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보수 진영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의 독주를 저지할 마지막 카드로 꼽히는 ‘김문수-이준석’ 단일화에 먹구름이 끼고 있다.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후보가 22일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앞으로 국민의힘 어떤 인사와도 단일화와 관련해 소통하지 않겠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이 후보는 이날 오후 예정에 없던 기자회견을 국회에서 열고 “이번 대선에서 끝까지 이준석, 그리고 개혁신당 이름으로 반드시 승리할 것”이라며 “국민 여러분이 받아보실 투표용지에는 기호 4번 개혁신당 이준석의 이름이 선명히 보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최근 모든 여론조사 지표는 ‘이준석으로의 전략적 선택’이 이재명 후보를 넘어설 수 있는 유일한 승리의 방정식이라는 사실을 증명해 보여주고 있다”고도 했다.

질의응답에서 이 후보는 “지난 며칠간 저에게 단일화를 운운하며 국민의힘이 한 행위는 모욕적이고, 이번 선거를 비전 선거가 아니라 난장판을 만들려는 시도”라고 했다.

이어 “저에게 2022년에 상스러운 문자를 했던 분들, 2023년에는 저에게 자살을 종용했던 분들이 2025년에는 저에게 (단일화를) 읍소하고 있다. 며칠 지나니까 협박을 한다”며 “이게 양심을 가진 사람이면 제게 할 수 있는 행위인가. 휴대폰 문자가 한 번 올 때마다 무한 모욕감을 느낀다”고 말했다. 2022년 대선 직후 이 후보에게 성 상납 의혹을 제기하며 당 대표직 사퇴를 이끌었던 친윤계를 저격한 것으로 풀이된다.



김문수·이준석 더하면 이재명 근접…꺼지지 않는 단일화 불씨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후보가 22일 오후 긴급 기자회견을 하기 위해 국회 소통관으로 들어서고 있다. 이 후보는 기자회견을 통해 범보수 대선후보 단일화 가능성을 일축했다. 임현동 기자
이날 이 후보가 단일화 관련 기자회견을 자처한 건 국민의힘의 잇따른 압박에 대한 반박 차원으로 풀이된다. 개혁신당 관계자는 “국민의힘에서 ‘20인 20색’ 수준으로 사람들이 연락이 와 ‘공동정부 구성’ ‘100% 여론조사’ 등 온갖 제안을 한다”고 말했다. 이 후보는 이날 오전에는 페이스북에 “정치공학적 단일화 이야기 등 불필요한 말씀을 주시는 분이 많아 모든 전화에 수신 차단을 설정했다. 선거일까지 전화 연락이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이 후보가 완주를 자신하는 배경엔 최근 상승한 지지율이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여론조사업체 한국갤럽이 대한민국지방신문협의회 의뢰로 지난 20~21일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이 후보 지지율은 11%를 기록했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지난 19~20일 실시한 ‘전국지표조사(NBS)’에선 10%,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의 의뢰로 지난 20∼21일 실시한 여론조사에선 9.4%였다. 개혁신당에선 “이 추세면 선관위 선거비용 전액 보전 기준인 15% 득표율도 가능하다”는 기대감도 나온다.

이 후보가 이날 강하게 선을 그으면서 ‘1차 단일화 시한’은 지키기 어려워졌다는 전망이 나온다. 당초 국민의힘은 본 투표용지 인쇄일인 25일 전까지 단일화를 성사시키겠다는 방침이었다. 다만 국민의힘에선 “사전투표가 시작되는 28일까지는 시간이 있다”는 의견이 나온다. 2022년 대선 때도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와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는 사전투표 전날인 3월 3일 단일화에 합의했다. 당시에도 안 후보는 대선을 17일 앞둔 2월 20일 단일화 최종 결렬을 선언한 뒤 줄곧 “단일화는 없다”고 했었다.

또한 이 후보 지지율뿐 아니라 김 후보 지지율도 상승하고 있다는 점은 이 후보가 무작정 단일화를 외면하기 어렵게 만드는 요소라는 관측도 나온다. 22일 발표된 NBS 조사에서 이재명 후보 지지율은 전주 대비 3%포인트 떨어져 46%를 기록한 반면, 김 후보 지지율은 전주 대비 5%포인트 올라간 32%, 이준석 후보 지지율은 3%포인트 상승한 10%를 기록했다. 특히 이날 발표된 갤럽 여론조사에선 이재명 46%, 김문수 34%, 이준석 11%로 김문수-이준석 후보의 지지율 합(45%)은 이재명 후보와 초박빙이었다.

국민의힘 선대위 관계자는 “선거가 다가올수록 이재명 후보를 막겠다는 보수 진영의 결집이 일어날 것”이라며 “두 후보 지지율 합이 이재명 후보와 접전을 보이면 ‘이대로 지는 게 무슨 소용이냐’는 압박이 세질 수밖에 없다”고 했다(※여론조사 관련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 홈페이지 참조).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1662 경찰 다가오자 반으로 ‘쩍’…개조 차량의 황당 도주극 [잇슈 SNS] 랭크뉴스 2025.05.23
51661 美 샌디에이고 소형비행기 추락… 3명 사망·주민 100여명 대피 랭크뉴스 2025.05.23
51660 미 안보장관 “하버드 외 다른 대학도 유학생 등록 금지 검토” 랭크뉴스 2025.05.23
51659 삼성전자 '79분' 승부수…"일체형 세탁건조기, 연내 판매량 2배로" [biz-플러스] 랭크뉴스 2025.05.23
51658 ‘물이 무섭다’던 정제씨는 왜 바다를 헤엄치다 숨졌나 랭크뉴스 2025.05.23
51657 국방부, '주한미군 감축 검토' 보도에 "한미 간 논의 전혀 없어" 랭크뉴스 2025.05.23
51656 [단독] 검찰, 김건희 ‘윤석열 공천개입 범죄 공모 혐의’ 적용 방침 랭크뉴스 2025.05.23
51655 71%가 지지한 검찰개혁은 '시기의 문제'... 공수처 존폐는 팽팽[한국일보 여론조사] 랭크뉴스 2025.05.23
51654 차기 정부 '미중 균형 외교' 추구해야 65%... '미국 우선'은 23% [한국일보 여론조사] 랭크뉴스 2025.05.23
51653 "美, 주한미군 4500명 철수 괌 등 인태 다른 지역 배치 검토" 랭크뉴스 2025.05.23
51652 WSJ “미, 주한미군 4500명 철수 검토…괌 등으로 이전 배치” 랭크뉴스 2025.05.23
51651 양파 16%·오이 35%↓…4월 생산자물가 전월비 0.1% 하락 랭크뉴스 2025.05.23
51650 발송비만 370억 원‥봉투째 쓰레기통에? [와글와글 플러스] 랭크뉴스 2025.05.23
51649 [단독]예산군 “더본코리아, 무단으로 ‘예산’빼고 ‘장터광장’ 상표권 등록 시도” 랭크뉴스 2025.05.23
51648 텅 빈 땅속 '412곳'‥찾고도 '비공개' 이유는? 랭크뉴스 2025.05.23
51647 "하버드대 유학생 등록 권한 박탈"‥도 넘은 탄압 랭크뉴스 2025.05.23
51646 “웃돈 수억 붙는 한강뷰 내주라니”…재건축 앞둔 잠실 아파트에 무슨 일이? [잇슈 머니] 랭크뉴스 2025.05.23
51645 中 9세 '바둑 신동' 투신 사망…"父, 경기질때마다 폭행" 증언도 랭크뉴스 2025.05.23
51644 “美, 주한미군 4500명을 괌 등으로 이전 검토” 랭크뉴스 2025.05.23
51643 총알로 총알 맞힌다…까다로운 중동이 반한 '가성비 K요격' [더인터뷰] 랭크뉴스 2025.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