1,400원대 중반에서 환율이 고착되는 불안은 없어졌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래픽] 원/달러 환율 추이
(서울=연합뉴스) 김민지 기자 = 7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 주간 거래 종가는 전 거래일(2일·1,405.3원)보다 7.3원 내린 1,398.0원을 나타냈다.
[email protected]
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통화정책 경기 효과 크지 않을수도…추경 등 재정정책에 기대"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등이 강화되는 추세인 만큼, 금리가 낮아져도 부동산·가계대출도 다시 뛰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이 우세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통화정책이 계속 가계부채를 신경 쓸 수는 없고, 가계부채와 서울 집값 등은 3단계 스트레스 DSR 규제 등으로 막아야 한다"며 "금리를 한두 번 내린다고 가계부채가 갑자기 크게 불어날 것 같지도 않다"고 예상했다.

박석길 JP모건 본부장도 "금통위가 금리 수준을 결정할 때 가계부채를 충분히 고려하겠지만, 가계부채 수준이 통화정책에만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닌 만큼 결국 DSR 등 거시 건전성 정책과 조화를 이뤄야 한다는 게 금통위원들의 생각"이라고 전했다.

하지만 박 이코노미스트는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등으로 들썩인 부동산 가격이나 가계부채가 하반기 다소 안정될 것"이라면서도 "낮아진 금리에 새 정부가 들어서면 부동산이 급등할 것이라는 기대까지 겹쳐 부동산·가계부채가 다시 불안해질 가능성도 남아 있다"고 경고했다.

금리 인하 등 통화정책만으로는 경기 부양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조 연구위원은 "금리 인하 효과가 없진 않겠지만 제약적일 것으로 본다"며 "여전히 금융기관의 대출 태도나 여건이 완화적이지 않기 때문에 금리가 좀 낮아진다고 가계나 기업이 돈을 많이 빌릴 수 있을지 의문스럽다"고 밝혔다.

아울러 "이미 올해로 넘어오면서 경기 부진 대응의 무게 중심이 통화정책에서 추경 등 재정정책으로 넘어갔다"고 덧붙였다.

[그래픽] 한미 기준금리 추이
(서울=연합뉴스) 이재윤 기자 =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7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 드라이브로 인해 경제 불확실성이 커졌다고 진단한 뒤 경제 상황을 더 지켜보겠다며 기준금리를 재차 동결했다.
연준은 이날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현재 수준인 4.25∼4.50%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연준은 지난 1월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이날까지 3차례의 FOMC 회의를 개최했고 3번 모두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email protected]
X(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미국과 금리차, 2%p까지 확대…"美연준 연내 1∼3회 인하"
전문가들은 저성장 기조에서 탈출하기 위해 한은이 하반기에도 한 두차례 기준금리를 더 내릴 것으로 예상했다.

박 이코노미스트는 "일반적으로 1%p 기준금리를 낮추면 6∼12개월 시차를 두고 한국 경제 성장률을 0.1∼0.2%p 높이는 효과가 있다"며 "따라서 한은이 연내 8월과 11월 두 차례 더 금리 인하를 단행할 가능성이 있지만, 7월 초 미국과 관세 협상이나 새 정부의 경제정책 기조,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금리 인하 속도 등에 따라 다소 유동적"이라고 진단했다.

박 본부장 역시 하반기 두 차례 추가 인하가 있을 것으로 내다봤고, 장 위원도 "하반기 미국이 금리를 내릴 가능성이 있으니 한은도 하반기 1∼2회 더 내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조 연구위원, 주 실장, 안 연구위원, 안예하 키움증권 선임연구원은 모두 하반기 1회 추가 인하 가능성에 무게를 뒀다.

미국 연준의 올해 금리 인하 속도와 관련해서는 적게는 연내 1회부터 많게는 3회까지 의견이 엇갈렸다. 관세 인상이 미국 인플레이션(물가 상승)과 성장 부진 가운데 어느 쪽에 더 큰 영향을 미칠지 견해가 다르기 때문이다.

박 이코노미스트는 "이번에 한은이 금리를 내리면 미국(4.25∼4.50%)과 격차가 2.00%p까지 커지는 것은 부담"이라면서도 "길게 보면 연준도 인하 기조에 있는 만큼 일시적 확대를 한은이 받아들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단기금리 떨어져도…추경과 美·日 국채금리 영향에 장기금리는 상승압력"
예상대로 기준금리 인하가 이뤄지면, 이는 직접적으로 단기 시장금리를 낮춘다.

하지만 장기 금리의 경우 미국·일본 국채금리 상승과 국내 추경 등의 영향으로 오르면서 시장의 장·단기 금리차가 커질 가능성이 거론된다.

백석현 신한은행 S&T센터 이코노미스트는 "최근 미국을 비롯해 주요 선진국의 재정 확대 또는 부채 증가로 중장기 금리가 상승 압박을 받는 가운데 국내 정책 측면에서 추경과 새 정부의 재정 확대 기조까지 겹치면 중장기 금리가 오를 가능성이 커진다"며 "하지만 통화정책의 영향을 많이 받는 단기물은 하락하면서 장·단기 금리차가 확대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배재현 KB경영연구소 금융경제연구센터 연구원도 "주요국의 금리 상승은 국내에서도 금리 상승 압력으로 작용하겠지만, 지난해 GDP 대비 46% 수준인 한국 국가부채 건전성을 고려하면 그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며 "단기 금리보다 장기 금리가 대내외 불확실성에 더 큰 영향을 받아 상대적으로 장기 금리 상승 압력이 단기보다 더 클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전문가들은 일본 국채금리 상승에 따른 급격한 엔 캐리 트레이드 자금 청산 가능성이 크지 않은 것으로 보고 있다. 엔 캐리 트레이드는 일본 시중은행에서 금리가 낮은 엔화를 빌려 우리나라나 미국처럼 일본보다 금리가 높은 나라의 주식이나 채권, 부동산 등의 자산에 투자하는 것을 말한다.

백 이코노미스트는 "4월 말 엔화 강세에 베팅한 투기 물량이 30년 만에 최대일 정도로 엔화 매수 포지션이 압도적으로 많다"며 "이런 경우에는 일본 금리가 올라도 엔 캐리 청산이 많지 않다. 엔화 매도 포지션의 쏠림이 심할 때 대규모 엔 캐리 청산이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791 23년 동안 3번 음주운전해 파면된 경찰관‥법원 "과중한 징계" new 랭크뉴스 2025.05.25
47790 사전투표 폐지하겠다던 김문수 “걱정말고 사전투표 참여해달라” new 랭크뉴스 2025.05.25
47789 지난해 의대 정시 합격선 ‘뚝’…연고대 이공계는 3등급도 합격 new 랭크뉴스 2025.05.25
47788 '찬물 욕조'서 의붓아들 숨지게 한 계모, 친자식은 불법 입양 new 랭크뉴스 2025.05.25
47787 “한국 큰일났다”...갈 곳 잃은 청년들 new 랭크뉴스 2025.05.25
47786 [삶] "난 6살때 가족에 의해 영화관에 버려졌다" new 랭크뉴스 2025.05.25
47785 “후보님 드실 건데 선결제 좀”…‘노쇼’ 사기범 목소리 공개합니다 new 랭크뉴스 2025.05.25
47784 김문수 "대통령의 당무개입 원천 차단…즉각 당헌 개정할 것" new 랭크뉴스 2025.05.25
47783 김문수 “대통령의 당내선거·공천 등 당무 개입 원천 차단… 당헌 즉시 개정” new 랭크뉴스 2025.05.25
47782 ‘현실주의적’ 개헌, 다시 기회가 왔다 new 랭크뉴스 2025.05.25
47781 '자다 깨니 문 앞에 1만t 배가'...노르웨이 주택 앞마당에 대형 선박 '황당' 좌초 랭크뉴스 2025.05.25
47780 트럼프 “의견 차이 대화로 풀겠지만 미국 위협받으면 무력 사용 적을 없앨 것” 랭크뉴스 2025.05.25
47779 김문수·이준석, 단일화 '1차 시한' 넘겨 랭크뉴스 2025.05.25
47778 [속보] 김문수 "저도 사전투표 하겠다…걱정 말고 참여해주시길" 랭크뉴스 2025.05.25
47777 김문수 “걱정 말고 사전 투표해달라…저도 참여할 것” 랭크뉴스 2025.05.25
47776 “엔비디아, 中 시장 겨냥 저가형 블랙웰 출시 예정” 랭크뉴스 2025.05.25
47775 [속보]김문수·이준석, 단일화 '1차 시한' 넘겨 랭크뉴스 2025.05.25
47774 [속보] 김문수 “대통령의 당내선거·공천 등 당무 개입 금지, 당헌 명시” 랭크뉴스 2025.05.25
47773 사법농단 대책 미루다···이재명 판결 후 개혁안 봇물, 민주당의 '지연된 사법개혁' 랭크뉴스 2025.05.25
47772 대선 후보들 해법 있나…치킨집·식당 이어 카페도 첫 감소 자영업의 '비명' 랭크뉴스 2025.0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