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기후위기 토론, '재생에너지 vs 원전' 구도
김문수 후보 "원전이 싸고 안전하다" 주장
이준석, 이재명에 "한국 원전 불신하나?"
이재명 "당장 싸도 폐기물 처리, 사고 우려"
권영국 "이준석, 기후 공약 자체가 없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왼쪽부터), 김문수 국민의힘, 이준석 개혁신당, 권영국 민주노동당 대통령 후보가 23일 서울 영등포구 KBS본관 스튜디오에서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관 제21대 대통령선거 2차 후보자 토론회 시작에 앞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뉴스1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전체 발전량 중 원자력 비중을 60%까지 올리자는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 공약에 대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한국 기업들이 RE100(재생에너지 100%)을 달성해야 하는데 재생에너지 수요는 어떻게 감당하냐"
며 직격했다. 김 후보는 "RE100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발전 단가가 저렴한 원전 확충을 주장했다.

23일 열린 대선 후보 2차 토론(사회 부문)에서는 '재생에너지 발전 대 원자력 발전' 구도가 지난 1차 토론회보다 더욱 강하게 부딪혔다. 이재명 후보는 '기존 원전과 수명 연장이 가능한 안전한 원전은 계속 쓰되 재생에너지 비중을 높여가자'는 입장이고, 김문수 후보와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는 값싼 원자력 발전 단가와 수출 산업으로서의 원전 유망성을 강조하고 있다. 권영국 민주노동당 후보는 탈핵과 2035년까지 재생에너지 60%를 주장한다.

지난해 기준 발전원별 비중은 원전 31.7%, 석탄 28.1%, 액화천연가스(LNG) 28.1%, 신재생 10.5%, 기타 1.6%인데,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실현하려면 석탄과 LNG를 대체할 발전원을 찾아내야 하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 '원전 확대론자'인 김 후보는 지난달 발표한 공약에서
'원자력 발전 비중을 60%(대형 원전 35%·SMR 25%)까지 늘릴 경우 전기료 반값이 현실적으로 가능하다'
고 밝힌 바 있다.

김 후보 공약에 대해 이재명 후보는 "원전 하나를 짓는데 10년, 15년이 걸리고 RE100 에너지원에는 원전이 포함되지 않는다"며 "RE100 제품만 사겠다는 글로벌 기업 수요에 맞춰야 하는데 어떻게 감당할 생각이냐"고 지적했다. RE100은 기업의 사용 전력을 재생에너지 100% 전환하자는 캠페인으로 구글, 애플,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등
전 세계 440여
개 기업이 참여
하고 있다. 글로벌 기업들이 공급망 내 협력사들에게 RE100을 요구해 국내 기업들도 재생에너지 확보가 시급하다.

그러나 김 후보는 "RE100이 좋은 구호지만 사실상 불가능하다"면서 "RE100이 되려면 상당한 시간이 지나지 않으면 안 돼서 현실을 모르는 소리"라고 주장했다. 이 후보는 "(배출된 탄소량에 따라 관세를 매기는 유럽연합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도 있기 때문에 재생에너지 비중을 높여야 한다"고 반박했다. CBAM은 당장 내년 1월부터 본격 시행된다.

김 후보는 "전 세계 30여 개국이 원자력 발전만이 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는 대안이라고 했다"며 원전 확대를 재차 강조하기도 했다. '2050년까지 전 세계 원자력 에너지 발전량을 세 배로 확대하겠다'는 선언에 한국, 미국, 캐나다, 프랑스 등 31개국이 서명한 사실을 거론한 것이다. 하지만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3배 확대' 서약에 동참한 국가는 지난해 11월 기준 133개국으로 재생에너지 확대가 '글로벌 표준'에 훨씬 가깝다고 평가받는다.

원자력 안전성 문제를 두고도 후보자들 간 논박이 이어졌다. 이준석 후보는 이재명 후보를 향해 "후쿠시마·체르노빌 사고를 얘기하며 한국 원전에 대한 확신을 가지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비판했다. 이에 이재명 후보는 "한국 원전을 불신한 적은 없다"면서 "당장은 원전이 (생산 비용이) 싼 게 맞지만 폐기물 처리 비용이나 사고 비용을 고려하면 엄청 비싼 에너지일 수 있다"고 답했다.

권영국 후보 역시 김문수 후보를 향해 '원전 폐기물 문제'에 대한 대안이 없는 점을 꼬집고, 이준석 후보에게는 '기후 공약이 없다'고 비판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015 150명 문상객 웃음 터졌다…빨간 구두 박정자 '1박2일 장례식' 랭크뉴스 2025.05.25
48014 누리호가 쏘아 올린 KAIST 차세대소형위성2호, 2년 임무 완수 랭크뉴스 2025.05.25
48013 이재명-김문수 격차 9.3%p…보수 결집, 중도·무당층 일부 이탈 랭크뉴스 2025.05.25
48012 백령도서 훼손된 점박이물범 사체 1구 발견…지자체 인계 랭크뉴스 2025.05.25
48011 딸은 다 알면서 담요 던졌다…“한강에 가자” 엄마의 죽음 랭크뉴스 2025.05.25
48010 하룻밤 새 등장한 거대 바윗덩어리…이문동 신축아파트 뭔일 랭크뉴스 2025.05.25
48009 단일화 '마이웨이' 가나…김문수 "만남 추진" 이준석 "담판 없다"(종합) 랭크뉴스 2025.05.25
48008 "이거 따면 월 420만원"…초봉 가장 높은 국가기술자격은 랭크뉴스 2025.05.25
48007 이재명 “투표지, 세상 바꾸는 총알…사전투표 많이 해서 필승하자” 랭크뉴스 2025.05.25
48006 한동훈, 처음으로 '김문수' 적힌 옷 입고 유세…"포기하지 말라" 랭크뉴스 2025.05.25
48005 자영업자들의 폐업 도미노...코로나19 때도 늘었던 카페마저 줄었다 랭크뉴스 2025.05.25
48004 완주서 도로 달리던 차량 15m 아래로 추락…운전자 중상 랭크뉴스 2025.05.25
48003 이재명 "국정 모든 에너지, 민생경제 회복에‥불황과의 일전" 랭크뉴스 2025.05.25
48002 [날씨] 일교차 큰 월요일…한낮 서울 26도·대구 27도 랭크뉴스 2025.05.25
48001 ‘친노’ 천호선 “이준석, 노무현 대통령 특별히 덕담한 것처럼 거짓말” 랭크뉴스 2025.05.25
48000 '민심 풍향계' 충남 찾은 이재명... "내란 비호세력 귀환하면 후진국으로 전락" 랭크뉴스 2025.05.25
47999 "李, 관광유인 없는 거북섬에 웨이브파크 유치"…"거북섬 실패 자랑"(종합2보) 랭크뉴스 2025.05.25
47998 "개 짖는 소리 좀 안나게 해라"…참다 못해 아파트에 대형 뱀 풀어놓은 주민 랭크뉴스 2025.05.25
47997 "문형배 교수 임용 말라"…윤OO, 서울시립대에 협박편지 보냈다 랭크뉴스 2025.05.25
47996 '유튜브 프리미엄 라이트' 요금제 韓 출시 임박…음원 생태계 뒤바뀔까 랭크뉴스 2025.0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