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난 2월 14일 오후 서울 노원구 삼육대학교에서 열린 의사 전문의 자격시험에서 응시자들이 시험장으로 향하고 있다. 뉴스1
충북 괴산군에 있는 괴산성모병원은 지난 4월 보건복지부의 '의료취약지 소아청소년과(소청과) 지원 사업'에 선정됐다. 의료 취약지의 의료기관에 운영비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정부로부터 올해 3억1700만원을 지원받게 됐다.

그런데 정작 소청과 전문의는 구하지 못한 상태다. 이 병원은 세전 연봉 4억원(실수령 월 2000만원), 숙소 제공 등을 조건을 내걸었다. 지원자가 3명 있었지만, 아직 누구도 확답하지 않고 있다. 김종성 병원장은 "연봉을 더 올려야 하나 고민 중"이라며 "우리 같은 지방 2차 종합병원들은 치솟은 의사 몸값을 감당 못 해 10년 뒤면 문을 닫아야 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걱정했다.



전문의 구인난…연봉 6억에도 못 구해
정근영 디자이너
전국 병원들이 전문의 구인난에 시달리고 있다. 20일 한 의사 구인·구직 사이트의 유료 공고의 경우 총 21건 중 19건(90%)이 전문의 모집 관련이었다. 이들 공고는 총 22개 진료과에 걸쳐 전문의 101명을 구하고 있었는데, 의료기관들이 제시한 연봉 실수령액은 2억2000만원(서울 1차 의원)에서 6억원(경기도 2차 종합병원)에 이르렀다. 한 지역 의료재단의 이사장은 "전문의는 인력난이 심해 수백만 원을 들여 유료 공고를 내도 못 구하고 있다. 이제 전문의 월급은 세후 2000만원이 기본"이라며 한숨을 쉬었다.

전문의 몸값이 치솟은 건 의사 수가 부족한 상황에서 신규 배출마저 급감해서다. 의·정 갈등의 여파로 올해 전문의 자격시험 합격자는 509명에 그쳤다. 예년(2727명)의 5분의 1 수준이다.

지난 19일 정부가 특혜라는 비판 속에서도 전공의 추가 모집을 결정한 것도 "2년 연속 전문의 배출이 파행되는 사태를 막아야 한다"는 의료계 위기감을 반영한 조처다. 이주열 남서울대 보건행정학과 교수는 "전문의 배출이 막히면서 이들 몸값이 상한가를 치고 있다"고 설명했다.

상당수 병원들은 '지역 내 최고 수준' 대우를 약속하며 지원자를 찾았다. 모집 공고에 '지역 최고, 협의 가능'이라고 올린 경기도 한 종합병원의 부원장은 "의사가 없는 지방 병원이 연봉을 올리면 수도권 병원도 이에 맞춰 올리고, 그렇게 의사들이 수도권으로 빠져나가니 다시 지방에서 (연봉을) 더 올려야 하는 상황이 반복되고 있다"고 한숨을 쉬었다.

전북의 한 2차 병원은 '연봉 2억원 이상'과 함께 골프장 회원권, 호텔 이용권을 조건으로 내걸었다. 경기도 한 종합병원장은 "모집 공고만으로 사람을 못 뽑아 연봉의 20% 정도를 헤드헌팅 소개료로 쓰고 있다"며 "채용 1건당 수천만 원이 들지만, 그 돈을 써서라도 데려오면 다행"이라고 말했다.

지난 3월 17일 대전의 한 대학병원 응급실에 도착한 119구급대원들이 환자를 무사히 이송한 뒤 또다시 이동하고 있다. 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 김성태 객원기자
병원 간 전문의 쟁탈전이 워낙 치열해지니 사정이 열악한 일부 지역 병원들은 운영에 차질을 빚고 있다. 경남에 있는 한 지역병원 운영본부장은 "연봉 3억6000만원을 제시해도 의사를 구하지 못해 결국 일부 과를 접었다"고 말했다. 충남의 한 의료재단 이사장은 "일부 진료과가 폐과 수순을 밟으면서 환자가 서울로 계속 빠져나간다. 지역 의료는 무너지고 있다"고 걱정했다.

김진환 서울대 보건환경연구소 교수는 "전문의들이 일은 더 힘들고 급여는 상대적으로 낮은 2·3차 병원을 떠나 개원가로 빠져나가는 상황이 반복되고 있다"며 "전문의들이 전문성을 살려 의료 현장에서 일할 수 있도록 돕는 정책을 세워야 한다"고 지적했다. 윤석준 고려대 보건대학원장은 "소아외과처럼 수요가 적은 임상 분야에선 전문의 한명이 여러 병원에서 일할 수 있게 하는 등 고용 형태를 유연하게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728 심우정 검찰총장, 이창수 중앙지검장 사의에 “흔들림 없이 역할 수행” 랭크뉴스 2025.05.21
50727 홍준표 '김문수 선대위 합류 안 한다' 입장 재확인 랭크뉴스 2025.05.21
50726 국민 64% "尹 내란죄로 처벌해야"... 아스팔트 보수만 동떨어진 민심[한국일보 여론조사] 랭크뉴스 2025.05.21
50725 [샷!] 빵·김·소주…'맛있는' 대선 캠페인 랭크뉴스 2025.05.21
50724 ‘신안산선 붕괴’ 포스코이앤씨, “끝까지 책임 다하겠다” 입장 밝혀 랭크뉴스 2025.05.21
50723 “계엄 뒤 이 날만 기다렸다”…미국 유권자 5만명 재외투표 시작 랭크뉴스 2025.05.21
50722 [속보]전세계서 25만여명 대선 재외투표 시작 랭크뉴스 2025.05.21
50721 "네 까짓 게"…이 말이 식모살이 고충보다 더 아팠다 [안혜리의 인생] 랭크뉴스 2025.05.21
50720 "영웅 아들 바란 적 없다" 엄마의 통곡…비탄 잠긴 이 마을 [종전협상 우크라를 가다①] 랭크뉴스 2025.05.21
50719 북·중·러 미사일 위협 대응…트럼프 “3년 내로 미 본토 보호 ‘골든돔’ 구축” 랭크뉴스 2025.05.21
50718 더본코리아, 점주 상생위원회 가동… 백종원 사재 출연도 검토 랭크뉴스 2025.05.21
50717 이스라엘의 이란 핵시설 타격설에 국제유가 급등 랭크뉴스 2025.05.21
50716 정부, 통상리스크 대응에 28.6조 정책금융 공급 랭크뉴스 2025.05.21
50715 홍준표, ‘김문수 선대위’ 합류 거절… “대선 후 돌아간다” 랭크뉴스 2025.05.21
50714 국힘 특사단 만난 홍준표 "대선 후 돌아간다는 입장 변함없다" 랭크뉴스 2025.05.21
50713 ‘하와이 특사단’ 만난 홍준표 “대선 후 돌아간다는 입장 변함 없어” 랭크뉴스 2025.05.21
50712 홍준표 "대선 끝나고 돌아간단 입장 변함 없어" 랭크뉴스 2025.05.21
50711 “평생 빨간당 뽑았지만, 계엄은 아니잖여”…돌아선 중원 민심 랭크뉴스 2025.05.21
50710 '하와이 특사단' 빈손?…洪 "대선 뒤 돌아간단 입장 변함없다" 랭크뉴스 2025.05.21
50709 “1위 독주 막아야 우리가 산다”… 유통업계 곳곳서 ‘연합전선’ 구축 활발 랭크뉴스 2025.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