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5> 중국이 밀면 밀리는 철강
中, 과잉공급 해결위해 20% 싸게 수출
국내 중기들 '저가 고품질' 중국산 구매
인도 세이프가드·일본 반덤핑 관세 고려
주요 국가들 앞다퉈 중국산에 대응
현대제철 제소에 정부 관세 부과
업계, 수입모니터링 강화 등도 요구
"철강 생존 기반 확보돼야" 목소리
범용 철강제품 품질, 한국산과 똑같아
중소·중견기업들 20% 싼 중국산 선택
타격 받은 철강 기업들...반덤핑 제소도
"시장 정상화를 위한 정부 개입 필요"
14일 경기 평택시 평택항 인근 무역회사 부지에 중국산 철재가 쌓여 있다. 평택=이상무 기자


경기 평택시와 충남 당진시에 걸쳐 있는 평택항에 들어서자 큰 한자가 써진 포장지로 싼 코일 철강제품을 실은 대형 트럭이 부두 앞 삼거리를 줄지어 지나갔다. 16.5m의 트레일러에 대형 파이프가 가득 채워져 조심스럽게 좌회전하는 트럭도 심심찮게 볼 수 있었다.

부두에서 한 블록 뒤로 발걸음을 옮기자 평택항을 주요 무대로 활약하는 기업들의 사무실과 대형 창고가 즐비했다. 넓은 부지에 잔뜩 쌓여 있는 '선재'가 눈에 띄었다.
봉형강류에 속하는 제품으로 단면이 둥글어 자동차 부품, 베어링, 볼트∙너트, 철사 등 산업 전반에서 다양한 제품의 기초소재로 활용
된다. 코일 형태로 칭칭 감아 묶어 보관하는데 평택항 한 무역회사의 마당에 쌓인 선재 묶음만 수십 개였다.

선재 묶음에 '표식'이 달려 있었는데 자세히 보니 '중국산'
이었다. 중국 첸안의 한 제철소에서 올해 1월에 만든 거였다. 이 제철소는 중국 전체 선재 생산량의 10%를 책임지는 곳이었다. 평택항에서 어렵게 만난 철강제품 무역업계 관계자는 "우리는 국내에 찾는 데가 있어야 수입을 하는데
중국산 범용 철강제품에 대한 국내 수요는 꾸준하다
"며 "
한국 철강 생태계에서 중국산이 '상수'가 됐다는 얘기
"라고 전했다.

중국의 '밀어내기' 메커니즘

그래픽=김대훈 기자


한국 철강 생태계는 어쩌다 중국산 제품이 없어서는 안 되는 상황이 됐을까
. 일단
중국의 '밀어내기'가 배경에 있다
.
중국은 내수 경기가 활발하고 부동산 시장이 상승세를 타던 시기 내수용 철강제품 생산 능력을 키웠다
. 문제는 그 뒤로
중국 내수가 하락세를 타면서 과잉 공급으로
이어졌다. 결국 중국은 내수로 소화하지 못하는 물량들을 세계 각국으로 밀어내 해결하려 한다.

실제 중국 내 철강제품 수요는 2020년 10억900만 톤(t)에서 올해 8억6,000만t까지 지난 5년 간 1억5,000만t이 줄었고 머지않아 8억5,000만t 선도 무너질 가능성이 높다. 반면 지난해 8월 중국이 철강설비 증설을 멈췄음에도 조강 생산량은 10억2,000만t 수준을 나타냈다. 결국 지난해 중국의 철강제품 수출은 1억1만t을 웃돌며 최고치를 찍었다.

특히 중국은 수출이 쉬운 주변 국가를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지난해 중국서 만든 철강제품이 가장 많이 향한 국가는 베트남(1,270만t)이었다. 이어 한국이 870만t으로 2위였다
. 3위인 인도네시아(590만t)와 격차가 꽤 컸다.
한국은 2020년 602만t에서 2023년 873만t, 지난해 870만t으로 꾸준히 늘고 있다
.

중국산 받아주는 한국 시장

경기 평택시 평택항 인근 도로에서 중국산 철강제품을 싣고 이동 중인 대형 트럭. 평택=이상무 기자


중국 철강제품의 가장 큰 무기는 싼 가격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그러나 "단지 싸기만 한 게 아니다"며 "
이젠 범용 제품에서 국내산과 중국산의 품질 차이는 거의 없다고 봐야 한다
"고 말했다. 이어 그는 "
1차 철강제품을 사다 가공해 2차 제품을 만드는 중견, 중소기업들은 같은 품질이라면 당연히 중국산을 선택하는 것
"이라고 덧붙였다.
중국산 범용 철강제품은 통상 국내산보다 20% 이상 저렴하다.


심지어 자동차 부품업계도 이젠 중국산을 찾는다. 대형 트레일러 시장이 대표적. 한 트레일러 제작업체 관계자는 "10~15년 전만 해도 중국산 철강제품으로 트레일러를 만들면 연결 부위 등이 불안해서 못 썼다"며 "그런데 이제는 중국산이어도 튼튼하게 만들 수 있어 규모가 작은 업체들은 중국산 철강제품을 수입하는 무역업체를 찾는다"고 설명했다.

당연히 한국 철강 기업들은 타격을 입었다.
포스코는 지난해 1제강공장과 1선재공장을 닫았다
.
현대제철은 포항2공장 폐쇄를 가시화했다가 노조 등의 반발로 축소 운영하기로 했고 인천공장은 올해 4월 한 달 동안 가동을 멈췄다
. 철강업계에서는 주요 철강기업들의 설비 폐쇄 등으로 철강 생산능력이 1,000만t 이상 줄었다고 보고 있다.

"국내 철강산업 보호 시급하다"

그래픽=김대훈 기자


이런 탓에 시장질서 정상화를 위한 정부의 개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린다.
주요 국가들은 철강 산업 보호 강도를 높였다
.
좋은 품질과 싼 가격으로 무장한 중국산을 막아내는 방법은 무역 장벽을 높이는 것 뿐
이라서다. 일본은 중국산 철강제품 반덤핑 관세를 적극적으로 고려하고 있고 인도는 철강세이프가드를 만들어 최저수입가격 이하인 제품에는 12%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국내에선 기업들이 적극 나서고 있다.
지난해에는 현대제철이 중국산 후판에 대해 반덤핑 제소를 했고 정부는 이를 받아들여 최대 38%의 잠정 덤핑 방지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철강업계에서는 이 밖에도
△수입모니터링 제도 신설 △철강제품 수입 시 품질검사증명서 의무화 △제3국 우회덤핑 규정 강화 등 여러 제도가 필요
하다고 강조한다. 이윤희 포스코경영연구원 연구위원은 "수입 철강제품의 시장 침투가 지속되면 제조업의 밑바탕이 무너질 수 있다"며 "생존 기반 확보 차원에서 국내 시장에서 공정한 경쟁 여건이 마련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1276 교사 6천명에 김문수 특보 임명장 ‘동의 없이’ 뿌린 국힘…“불쾌” 랭크뉴스 2025.05.22
51275 우상호 "호텔경제학? 국민이 잘 못 알아들으니 쟁점 아니다" 랭크뉴스 2025.05.22
51274 이준석 캠프 함익병 “50대 남성 룸살롱 다 가봐” 지귀연 두둔 랭크뉴스 2025.05.22
51273 "SON, 역사를 이끈 레전드"‥유럽축구 주요 홈피 '평정' 랭크뉴스 2025.05.22
51272 "토론, 신입사원 면접 아냐"…김문수, '가케무샤' 놓고 독설 연습 랭크뉴스 2025.05.22
51271 손학규, 김문수 지지 선언‥"대한민국 살릴 사람은 김문수뿐" 랭크뉴스 2025.05.22
51270 검찰 “비상계엄 문건, ‘민간인’ 노상원이 작성했을 가능성 높다” 랭크뉴스 2025.05.22
51269 이재명 47.4%, 김문수 34.3%···줄어든 격차, 보수층 ‘결집’[여론조사 ‘경향’] 랭크뉴스 2025.05.22
51268 [속보]NBS 이재명 46%·김문수 32%…이준석 10% 두 자릿수 진입 랭크뉴스 2025.05.22
51267 “전세사기 공포 극복” 빌라 실거래가 2년 9개월만 최대폭 상승 랭크뉴스 2025.05.22
51266 북, 새 구축함 물에 띄우다 파손 사고…김정은 "용납 못해"(종합) 랭크뉴스 2025.05.22
51265 [속보]이재명 46%·김문수 32%·이준석 10%[NBS] 랭크뉴스 2025.05.22
51264 "난 유도왕, 한판 붙자" 경찰 폭행 20대, 테이저건에 제압 [영상] 랭크뉴스 2025.05.22
51263 연임? 중임?... “대통령 임기, 앞으로 어떻게 되는 건가요”[10문10답] 랭크뉴스 2025.05.22
51262 배현진 "당근거래도 아니고 당권거래?‥기생충이나 하는 짓" 랭크뉴스 2025.05.22
51261 우상호 “호텔경제학? 국민이 잘 못 알아들으니 쟁점 아니다” 랭크뉴스 2025.05.22
51260 이재명 48.1% vs 김문수 38.6%... 양자대결 격차도 6.8%p로 축소 [리얼미터] 랭크뉴스 2025.05.22
51259 김문수 “대통령 되면 임기 3년으로, 국회의원 정수 10% 감축”… ‘정치판갈이’ 약속 랭크뉴스 2025.05.22
51258 이재명 46%·김문수 32%·이준석 10%…정권교체 55%·재창출 34%[NBS] 랭크뉴스 2025.05.22
51257 우상호 “국힘 ‘윤석열, 이재명 도우러 기어나와…좀 안 보였으면’” 랭크뉴스 2025.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