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9일(현지시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전화통화를 마친 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휴전, 더 중요하게는 전쟁 종식을 향한 협상을 즉시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푸틴 대통령은 구체적인 협상 시기를 언급하지 않은 채 “위기의 근본 원인을 제거해야 한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이 푸틴 대통령에 우호적인 입장을 다시 드러낸 가운데, 교착 상태인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협상의 돌파구를 마련하는 데는 실패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9일(현지시간)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연설하고 있다. AP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푸틴 대통령과 2시간에 걸친 통화를 마쳤다면서 “대화는 매우 잘 진행됐다”고 밝혔다. 그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휴전 및 종전 협상을 즉각 착수하기로 했다면서 “(휴전과 종전의) 조건들은 두 나라 사이에서 협상이 이뤄져야 할 것”이라며 “그들은 다른 누구도 알지 못할, 협상의 구체적 사항을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한 “러시아는 이 재앙적인 피바다(bloodbath)가 끝나면 미국과 대규모 무역을 원하고 있으며 나도 동의한다”며 “이는 러시아가 막대한 일자리와 부를 창출할 수 있는 엄청난 기회이다. 그 잠재력은 무제한이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심이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을 넘어서는 러시아와의 교역 재개 및 경제 협력이라는 점을 분명히 드러낸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에 대해서도 “국가 재건 과정에서 무역의 큰 수혜자가 될 수 있다”고도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교황이 대표하는 바티칸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협상 개최에 매우 관심이 있다고 밝혔다”고 소개한 뒤 “(협상을 위한) 절차를 시작하자”고도 했다. 이와 관련 조르자 멜로니 이탈리아 총리는 레오 14세 교황이 바티칸을 평화회담 장소로 제안했다고 밝혔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9일(현지시간) 소치 시리우스에서 열린 인재 및 성공 재단 이사회에 참석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푸틴 대통령은 통화를 마친 뒤 취재진과의 문답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매우 의미있고 아주 솔직한 통화를 했다”면서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에 향후 평화 협정의 윤곽을 그리는 각서를 제안할 것”이라고 밝혔다. 각서에는 합의 시 일정 기간 휴전 가능성을 비롯해 위기 해결 원칙, 평화 협정 체결 일정 등에 관한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고 푸틴 대통령은 설명했다.

종전 협상을 시작하기에 앞서 각서 형태의 합의를 먼저 도출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이 휴전 등 평화 협상 진전에 관해 낙관적인 시각을 내비친 것과 달리 푸틴 대통령은 협상 재개의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고 밝힌 것으로 풀이된다. 그는 “적절한 합의에 도달하면 휴전할 수 있다”며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직접 회담했다는 것은 우리가 대체로 옳은 길을 가고 있다고 믿게 해줄 이유를 제공한다”고도 말했다.

푸틴 대통령은 특히 “우리의 분명한 입장은 위기의 근본 원인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우크라이나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가입 추진 등이 위기의 원인이라는 기존 입장을 반복한 것이다.

미·러 정상 통화 결과를 둘러싼 양국 간 온도차로 인해 종전 논의가 단기간에 진전될 지를 둘러싸고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푸틴은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평화 협정과 휴전을 위해 노력할 준비가 돼 있다는 얘기만 하면서 어떠한 돌파구도 마련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워싱턴포스트(WP)도 “트럼프는 푸틴이 협상의 진전을 방해하는 핵심 요구사항 일부에서 물러섰다는 징후를 밝히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268 오늘부터 재외국민투표 시작···이재명 “투표는 총알보다 강하다” 랭크뉴스 2025.05.20
50267 ‘연금·연봉인상’ 올드한 과기계 공약…“美 협력·인재유턴 급한 불부터” [분야별 공약 심층분석] 랭크뉴스 2025.05.20
50266 [뛰는 차이나, 기로의 K산업]중국과 90대 2로 싸우는 전기차 심장...신기술로 사투 벌이는 배터리 랭크뉴스 2025.05.20
50265 '국힘 특사단' 만난 홍준표 "민주당과 손잡을 일 절대 없다" 랭크뉴스 2025.05.20
50264 [와글와글] 중앙 분리대에 올라탄 장갑차‥어쩌다? 랭크뉴스 2025.05.20
50263 [투자노트] 신용등급 강등에도 견조했던 美 증시…뉴노멀 신호탄되나 랭크뉴스 2025.05.20
50262 로레알이 인수한 ‘3CE’ 운영사 스타일난다, 희망퇴직 등 구조조정 가속화 랭크뉴스 2025.05.20
50261 ‘내란 우두머리 대리인과 악수 못해’···선명성 무기로 존재감 키운 권영국 랭크뉴스 2025.05.20
50260 ‘전립선암’ 바이든 “어려울 때 가장 강해”…트럼프 “회복 기원” 하루 만에 ‘왜 말 안했나’ 랭크뉴스 2025.05.20
50259 "아이들 실망이 너무 커" '교사 처벌' 포비아, 사라진 현장학습 랭크뉴스 2025.05.20
50258 “여보 덕분에 초당적 협력했어”…트럼프, 멜라니아 앞에 두고 공개 찬사 랭크뉴스 2025.05.20
50257 권영국 민주노동당 후보‥선거 전략은? [모닝콜] 랭크뉴스 2025.05.20
50256 트럼프-푸틴 2시간 넘는 통화에도 휴전 합의 불발 랭크뉴스 2025.05.20
50255 “미봉책” “새출발”…이재명이 던진 소상공인 채무 탕감 ‘배드뱅크’ 공약에 엇갈리는 평가 랭크뉴스 2025.05.20
50254 “배추 주지 말랬는데 양배추 먹였더라”…학부모 글 논란 [잇슈 키워드] 랭크뉴스 2025.05.20
50253 “남편이 필요한 건 아냐”…덴마크 정자은행 찾은 이유는? [취재후] 랭크뉴스 2025.05.20
50252 김용태, '李 120원' 공세 "정치는 커피값 아닌 파는 이들 땀 얘기해야" 랭크뉴스 2025.05.20
50251 ‘독재자’ 부켈레 맞서던 엘살바도르 인권변호사, 한밤중 체포 후 소재 불명 랭크뉴스 2025.05.20
50250 한화가 내놓은 美 필리조선소 청사진 "10년 내 매출 10배 늘린다" [biz-플러스] 랭크뉴스 2025.05.20
50249 "돈 얼마 받았냐"…트럼프, 해리스 지지 연예인 수사 방침 랭크뉴스 2025.0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