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난 15일은 40대 하청 노동자 이정제 씨가 테트라포드 작업을 마치는 날이었습니다. 3년여간 울산 동구의 조선소 앞 바다에 테트라포드를 설치하는 일을 했는데, 보강 작업을 마무리하고 테트라포드와 바지선을 연결하는 줄을 풀면 작업은 끝이었습니다.

그날은 잠수 일을 하던 기존 작업자가 나오지 않았습니다. 정제 씨는 크레인을 쓰는 작업자, 바지선 선장과 함께 셋이 작업을 마쳤고, 직접 줄을 풀게 됐습니다. '잠수 슈트'만 입고 약 30m 거리를 헤엄쳐야 했던 정제 씨, 줄을 풀고 바지선으로 다시 돌아오지 못했습니다. "물에 들어간 작업자가 안 나온다"는 선장의 신고가 해경에 전해졌지만, 정제 씨를 구조했을 때 이미 의식이 없는 상태였습니다.

결국 정제 씨는 세상을 떠났습니다. 빈소를 찾는 원·하청 관계자들의 말을 들어봐도 납득이 되지 않는다며 유가족은 분통을 터뜨렸습니다.

■"엄마, 내는 바다 안 들어간다"…'물이 무섭다'던 정제 씨는 왜 바다로 갔나
"엄마, 나 절대 물에 안 들어가고, 텔레비전으로 보면 줄 잡아주고 하는 거 엄마 봤지? 그거다." 이러더라고. (그래서) 그거면 가서 하지. 물에 들어가면 나는 절대 너 안 보낸다

하청 노동자 이정제 씨 어머니

정제 씨의 원래 역할은 '잠수 보조'였습니다. 잠수사와 연결된 줄을 잡아주고, 필요하면 공기를 주입하는 역할을 했다고 합니다. 그런데 혼자 바다에 들어갔다가 사고를 당한 겁니다.

유가족들은 정제 씨가 "물을 무서워하는 사람"이었다고 말합니다. 3년 전 사고 하청 기업 아진건설에 입사한 뒤 물에 들어가는 작업을 해 본 적도 없는 사람이었고, 잠수 관련 자격증도 없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해류가 거세 해경이 배를 띄우기도 어려웠던 15일 낮에 정제 씨는 바다에 들어갔습니다.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는 '수상 또는 선박 건조 작업 종사자가 물에 빠질 우려가 있을 경우, 사업주는 작업 장소에 구명정 또는 구명 장구를 비치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구명보트는 물론 구명조끼조차 없었습니다. 스쿠버 잠수 작업이었다면 2인 1조 작업이 원칙이고, 공기를 주입하는 표면 공급식 잠수 작업인 경우에는 감시인을 배치해야 합니다.

정제 씨가 숨진 작업 현장에서는 지켜지지 않았습니다. 왜 이런 상황에서 정제 씨가 바다에 들어가야 했는지, 유가족들은 묻고 있습니다.

■항상 웃던 살가운 동생, 엄마 안심시키던 아들…집으로 돌아가지 못했다
"통상적으로 해왔다." 이런 얘기를 (하청 업체 관계자가) 하고 갔는데, 결국 계속 (바다에 들어가는 작업을) 시켜왔다는 얘기밖에 안 되는 것 같아요."

하청 노동자 이정제 씨 누나

유가족들은 부검을 마치고 하청 기업 측 관계자를 만났습니다. "그날 작업이 있는 줄도 몰랐다"는 말을 듣고는 분통을 터뜨렸습니다.

또, "슈트를 입고 가면 몸이 뜨기 때문에, 수심 1m가 안 되게 느껴지는 바다를 걸어서 들어가는 작업이었다"고 설명했다고 합니다. 마치 정제 씨가 역량이 부족해 사고가 난 것처럼 말하는 태도에 눈물을 흘리기도 했습니다.

"왜 바다에 들어가지도 않는 정제 몸에 맞는 슈트가 있느냐"고 묻자, "통상적으로 (바다에 들어가는 작업을) 해왔다"는 답변도 들었다고 합니다.

정제 씨의 어머니와 누나는 정제 씨를 "살가운 사람"으로 기억합니다. 어머니가 작업이 걱정돼 전화를 걸면 "엄마, 걱정하지 마라. 내가 알아서 할게"라며 안심시키는 사람이었고, 누나는 "아무리 나쁘게 말해도 항상 웃던 사람"이라고 정제 씨에 대해 말합니다.

숙식도 일터에서 함께 해결하다 보니 자주 볼 수 없던 정제 씨. 이번 작업이 끝나면 어머니의 집에 들르기로 했지만, 정제 씨는 집으로 돌아가지 못했습니다.

해경과 고용노동부는 작업 당시 구명 장비가 제대로 구비되지 않은 점, 줄 해체 작업을 할 때 꼭 바다에 들어갔어야만 했는가 등을 위주로 원청 현대산업개발과 하청 아진건설 관계자를 상대로 조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자격증도 없고 물을 무서워하던 잠수 '보조자' 정제 씨를 왜 바다로 보내야 했는지가 조사의 중점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753 설난영 “제가 노조하게 생겼어요?” 논란…한국노총 “구시대 사람”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5.25
47752 목 졸린 상처는 나았지만 '동물농장 깜순이' 마음에 남은 상처는.. 랭크뉴스 2025.05.25
47751 바다는 ‘음향 스튜디오’, 해수면 빗소리로 강수량 잴 날 온다 랭크뉴스 2025.05.25
47750 트럼프발 예산 삭감 나비효과…‘지구 방어용 망원경’ 물 건너가나 랭크뉴스 2025.05.25
47749 '대법관 100명 증원' 주장을 가볍게 넘길 수 없는 이유 랭크뉴스 2025.05.25
47748 발주 지연에 공공공사 ‘한파’…1년6개월 만에 수주 10조원 밑으로 랭크뉴스 2025.05.25
47747 [작은영웅] “이 여학생들 찾아주세요” 무인카페 사장님 감동시킨 손님의 메모 (영상) 랭크뉴스 2025.05.25
47746 78회 칸영화제 황금종려상에 이란 반체제 감독의 ‘잇 워스 저스트 언 액시던트’ 랭크뉴스 2025.05.25
47745 커피 끊어야 하나…스벅·저가·믹스·캡슐 다 오른다 랭크뉴스 2025.05.25
47744 월세 뉴노멀…단독·다가구 임대차 10건 중 8건이 월세 랭크뉴스 2025.05.25
47743 100원에 주식 사는 법…전환사채의 비밀 랭크뉴스 2025.05.25
47742 [현장]LG·한화팬들, 30만원 긁는 이 편의점…유광점퍼·독수리막걸리도 판다[New & Good] 랭크뉴스 2025.05.25
47741 경기 남양주 일부 지역, 하루 가까이 단수…교통 사고도 잇따라 랭크뉴스 2025.05.25
47740 지독한 '사법 불신' 판친 이 나라…국민이 판사 직접 뽑는다 [세계한잔] 랭크뉴스 2025.05.25
47739 크보빵 불매, 대선 쟁점 부각... SPC 노동자 사망 사고 '후폭풍' 랭크뉴스 2025.05.25
47738 팔란티어, 전쟁 끝나도 뛴다…이 뉴스 터지면 그때 팔아라 랭크뉴스 2025.05.25
47737 ‘12·3계엄 인권침해’ 묻자 “윤석열 방어권 권고” 답한 인권위···소수자 대책은 회피 랭크뉴스 2025.05.25
47736 “전광훈에 눈물 흘렸잖아” vs “부정선거 주장했잖아” 맞고발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5.25
47735 매일유업이 샤브샤브를 만든다고?...준비만 2년 걸린 ‘샤브식당 상하’ 랭크뉴스 2025.05.25
47734 ‘12·3계엄 인권침해’ 묻자 “윤석열 방어권 권고했다” 답변한 인권위···소수자 대책은 회피 랭크뉴스 2025.0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