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서울 용산구 노들섬에서 열린 체험형 뷰티·헬스 축제 '2025 올리브영 페스타'가 참관객들로 북적이고 있다. 연합뉴스

23일 오전 서울 용산구 노들섬에서 열린 ‘2025 올리브영 페스타’ 현장. 놀이공원에 온 듯 알록달록한 꾸며진 부스마다 흰 배낭을 둘러맨 젊은 여성들이 줄지어 서 있었다. 이들은 입장하며 기념품으로 받은 배낭에 부스별 제공 선물을 차곡차곡 채웠다.

대학생 장다희(23)씨는 “재작년에 재미있게 참여했던 기억이 나서 올해 다시 왔다”며 “줄이 길긴 해도 여러 부스를 빠짐없이 다 둘러보고 싶다”고 말했다. 평소 올리브영을 자주 이용한다는 김가현(25)씨도 “다양한 브랜드를 한 번에 볼 수 있어 체험하는 재미가 있다”며 “입장료 값어치 이상의 제품을 받아갈 수 있다고 들어 기대가 크다”고 말했다.

CJ올리브영, 쿠팡, 무신사, 컬리, 지그재그 등 국내 대표 패션·뷰티 플랫폼들이 대규모 오프라인 뷰티 축제를 잇따라 열고 있다. 화장품, 헬스케어 제품 등을 직접 체험해보고 선물도 받아가는 행사다. 푸드 트럭에 토크 콘서트, 버스킹 공연 등 즐길거리도 풍성해, 5만원대 입장권 수 만장이 판매 개시 1분 만에 동나는 등 반응이 뜨겁다. 내수 침체 속 몇 안되는 성장 산업으로 발전한 K뷰티가 오프라인 콘텐트로도 자리 매김했다는 평가다.



5만원 입장권 1분 매진
22일 서울 노들섬에서 열린 국내 최대 규모 체험형 뷰티&헬스 축제 '2025 올리브영 페스타'를 찾은 방문객들로 붐비고 있다. 뉴스1

오는 25일까지 열리는 올리브영 페스타는 지난 2019년 국내 최초로 시작된 체험형 뷰티·헬스 행사다. 지난해까지는 올리브영 어워즈 수상 브랜드 중심으로 실내(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진행됐지만 올해는 한강 노들섬에서 역대 최대인 1만1570㎡(3500평) 규모로 열렸다. 스킨케어·메이크업·헬시라이프 등 5개 주제의 테마 존에는 총 108개 브랜드가 84개 부스를 꾸렸다.

CJ올리브영은 행사 진행 닷새 동안 약 3만명의 관람객이 방문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입장권은 지난달 세 차례에 걸쳐 사전 판매됐는데 1만5000~5만5000원의 가격에도 1분 만에 매진됐다. 미국, 일본, 홍콩, 동남아 등의 유통 플랫폼 관계자 400여 명도 순차적으로 행사장을 방문할 예정이다. CJ올리브영 관계자는 “(페스타를 통해) 고객에게는 새로운 K뷰티 제품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고, 브랜드에는 실질적인 성장 기회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고 설명했다.



앞다툰 뷰티 축제, 왜
카카오스타일이 운영하는 플랫폼 지그재그는 지난달 11일부터 13일까지 성수동에서 직잭뷰티의 첫 오프라인 팝업스토어를 운영했다. 사진 카카오스타일

MZ소비자들에게 뷰티 팝업 행사는 관심 있는 화장품을 다양하게 경험할 수 있는 ‘득템 찬스’로 꼽힌다. 부스별 간단한 활동만 참여해도 견본품뿐 아니라 정품 제품까지 받을 수 있어 입장권 가격을 감안해도 ‘남는 장사’라는 것이다.

입점 업체들로서는 뷰티 축제를 통해 소비자들에게 제품 체험 기회를 제공하고, 이들의 관심 데이터를 확보하는 것이 큰 소득이다. 부스를 방문한 소비자들은 브랜드 스토어 즐겨찾기 등록, 카카오톡 채널 친구 추가 등의 미션을 수행해야 견본품이나 굿즈 등을 받을 수 있다. 자체 매장이 없는 중소기업이 브랜드를 알리고 미래 고객을 확보할 수 있는 기회가 된다.

플랫폼에도 오프라인 행사는 단골 고객을 늘릴 수 있는 홍보 수단이다. 유통(쿠팡, 컬리)이나 패션(무신사, 지그재그) 비중이 높은 경우 뷰티 고객의 관심을 유도하고 입점 브랜드를 소개하기 위한 목적으로 페스타를 신설하기도 한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화장품은 의류 등 패션 카테고리보다 1회당 구매 가격은 낮지만 연간 구매 빈도가 두 배 이상 많다”며 “뷰티는 고정 고객 확보 시 안정적 수입원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매출 상승 효과 ‘톡톡’
지난해 서울 중구 동대문자인플라자(DDP)에서 열린 '컬리 뷰티 페스타 2024'에서 참관객들이 부스를 둘러보고 있다. 연합뉴스
행사 이후 플랫폼별 거래액 상승 효과도 뚜렷하다. 지난 12일부터 18일까지 온·오프라인에서 ‘뷰티 페스타’를 진행한 무신사의 경우 이 기간 뷰티 부문 거래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배가량 뛰었다. 16~18일 열린 서울 성수동 무신사 팝업 스토어에는 약 2만명이 방문해 성황을 이루기도 했다.

지그재그도 지난달 처음으로 오프라인 무료 축제 ‘직잭뷰티 팝업스토어’를 개최했는데 이 기간 뷰티 부문 거래액이 직전월 동기 대비 129% 증가하고 신규 고객 수는 55% 늘었다. 지그재그를 운영하는 카카오스타일 관계자는 “체험 부스를 통해 자신의 취향에 맞는 맞춤형 제품을 찾고, 이를 구매하기 위해 재방문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1차 목표”라며 “올해 팝업으로 뷰티에 대한 고객들의 관심을 확인한 만큼 관련 카테고리를 더욱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607 트럼프 밈코인 거액 투자자 행사에 한국인들도 초청받아 랭크뉴스 2025.05.24
47606 일본제철 US스틸 인수 승인… "19조원 투자해 파트너십" 랭크뉴스 2025.05.24
47605 포로교환 직후 키이우에 대규모 공습…젤렌스키 "러 전쟁 끌어"(종합) 랭크뉴스 2025.05.24
47604 '위기감' 끌어올린 이재명 "바짝 신경 안 쓰면 내란세력 다시 돌아와" 랭크뉴스 2025.05.24
47603 민주당 "대선 사실상 양자대결‥보수 단일화해도 지지율 떨어질 것" 랭크뉴스 2025.05.24
47602 하루 11번 분화…日사쿠라지마 화산, 일주일째 '검은 연기' 공포 랭크뉴스 2025.05.24
47601 국민의힘 “李 ‘박근혜 부정선거’ 허위 해명” 형사 고발 랭크뉴스 2025.05.24
47600 코로나19, 중국이 기원지였나…펜데믹 5년 전 이미 유행 랭크뉴스 2025.05.24
47599 [크랩] 8분 순삭! 2차 대선 토론 핵심만 모아봤습니다 랭크뉴스 2025.05.24
47598 이재명 “윤석열 외환죄 책임 물어야…국힘은 보수 아닌 극우” 랭크뉴스 2025.05.24
47597 민주 “김문수 도지사 때 소방헬기 162회 사용, 황제 행세” 랭크뉴스 2025.05.24
47596 이재명 “제가 미워도 내란세력 결코 안 돼···당선되면 주가 오를 것” 랭크뉴스 2025.05.24
47595 백악관, NSC 직원 다수 돌연 해고·면직‥조직 축소 시동 랭크뉴스 2025.05.24
47594 "中곳곳서 임금체불 항의 시위…공장 방화에 저임금 논란도" 랭크뉴스 2025.05.24
47593 러·우크라 포로교환, 평화 첫 단추?…여전히 동상이몽 랭크뉴스 2025.05.24
47592 “누가 대통령돼도 오른다”...코스피 3000 기대감 ‘솔솔’ 랭크뉴스 2025.05.24
47591 "산이 부풀어 올랐다…각별한 주의 필요" 日 '활화산'에 불안감 확산 랭크뉴스 2025.05.24
47590 이재명 “부정선거 했으면 내가 이겨야지 왜 윤석열이 이기나” 랭크뉴스 2025.05.24
47589 생활비 오르는데, 정부는 "물가안정"…국민 화나게 한 착시 랭크뉴스 2025.05.24
47588 다급한 김문수 쪽, 이준석에 “정치적 셈법 없다” 단일화 또 압박 랭크뉴스 2025.0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