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차 TV 토론에서 '세대 갈라치기' 되풀이
"청년 일방적 희생" 사실 아냐…인상효과 커
이재명 "연금제도 둔 세대 갈라치기 부적절"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후보가 23일 서울 영등포구 KBS본관 스튜디오에서 열린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관 제21대 대통령선거 2차 후보자 토론회 준비를 하고 있다. 뉴시스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가 연금개혁을 두고 또다시 ‘청년 독박론’을 들고나왔다. 연금개혁으로 이득을 보는 세대(기성세대)와 손해를 보는 세대(청년세대)가 다르다며 ‘세대 갈라치기’도 되풀이했다. 하지만 이준석 후보 주장과 달리 전문가들은 연금개혁이 청년세대에게 결코 불리한 건 아니라고 입을 모은다.

이준석 후보는 23일 열린 대선 후보 2차 TV토론(사회 분야)에서 지난 3월 국회를 통과한 연금개혁에 대해 “구조(구조개혁)는 놔두고 숫자(모수개혁)만 바꾼 가짜 개혁이자 밀실 합의”라고 비난하며 청년층을 겨냥한 ‘신구 연금 분리’ 공약을 내놨다. 개혁 시점 이후 납입되는 보험료를 구연금 재정과 완전 분리해 신연금 계정으로 별도 관리·운영하겠다는 구상이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연금제도는 세대 간 연대인데, 그런 식으로 세대를 갈라치는 건 적절하지 않다”고 지적하자, 이준석 후보는 “소득대체율 인상으로 기성세대는 (연금을) 바로 받아가고, 젊은 세대는 인상된 금액(보험료)을 평생 내면서 가만히 앉아 한 사람당 3,000만 원 이상 손실을 떠안게 된다”며 발끈했다.

하지만 청년이 일방적으로 희생한다는 주장은 사실에 부합하지 않는다. 연금개혁은 보험료율(내는 돈)을 현행 9%에서 2033년까지 8년에 걸쳐 13%로 인상하고, 2028년 40%로 내려갈 예정이던 소득대체율(올해 41.5%)을 내년부터 43%로 올리는 것이 골자다. 소득대체율 43%는 내년 이후 보험료를 내는 기간에만 적용되기 때문에, 은퇴를 앞둔 중장년층보다 연금 가입기간이 많이 남아 있는 청년층에게 인상 효과가 더 크게 돌아간다. 예컨대 50세 직장인은 43%가 적용되는 기간이 10년, 59세 직장인은 1년밖에 안 된다. 이미 연금을 받고 있는 사람에게는 아무 혜택이 없다.

보험료율이 오르면서 과거 오랜 기간 낮은 보험료를 내던 기성세대보다 청년세대가 상대적으로 부담감을 느낄 수는 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청년층도 내는 돈에 비해 더 많이 받아간다. 예컨대 월 309만 원(가입자 평균 소득)을 버는 직장인이 내년부터 40년간 보험료를 내고 노후에 25년간 수급한다고 가정할 경우 총 보험료는 1억8,762만 원, 총 연금액은 3억1,489만 원으로 추계된다.

현재는 총 1억3,349만 원을 내고 2억9,319만 원을 받는 구조다. “청년이 3,000만 원 손해 본다”는 이준석 후보 주장은, 현재와 비교해 더 내는 보험료(5,400만 원)와 더 받는 연금액(2,100만 원)을 계산해서 나온 금액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청년들도 궁극적으로 내는 돈보다 받은 돈이 1억2,000만 원 이상 많다는 사실은 간과하고 있다.

이번 연금개혁으로 기금 소진 시기가 2056년에서 2071년(기금 수익률 5.5% 상정)으로 15년 늦춰졌다. 재정 안정성이 높아졌다는 건 청년을 위한 개혁이었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014 [대선참견시점] "이준석은 할 거다?" / 이재명 외친 손학규 / 천공의 갈아타기? 랭크뉴스 2025.05.24
52013 이재명 “노무현 전 대통령 정치개혁은 제 인생의 전환점" 랭크뉴스 2025.05.24
52012 스타벅스 ‘대선 후보 이름 금지’에 외신 주목 랭크뉴스 2025.05.24
52011 머스크의 값비싼 외도… 부와 권력 마음껏 휘두르다 거센 역풍에 퇴장 랭크뉴스 2025.05.24
52010 이준석 “룰 지켜라” 이재명 “질문도 답의 일부” 날선 2차 토론 랭크뉴스 2025.05.24
52009 계엄·부정선거부터 원전까지…대선후보 2차 토론 전방위 난타전 랭크뉴스 2025.05.24
52008 "담배 줄이고, 학교 열심히"…숨진 제주 교사, 끝까지 학생 챙겼다 랭크뉴스 2025.05.24
52007 민주화 이후 6명 다 법정에… 코스처럼 반복되는 ‘대통령 잔혹사’ 랭크뉴스 2025.05.24
52006 이재명 “재생에너지 확대” 김문수 “원전중심 정책 지속” 랭크뉴스 2025.05.24
52005 권영국 손바닥에 ‘民’(백성 민)자 쓰고 나왔다…윤석열 패러디한 듯 랭크뉴스 2025.05.24
52004 [사설] 사회 갈등·초고령저출산 문제 개혁 없이 해결하지 못한다 랭크뉴스 2025.05.24
52003 이재명 “내란세력 심판” 김문수 “사기꾼 퇴치해야” 랭크뉴스 2025.05.24
52002 李 "헐뜯기 많아져" 金 "쏘는대로 명중"…2차토론 점수는? 랭크뉴스 2025.05.24
52001 김문수, 이준석 단일화에 "어제 안 되는 게 오늘 되는 게 정치" 랭크뉴스 2025.05.24
52000 “누님 말씀 잘 듣고, 학교 열심히”…마지막까지 제자 걱정했던 교사 랭크뉴스 2025.05.24
51999 이재명 “에너지 섞어 쓰자”…김문수·이준석 ‘친중’ 공격[대선 토론] 랭크뉴스 2025.05.24
51998 "법카로 샴푸 사" "증거 대봐라"…거칠게 충돌한 김문수·이재명 랭크뉴스 2025.05.24
51997 연중무휴 택배, 대선 때 멈춘다…배송기사 참정권 보장 랭크뉴스 2025.05.24
51996 ‘형수 욕설’ ‘소방관 갑질’ 네거티브 공방전… 사회 통합 현안서도 격돌(종합) 랭크뉴스 2025.05.24
51995 네거티브 공방 속 두번째 토론 마친 후보자들, 평가는?[대선 토론] 랭크뉴스 2025.0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