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난해 2학기부터 폐강... 35년 이어진 명맥 '뚝'
올해도 개설 안하자 학생들 주도 '여름학기' 마련
"누구든 수강 신청 가능·수업료 무료... 학점은 0"
'16년간 강의' 강성윤 강사가 총 12회 걸쳐 수업
서울 관악구에 위치한 서울대의 정문에 위치한 '샤' 로고 구조물. 국립의 'ㄱ'과 대학교의 'ㄷ', 서울대학교의 'ㅅ'을 합친 상징물이다. 한국일보 자료사진


지난해 서울대에서 35년 만에 폐강된 ‘마르크스경제학 강의’의 부활을 요구하는 학생들 목소리가 가라앉지 않는 가운데, 올여름 해당 분야의 입문서 격인 정치경제학을 배우는 수업이 개설된다. 폐강 직전까지 마르크스경제학 과목을 맡았던 강사가 ‘정치경제학입문 여름학기’ 강의를 누구나 들을 수 있도록 ‘수업료 무료·0학점’ 형태로 가르치겠다고 나선 것이다. 비(非)제도권 수업이라 해도 ‘서울대 내 마르크스경제학 강의’가 부활하는 셈이다. 벌써 수강 신청도 시작됐다.

서마학 "6·24~7·31 수업... 수강 신청하세요"



24일 ‘서울대 마르크스경제학 개설을 요구하는 학생들’(서마학)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계정에 따르면, 서마학은 구글독스를 통해 ’2025 여름학기 정치경제학입문(0학점)’ 수업의 수강 신청을 받고 있다. 이번 강의는 2008년부터 서울대에서 마르크스경제학 과목 수업을 담당했던 강성윤 강사가 맡고, 다음 달 24일~7월 31일 주 2회씩 총 12회에 걸쳐 진행된다. 장소는 ‘서울대 내 강의실’이며, 온라인 수업도 병행할 전망이다.

가장 눈에 띄는 건 ‘개방성’이다. 신청 대상은 ‘수강을 원하는 모든 서울대 구성원 및 비구성원 시민’으로 안내됐다. 사실상 제한을 두지 않는다는 뜻이다. 강의료에 대해서도 서마학은 “강성윤 선생님 뜻에 따라 무료로 진행한다”고 공지했다. 경제적 부담을 고려할 필요도 없는 만큼, 마음만 먹으면 누구나 들을 수 있는 수업이다. 다만 학교 측이 개설한 공식 수업은 아니기 때문에 학점은 ‘0점’이다.

마르크스경제학은 시장친화적인 주류경제학의 대척점에 있는 학문이다. 독일의 카를 마르크스(1818~1883)와 프리드리히 엥겔스(1820~1895)가 노동가치론·잉여가치론에 근거해 자본주의 시스템을 분석한 ‘자본론’을 토대로 한다. 사회주의권 몰락 이후 인기가 시들해지긴 했으나, “자본주의 한계 비판·극복을 위해 여전히 중요하고 연구해야 한다”는 학계의 평가도 적지 않다. ‘자본론’은 “현대 인류사회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책”으로도 꼽힌다.

서울대의 마르크스경제학 강의는 1989년 1학기 경제학과에 부임한 고(故) 김수행 교수가 2008년 정년퇴임 때까지 줄곧 담당했다. 그 이후에는 강성윤 강사가 명맥을 이었다. 하지만 서울대는 지난해 2학기부터 △정치경제학 입문 △마르크스경제학 △현대 마르크스경제학 등 관련 과목을 모두 폐강했다. 학교 측은 ‘수요 부족’과 ‘교수진 부족’을 이유로 내세웠다.

서울대 마르크스경제학 개설을 요구하는 학생들(서마학)이 올해 정치경제학입문 여름학기 무료 강의 개설을 알리고 있는 포스터. 서마학 엑스 계정 캡처


"서울대, 올해 마르크스경제학 강사 채용 봉쇄"



이번 여름학기 수업 개설은 35년 만의 폐강 이후 약 1년 만이다. 서마학은 “서울대 경제학부는 결국 마르크스경제학 수업 개설을 또다시 거부했다”며 “듣겠다는 학생들이 있었고 강의하겠다는 강사도 있었지만 그들은 ‘개설할 필요를 느끼지 않는다’고 했다”고 전했다. 이어 “이 지식이 서서히 사라지는 것을 지켜보지 않겠다”며 “서마학에선 직접 수업을 열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16년간 서울대 강단에서 유일하게 마르크스경제학을 가르쳤던 강성윤 강사는 “2025년에는 채용 신청 기회조차 갖지 못했다”고 밝혔다. 지난 22일 서마학을 통해 낸 입장문에서 그는 “2008년부터 서울대 경제학부에서 강의를 했고, 2022년에도 신규 임용돼 3년 동안 강의를 했다”며 “그러나 올해는 제 전공 분야인 마르크스경제학이 채용 분야에서 완전히 배제됐다”고 설명했다.

마르크스경제학 퇴출을 노린 것일까. 서울대는 채용 방식 자체를 바꾼 것으로 전해졌다. 강 강사는 “3년 전에는 (강사) 채용 분야를 ‘경제학 전반’으로 둔 반면, 이번에는 전공 분야와 과목을 대단히 협소하게 제한했다”며 “결국 특정 분야의 강사, 마르크스경제학 분야를 가르칠 수 있는 강사의 채용을 원천 봉쇄하겠다는 의도”라고 주장했다. 강사법에 따라 채용된 강사는 1년 단위 재계약을 통해 최장 3년까지 강의할 수 있고, 이후에는 다시 신규 임용 절차를 거치게 된다.

서마학은 이 같은 서울대 방침에 반발하는 학생들을 중심으로 지난달 출범했다. 경제학부 규탄 성명을 발표한 이들은 학내외에서 ‘마르크스경제학 강의를 복원하라’는 2,400명 이상의 서명을 받았다. 이달 9일에는 기자회견을 열고 “마르크스경제학 폐강은 대학이 비판적 사유의 기회를 거부하고, 불편한 지식의 존립 가능성을 원천 차단하는 것”이라며 “결국 대학이라는 공간이 수행해야 할 최소한의 책무마저 외면하고 있는 사건이자 위기”라고 강조했다.

연관기사
• 서울대 경제학과 마르크스 강의 사라진다… 35년 만에 미개설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081115230005573)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753 설난영 “제가 노조하게 생겼어요?” 논란…한국노총 “구시대 사람” [이런뉴스] new 랭크뉴스 2025.05.25
47752 목 졸린 상처는 나았지만 '동물농장 깜순이' 마음에 남은 상처는.. new 랭크뉴스 2025.05.25
47751 바다는 ‘음향 스튜디오’, 해수면 빗소리로 강수량 잴 날 온다 new 랭크뉴스 2025.05.25
47750 트럼프발 예산 삭감 나비효과…‘지구 방어용 망원경’ 물 건너가나 new 랭크뉴스 2025.05.25
47749 '대법관 100명 증원' 주장을 가볍게 넘길 수 없는 이유 new 랭크뉴스 2025.05.25
47748 발주 지연에 공공공사 ‘한파’…1년6개월 만에 수주 10조원 밑으로 new 랭크뉴스 2025.05.25
47747 [작은영웅] “이 여학생들 찾아주세요” 무인카페 사장님 감동시킨 손님의 메모 (영상) new 랭크뉴스 2025.05.25
47746 78회 칸영화제 황금종려상에 이란 반체제 감독의 ‘잇 워스 저스트 언 액시던트’ new 랭크뉴스 2025.05.25
47745 커피 끊어야 하나…스벅·저가·믹스·캡슐 다 오른다 new 랭크뉴스 2025.05.25
47744 월세 뉴노멀…단독·다가구 임대차 10건 중 8건이 월세 new 랭크뉴스 2025.05.25
47743 100원에 주식 사는 법…전환사채의 비밀 new 랭크뉴스 2025.05.25
47742 [현장]LG·한화팬들, 30만원 긁는 이 편의점…유광점퍼·독수리막걸리도 판다[New & Good] new 랭크뉴스 2025.05.25
47741 경기 남양주 일부 지역, 하루 가까이 단수…교통 사고도 잇따라 new 랭크뉴스 2025.05.25
47740 지독한 '사법 불신' 판친 이 나라…국민이 판사 직접 뽑는다 [세계한잔] new 랭크뉴스 2025.05.25
47739 크보빵 불매, 대선 쟁점 부각... SPC 노동자 사망 사고 '후폭풍' new 랭크뉴스 2025.05.25
47738 팔란티어, 전쟁 끝나도 뛴다…이 뉴스 터지면 그때 팔아라 new 랭크뉴스 2025.05.25
47737 ‘12·3계엄 인권침해’ 묻자 “윤석열 방어권 권고” 답한 인권위···소수자 대책은 회피 new 랭크뉴스 2025.05.25
47736 “전광훈에 눈물 흘렸잖아” vs “부정선거 주장했잖아” 맞고발 [지금뉴스] new 랭크뉴스 2025.05.25
47735 매일유업이 샤브샤브를 만든다고?...준비만 2년 걸린 ‘샤브식당 상하’ new 랭크뉴스 2025.05.25
47734 ‘12·3계엄 인권침해’ 묻자 “윤석열 방어권 권고했다” 답변한 인권위···소수자 대책은 회피 new 랭크뉴스 2025.0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