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미 대학 '전액 등록금' 유학생 의존도 높아…美학생 학비절감에도 도움
주거비 등 유학생이 쓰는 돈 적지 않아…"대중국 서비스 수지 상당한 흑자"


미 하버드대 교내 상점에 전시된 기념품
[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배포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김연숙 기자 = 미국 하버드대의 외국인 학생 등록을 차단한 도널드 트럼프 정부의 조치가 확대될 경우 미 대학 재정뿐만 아니라 국가 경제에도 영향을 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23일(현지시간) 미 일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전날 트럼프 정부가 하버드대에 대해 내린 학생 및 교환 방문자 프로그램(Student and Exchange Visitor Program·SEVP) 인증 취소 조치는 하버드대뿐만 아니라 유학생 비중이 큰 대학에 큰 타격이 될 수 있다.

학부와 대학원을 합쳐 미국 내 유학생이 가장 많은 곳은 일리노이 공대다. 무려 51%가 외국에서 온 학생들이다.

이밖에 카네기 멜론대 44%, 노스이스턴대 40%, 컬럼비아대 40%, 존스홉킨스대 39%, 뉴욕대(NYU) 37%, 캘리포니아 공대 32%, 시카고대 31%, 보스턴대 30% 등도 유학생 비중이 높은 학교로 꼽힌다.

유학생 비중은 한때 대학의 국제적 명성과 재정 여력을 보여주는 지표였지만, 트럼프 정부에선 취약점으로 작용하게 된 상황이다.

지난 20년간 중국, 인도 등 국가에서 소득 증가와 함께 자녀를 미국에서 교육하려는 부모가 늘면서 이들 국가 출신의 유학생은 꾸준히 늘었다.

미국 내에선 공립대학들이 주(州) 교육 기금 감소분을 메우기 위해 유학생들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였다. 유학생들은 통상 등록금 전액을 내는 경우가 많아 대학 재정에 도움이 된다.

미국 학생들은 대학이나 연방정부 프로그램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지원을 받는 경우가 많다. 공립대의 경우 같은 주 출신 학생들은 수업료가 더 낮다.

그 결과 유학생들은 미국인 학생들보다 수업료에 1.5배 이상 기여할 수 있다고 국제교육연구소(IIE)의 미르카 마르텔은 설명했다.

그리고 이는 대학 재정뿐만 아니라 미국 학생들의 학비 절감에도 도움이 된다.

미 대학들의 이러한 현실을 고려할 때 유학생 감소는 시설, 연구 축소를 비롯해 미국 내 차세대 인력 교란에 이르기까지 심각한 재정적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의미라고 NYT는 설명했다.

지난달 29일(현지시간) 미 하버드대에서 '자유를 위한 학생' 단체가 주최한 시위에 참석한 학생들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배포 및 DB 금지]


유학생들이 미국에서 교육비, 생활비로 쓰는 돈도 적지 않다는 점에서 미 경제에도 파장을 미칠 수 있다.

고등교육은 사실상 미국의 주요 '수출' 품목이다. 유학생들은 미국 내에서 교육받고 미국에서 주택비, 식료품과 서적 구매 등 생활비로 돈을 쓴다.

미 비영리 국제 교육자 협회(NAFSA)에 따르면 2023∼2024학년도에 110만여명의 유학생이 미 경제에 기여한 경제적 규모는 약 430억달러(약 59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분석된다. 대부분 수업료와 주택 자금이었다.

캘리포니아대 경제학자 가우라브 칸나는 현재 미국 내 대중국 적자 논란을 언급하며 "재화로는 적자지만, 고등교육과 같은 서비스 수지에선 우린 상당한 흑자"라고 지적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735 매일유업이 샤브샤브를 만든다고?...준비만 2년 걸린 ‘샤브식당 상하’ 랭크뉴스 2025.05.25
47734 ‘12·3계엄 인권침해’ 묻자 “윤석열 방어권 권고했다” 답변한 인권위···소수자 대책은 회피 랭크뉴스 2025.05.25
47733 'SKT 해킹' 개인정보 분쟁조정 신청 수백명…"정부 대응 소극적" 랭크뉴스 2025.05.25
47732 대통령감은 누구인가?…대선 TV토론 속 진짜 리더의 민낯 [박영실의 이미지 브랜딩] 랭크뉴스 2025.05.25
47731 "대선 때 투표 고민되면 경실련 '정당선택도우미' 사용해 보세요" [인터뷰] 랭크뉴스 2025.05.25
47730 자다 깨보니 집앞에 화물선이…노르웨이서 좌초 사고 랭크뉴스 2025.05.25
47729 ‘월세 뉴노멀’… 단독·다가구 임대차 거래, 10건 중 8건이 월세 랭크뉴스 2025.05.25
47728 이재명에게 한 초고속 재판, 우린 왜 안 되나요···약자들의 '지연된 정의' 랭크뉴스 2025.05.25
47727 “한국에 엄청난 기회”...글로벌 ‘원전 르네상스’ 속도 랭크뉴스 2025.05.25
47726 ‘국내 최장기 특허 소송’ 11년 얼음정수기 전쟁…코웨이 ‘판정승’ [장서우의 판례 읽기] 랭크뉴스 2025.05.25
47725 [대선공약] 李도 金도 '간병비 급여화'…건강보험 재정 확보가 관건 랭크뉴스 2025.05.25
47724 사모펀드로 넘어가기 직전인 롯데렌탈…직원들은 뒤숭숭 랭크뉴스 2025.05.25
47723 또 경영권 분쟁? 한진칼-호반 지분 경쟁···주주이익 빠진 채 되풀이되는 ‘쩐의 전쟁’[산업이지] 랭크뉴스 2025.05.25
47722 전문가들 "한은, 0%대 저성장 위기에 29일 기준금리 낮출것" 랭크뉴스 2025.05.25
47721 김문수·이준석, '마이웨이' 가나…단일화 '1차 시한' 넘겨 랭크뉴스 2025.05.25
47720 [똑똑한 증여] “재혼 전 받은 재산까지 토해내”… 아버지 사망 후 돌변한 새엄마 랭크뉴스 2025.05.25
47719 한해 지구 1049바퀴…서울 지하철 기관사 허리 ‘빨간불’[일터 일침] 랭크뉴스 2025.05.25
47718 ‘커피 끊어야 하나…’ 스벅, 저가, 믹스 다 오르는 커피값에 소비자들 고민 랭크뉴스 2025.05.25
47717 '3축체계' 안 보이는 이재명, 美에 달린 확장억제 김문수 [이철재의 밀담] 랭크뉴스 2025.05.25
47716 슈퍼마이크로 CEO “韓 점유율 25% 목표…턴키로 액체냉각 문턱 낮출 것” 랭크뉴스 2025.0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