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개막 이후 30일간 21만 명 찾아
서울관 개관 이래 최단 시간 달성
2030 관람객 73%...인증샷 열풍
N차 관람에 굿즈도 일부 완판
서울 종로구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진행 중인 '론 뮤익' 전시에는 한 달 동안 21만 명이 다녀갔다. 국립현대미술관 제공


"미술관 '오픈런'은 정말 오랜만에 봐요. 대부분 2030 관람객인데 공통점이 있어요. 전시장을 들어오면서부터 나갈 때까지 사진을 찍는다는 점이죠."

올해 상반기 미술계에서 가장 주목을 끈 전시를 꼽으라면 단연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진행 중인 '론 뮤익' 전시다. '현대 조각의 거장'으로 불리는 호주 출신 조각가 론 뮤익의 대표 작품 10점을 전시했는데, 지난달 11일 개막한 후 한 달여 만에 21만 명의 구름 인파가 몰렸다. 20일 국립현대미술관에 따르면 18일까지 21만4,203명이 전시를 관람했다. 주말 하루 평균 6,777명, 주중 4,611명이 미술관을 찾았다. 국립현대미술관 관계자는 "서울관 개관 이래 단일 전시로는 최다 관람 기록을 경신했다"며 "워낙 유명한 작가라 어느 정도 흥행을 예상했지만 이 정도일 줄은 몰랐다"고 말했다. 아시아 최대 규모 회고전이라는 명성에 걸맞은 전시 내용인지와는 별개로, 전시 흥행 측면에서는 대성공을 거둔 것이다.

"인증샷은 진리" 'N차' 관람하는 2030

론 뮤익 전시장 입구에 관람객이 길게 줄을 서 있다. 국립현대미술관 제공


전시의 흥행 요인은 '2030세대' '인증샷' '가성비'로 요약된다. 미술관 측이 조사한 결과 전시를 찾은 관람객은 20대가 45%, 30대가 28%로, 2030세대 관람객이 전체의 73%를 차지한다. 미술관 관계자는 "현대미술에 관심이 큰 젊은 관람객 사이에서 '인스타그래머블(인스타그램에 올릴 만한) 전시'로 입소문을 탄 것이 인기 비결"이라며 "미술 작품을 감상한다기보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독특한 문화 경험을 인증하며 놀이처럼 즐기는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인간 얼굴의 4배 크기로 표현한 '마스크 II'와 대형 두개골 형상 100개를 쌓아 올린 '매스' 등 유명 작품 앞에는 '인증샷'을 찍기 위한 줄이 이어진다. 국내 미술관에서 작품을 볼 기회가 드문 세계적 작가의 개인전을 부담 없는 가격에 감상할 수 있다는 점도 한몫했다. 론 뮤익 전시의 입장료는 1인당 5,000원으로, 내년 론 뮤익의 전시가 이어지는 일본 모리 미술관의 입장료 2,500엔(2만4,000원)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편이다.

전시 흥행으로 미술관도 활기를 띠는 분위기다. 미술계 불황이 이어지면서 저조했던 기념품 판매가 눈에 띄게 증가했다. 에코백과 엽서, 노트류 등 일부 제품이 완판돼 2차 제작에 들어갔고, 도록도 2쇄를 준비하고 있다는 것이 미술관의 설명이다. 출품 작품이 프린팅된 티셔츠 등 2030세대를 겨냥한 상품도 추가됐다.

론 뮤익전 개막 후 신규 회원도 7만여 명 늘었다. 지난해 같은 기간 가입 회원 수 대비 4.5배 급증한 수치다. 미술관 관계자는 "서울관 전시 관람객은 전년 대비 145% 증가했다"면서 "한 번 방문으로 끝나지 않고 여러 번 방문하거나, 다른 전시 방문으로 이어지는 등 직간접적인 혜택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론 뮤익의 대표작 '매스' 앞에 사진 촬영을 위한 긴 줄이 이어져 있다. 국립현대미술관 제공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619 [단독]국내 최초 상업용 ESS, 10년만에 셧다운 랭크뉴스 2025.05.21
50618 금호리조트도 참전... ‘흥행’ 중부CC 매각, 속도전으로 랭크뉴스 2025.05.21
50617 파푸아뉴기니 마당 북서쪽 바다서 규모 6.4 지진 랭크뉴스 2025.05.21
50616 [단독] "尹 장모 요양원, 신체적·성적 학대 있었다"‥당국 합동조사 결론 랭크뉴스 2025.05.21
50615 ‘샤이 보수’ 결집 35% 넘긴 김문수, 부울경서 이재명 따라잡을까 랭크뉴스 2025.05.21
50614 '건진 샤넬백' 수행비서에 전달 확인…김여사 측 "검찰 오해"(종합) 랭크뉴스 2025.05.21
50613 '호텔경제학' 비판 이준석에 이재명 "바보들…동네 돈 돌면 경제 나아져" 랭크뉴스 2025.05.21
50612 러, WTO에 'EU 탄소국경조정제' 제소…EU "규정 부합 확신" 랭크뉴스 2025.05.21
50611 [대선언팩] ‘대통령 연임·총리 국회 추천’ 7년 새 입장 뒤집은 국힘·민주 랭크뉴스 2025.05.21
50610 154조 이르는 치매머니, 돌봄비용 완화 수단으로 활용해야[홍석철이 소리내다] 랭크뉴스 2025.05.21
50609 SK하이닉스 부스 ‘깜짝’ 방문한 젠슨 황…“HBM4 잘 지원해달라” 랭크뉴스 2025.05.21
50608 “하하 너무 쉽네”…미 교도소 10명 집단 탈옥 랭크뉴스 2025.05.21
50607 러-우 전쟁 ‘해결사’ 자처하더니…트럼프 "직접 협상하라" 랭크뉴스 2025.05.21
50606 연봉 1억 직장인, 주담대 한도 최대 3300만원 ↓ 랭크뉴스 2025.05.21
50605 러, 푸틴 제안한 '각서'로 우크라에 "협력" 압박 랭크뉴스 2025.05.20
50604 서방 3개국, 이스라엘의 가자 맹폭에 “좌시 않겠다” 경고 랭크뉴스 2025.05.20
50603 트럼프 “러·우, 휴·종전 협상 즉각 시작”…푸틴 “조건 충족돼야 재개” 랭크뉴스 2025.05.20
50602 공수처, ‘술자리 접대 의혹’ 지귀연 부장판사 고발건 수사부 배당 랭크뉴스 2025.05.20
50601 교황 "프란치스코 교황 뒤를 잇게 될 줄 꿈에도 몰라" 랭크뉴스 2025.05.20
50600 뜬금없는 ‘배우자 토론회’ 제안, 국힘서도 “김건희 문제 거론될라” 랭크뉴스 2025.0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