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보안 역량 취약한 중소·영세 업체 인식 소홀해질 것" 우려


SK텔레콤 유심 재설정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채새롬 기자 = SKT 해킹 사태로 개인정보 유출에 경각심이 높아진 가운데 개인정보가 유출된 정보주체의 피해를 구제하는 의무 보험인 '개인정보유출 배상보험'의 가입률이 10%도 안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정보 보호 필요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최근 의무 가입 대상마저 축소가 결정돼 중소·영세 업체의 대응력이 약해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20일 손해보험업계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개인정보유출 배상책임보험을 취급하는 15개사(메리츠·한화·롯데·MG·흥국·삼성·현대·KB·DB·서울보증·AIG·라이나·농협·신한EZ·하나)의 가입 현황을 집계한 결과 7천769건으로 집계됐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개인정보 유출에 따른 손해배상책임 이행시 자금조달이 어려운 사업체를 위해 2020년부터 개인정보 손해배상 책임보험 가입을 의무화했다. 가입 대상은 전년도 매출액 등이 10억원 이상에 정보 주체 수가 1만명 이상인 곳이다.

개보위는 대상 기업을 약 8만3천개∼38만개로 추정하는데 이를 고려했을 때 작년 말 기준 가입률은 2.0∼9.4% 수준에 그친다.

정부가 의무 대상 기업 범위를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것 자체에 한계가 있다 보니 점검·관리가 실효성 있게 이뤄지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해킹사고가 일어난 SKT도 10억원 한도의 책임보험을 들어 보상 체계가 취약한 것 아니냐는 논란이 일어난 바 있다.

이 와중에 개인정보위는 지난 3월 의무대상 기업의 기준을 '매출액 1천500억원 이상이면서 관리하는 정보주체 수 100만명 이상'으로 조정하기로 해 사이버 보안 이슈가 더욱 중요한 시점에 개인정보 보호가 약화하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당시 개인정보위는 기존 의무 대상 범위가 너무 넓어 실질적인 점검·관리가 어렵다는 이유로 의무대상을 조정한다고 밝혔다. 이 기준에 따르면 의무 가입 대상은 불과 200곳 정도로 줄어들게 된다.

개인정보보호법 상 의무보험 가입 제도의 목적은 개인정보 유출 사고 발생시 배상능력이 부족한 기업으로부터 피해자를 보호하는 것인데 배상 능력이 충분한 기업에만 보험 가입 의무를 부여하고, 매출 1천500억원 미만의 기업에 보험 가입 의무를 제외하는 것은 개인정보보호법 제정 목적과도 어긋난다는 지적이다.

김규동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규모가 큰 기업보다 중소·영세업체들의 보안 역량이 더욱 취약한데 보험 가입 의무사항을 면제해버리면 개인정보 보호나 보안 리스크에 업체들의 인식이 소홀해질 수 있어 우려된다"고 말했다.

이어 "보험에 가입하지 않아도 사전적으로 예방을 잘할 수 있도록 강한 규제가 있다면 상관이 없을 것"이라면서 "현 상황에서는 의무 대상을 축소할 것이 아니라 의무 가입 대상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방식을 찾는 것이 더 낫다"고 덧붙였다.

개인정보위 관계자는 이에 대해 "현재 폭넓게 의견 수렴을 하는 단계"라며 "중소기업에는 의무는 면하되 자발적으로 가입할 수 있는 인센티브를 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최근 SKT 해킹 사태를 비롯해 법인보험대리점(GA)과 디올, 알바몬 등에서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지속해서 발생하는 가운데 기업들의 보험 수요는 늘어나고 있다.

삼성화재는 지난달 말 중소형 기업을 대상으로 한 '삼성사이버종합보험'을 출시했다.

삼성화재 관계자는 "최근 해킹 사고 관련 경각심이 확산하다 보니 현장에서 매출액 1천억원 이하의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가입 설계 문의가 많이 늘어났다"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241 ‘기재부 쪼개기’에 5년간 476억원 소요 예상···인건비가 80% 랭크뉴스 2025.05.20
50240 故오요안나 사망 8개월 만에…MBC "조직문화 개선하겠다" 사과 랭크뉴스 2025.05.20
50239 민주 “지귀연 사진 속 동석자 직무관련 의심” 대법 조사 빨라질 듯 랭크뉴스 2025.05.20
50238 원청만 배부른 조선업 호황…하청은 빚내 운영하다 폐업 몰려 랭크뉴스 2025.05.20
50237 [와글와글] 공원 주차장에 바비큐장 알박기? 랭크뉴스 2025.05.20
50236 바이든 걸린 전립선암은 착한암? 이 곳 전이 땐 생존율 반토막 랭크뉴스 2025.05.20
50235 지구에서 사라지는 꿀벌…유전자 치료제가 구한다 랭크뉴스 2025.05.20
50234 “나도 황제주였는데”… 실적 부진에 왕관 반납한 그 주식, 반등하려면? 랭크뉴스 2025.05.20
50233 틀린 그림 찾기? [그림판] 랭크뉴스 2025.05.20
50232 [르포] “통상 전쟁에도 대만 ‘AI 열기’ 뜨겁다”… 빅테크 집결 속 막 오른 별들의 전쟁 랭크뉴스 2025.05.20
50231 이재명·김문수, ‘승부처’ 수도권 집중 유세…이준석은 광주, 권영국은 경북행 랭크뉴스 2025.05.20
50230 이재명·김문수 60대 지지율 초박빙…한날 노인회 찾아 구애 랭크뉴스 2025.05.20
50229 개신교인 정치 성향 중도 38% 최다… ‘매우 보수’ 13.5% 그쳐 랭크뉴스 2025.05.20
50228 '셰셰·호텔경제론' 욕먹고도 또 꺼낸 이재명…고도의 셈법? 랭크뉴스 2025.05.20
50227 트럼프 “러·우 즉시 휴전 협상 시작”…푸틴 “근본 원인 제거” 랭크뉴스 2025.05.20
50226 중대재해법이 “악법”이라는 김문수…노동자는 또 숨졌다 랭크뉴스 2025.05.20
50225 바이든이 걸린 암은 착한 암? 뼈에 옮으면 생존율 반토막 났다 랭크뉴스 2025.05.20
50224 빗장 수비 이재명, 한방 부족 김문수, 공격 올인 이준석 [1차 토론 성적표] 랭크뉴스 2025.05.20
50223 '셰셰·호텔경제론' 다시 꺼낸 이재명…논란 털기 승부수? 자충수? 랭크뉴스 2025.05.20
50222 법무장관의 ‘TK·공안 알박기’…“정권 바뀌면 ‘한동수 감찰부장’ 되라는 것” 랭크뉴스 2025.0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