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3>보수 위기
중도층도 10명 중 7명 "尹 내란죄 해당"
이대남도 고령층도 尹 국정 부정 평가
국힘·김문수 지지층만 민심과 '괴리'

편집자주

경마식 여론조사의 한계가 뚜렷합니다. 한국일보는 지지율 숫자를 뽑아내는 데 그치지 않고 대선의 의미, 후보 역량과 자질, 공약 평가 등을 심도 있게 살피고자 일간지 최초로 유권자 3,000명 규모의 대선 인식 '웹조사'를 실시했습니다. 총 5회 심층조사로 국민의 위대한 선택을 안내하겠습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파면 일주일 만인 4월 11일 서울 한남동 공관을 나와 사저로 이동 중 청년 지지자와 포옹을 하며 인사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이대남(20대 남자)도, 고령층도 모두 등을 돌렸다. 지난 대선 윤석열 전 대통령을 전폭적으로 지지했던 최대 우군들의 마음은 3년 만에 싸늘하게 식었다. 유권자의 64%는 윤 전 대통령을 내란죄로 심판해야 한다고 못 박았다. 12·3 불법 계엄은 국민과 헌법에 대한 명백한 배신이라고 본 것이다. 윤 전 대통령을 비호하는 그룹은 국민의힘과 김문수 후보 지지층으로 급격히 왜소해졌다.

중도층도 70% "내란죄"… 金 지지층은 "12%"



한국일보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공개한 여론조사 결과, 응답자의 64%는 윤 전 대통령이 내란죄로 처벌받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내란죄까지는 해당하지 않는다'는 응답(32%)보다 2배 높은 수치다. 특히 중도층의 70%가 윤 전 대통령의 계엄 모의·실행을 내란죄로 판단했다. 내란죄가 아니라는 응답(22%)보다 3배 이상 많은 것으로 일반론의 격차보다 더 벌어졌다. 더불어민주당의 입법 독주를 제어하기 위한 경고성 계엄이란 윤 전 대통령의 허무맹랑한 궤변을 인정하지 않은 것이다.

반면 강성 보수층의 생각은 정반대였다. 국민의힘과 김 후보 지지층에선 '내란죄에 해당한다'는 응답은 12%에 머무르며 민심과 상당히 동떨어져 있는 인식을 보였다. 다만 보수 안에서도 온도차는 있었다. 김문수 고정지지층의 91%는 '내란죄가 아니다'라고 강변했지만, 유동지지층으로 넘어오면 68%로 그 수치가 떨어지며 결집도가 약해졌다.

그래픽=송정근 기자


尹 국정운영 부정평가 '압도적'… "국민의힘 왜소화돼"



김 후보와 국민의힘 지지층의 고립된 인식은 윤 전 대통령의 국정 운영 평가에서도 판박이처럼 나타났다.

국민의 78%는 윤 전 대통령이 국정 운영을 '잘 못했다'고 평가했고, 19%만이 '잘했다'고 평가했다. 중도층의 부정 평가는 84%로 치솟았다. 60대 이상을 포함한 모든 성·연령대에서 부정 평가가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20대 여자의 부정 평가가 91%로 가장 높았다. 지난 대선 윤 전 대통령을 지지했던 이대남 역시 74%가 '잘 못했다'고 돌아섰다.

하지만 김 후보의 고정지지층의 평가는 '잘했다' 66%, '잘 못했다' 32%로 완전히 역전됐다. 지난 대선의 윤 전 대통령 지지층(44%), 보수층(46%), 국민의힘 지지층(56%)보다도 잘했다는 평가가 단연 높았다. 최창렬 용인대 교양학부 교수는 "김 후보나 국민의힘을 지지하는 사람들이 상당히 강성 우파 성향을 띤다는 것은 그만큼 국민의힘이 왜소화된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래픽=송정근 기자


민주주의 발전할 것 37%, 퇴보할 것 32%



한편 윤 전 대통령 파면에 따른 조기 대선 영향으로 향후 우리나라 민주주의가 어떻게 될 것으로 생각하는지 묻는 질문에는 '발전할 것이다' 37%, '퇴보할 것이다' 32%, '큰 차이는 없을 것이다' 24%로 '발전 가능성'에 조금 더 무게가 실렸다. 다만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 고정지지층은 74%가 긍정적으로 봤고, 김 후보의 고정지지층은 69%가 부정적으로 전망해 서로 엇갈렸다. 이 후보의 당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 반영된 정치적 해석이 가미된 평가란 분석이다.

한국일보 여론조사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851 "전광훈 내란 선동에 정신적 고통"…427명 손배소 제기 랭크뉴스 2025.05.21
50850 한화 “배관 교체 승인 받아” vs 軍 “협의 없어”… 호위함 결함 놓고 공방 랭크뉴스 2025.05.21
50849 '새집론' 국힘, 이준석 유세도 찾아가 단일화 구애…李는 '거절' 랭크뉴스 2025.05.21
50848 400만 수험생 멘토 이지영, UNIST 인공지능 특임교수로 랭크뉴스 2025.05.21
50847 이재명 "보호 넘어 복지" 김문수 "반려동물과 행복"··· 동물의 삶 나아질까 [H공약체크] 랭크뉴스 2025.05.21
50846 '부정선거 영화' 관람한 尹에 김용태 "반성하고 자중할 때" 랭크뉴스 2025.05.21
50845 “오히려 김건희 여사 소환됐다?” 질의에 김문수 답변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5.21
50844 "로고송 시끄러워"…흉기든채 이재명 후보 선거운동원에 항의 랭크뉴스 2025.05.21
50843 “7월 시행 DSR 3단계” 서울·수도권·지방 시장의 향방은? 랭크뉴스 2025.05.21
50842 민주당 "김문수 '도지사 갑질' 논란, 불법후원 기업연관‥해명해야" 랭크뉴스 2025.05.21
50841 中 "美, 화웨이 제한하면 제재"…왕이, 강경화 만나 반도체 언급 랭크뉴스 2025.05.21
50840 늙고 병들면 누가 날 돌봐줄까…“배우자” 제친 1위는 랭크뉴스 2025.05.21
50839 이재명 “국힘 조만간 ‘석고대죄 쇼’ 하겠지만…윤석열과 일심동체” 랭크뉴스 2025.05.21
50838 윤석열 전 대통령, 메가박스 깜짝 등장…전한길 作 다큐 관람 랭크뉴스 2025.05.21
50837 올해 1분기 ‘산재 사망’ 137명…대형사고 잦았던 건설업 7명 늘어 랭크뉴스 2025.05.21
50836 尹, '부정선거' 주장 영화관람…대선 앞 음모론 논란 부추기나 랭크뉴스 2025.05.21
50835 박현주 글로벌 전략 통했다…미래에셋운용, 운용자산 400조원 돌파 랭크뉴스 2025.05.21
50834 이재명, 윤석열 ‘부정선거’ 영화 관람에 “이해 안 된다” 랭크뉴스 2025.05.21
50833 "尹, 이재명 선거운동원이냐"…부정선거 다큐관람에 국힘 '부글' 랭크뉴스 2025.05.21
50832 "난 쌀 사본 적 없다"…'쌀값 폭등' 속 망언한 日농림상 결국 사퇴 랭크뉴스 2025.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