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대선 패배’ 우려 커지는 시점에 나온 결정
당내서도 ‘쇼’ 지적···“대선에 별 영향 없어”
장예찬 복당 등 ‘절연’ 미흡하다는 지적도
12·3 불법계엄 사태와 관련해 내란 우두머리 혐의 등으로 기소된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지난 12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3차 공판에서 오전 공판을 마치고 법원을 나서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윤석열 전 대통령이 “김문수에게 힘을 모아 달라”며 국민의힘을 탈당했다. 12·3 불법계엄에 대한 사과 없이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 지지를 촉구한 것을 두고 당내에서조차 “억지쇼” “사과 한 마디 없다”는 비판이 나왔다. 김 후보나 당 차원의 절연이 아니라는 점에서 대선에도 큰 영향은 없을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윤 전 대통령은 지난 17일 페이스북에서 “저는 오늘 국민의힘을 떠난다”며 “국민의힘을 떠나는 것은 대선 승리와 자유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지금 제가 할 수 있는 최선의 길”이라고 주장했다. 불법계엄 언급이나 사과는 없었다. 그는 그러면서 “이번 선거는 전체주의 독재를 막고 자유민주주의와 법치주의를 지키기 위한 마지막 기회”라며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에 힘을 모아달라고 했다.

윤 전 대통령의 탈당은 대선 패배에 대한 당내 우려가 커지는 시점에서 나왔다. 특히 지난 16일 핵심 지지지역으로 꼽히는 대구·경북(TK)에서조차 김 후보 지지율이 50%에 미치지 못한 것이 중요한 위기 신호로 해석됐다. 한국갤럽이 지난 13일부터 15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100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포인트), TK에서 김 후보 지지율은 48%에 그쳤다. 지난 대선 TK에서 윤 전 대통령 득표율은 73.9%였다.

윤 전 대통령 탈당을 두고 당내에서도 정치공학적 ‘쇼’로 비칠 수 있어 대선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한 의원은 이날 기자와 통화하면서 “윤 전 대통령 탈당이 대선에 폭발적인 힘이 있지는 않을 것 같다”며 “윤 전 대통령이 엄청난 결단, 희생을 한 것처럼 했는데 그냥 떠밀려서 한 것이고 당이 절연한 것은 아니지 않나”라고 말했다. 한 원외 당협위원장은 “탈당 논란을 지지부진하게 끌고 오다보니 전혀 전격적이지도 않고 의외도 아니지 않나”라며 “대선에 별 영향도 없고 억지쇼에 가깝다”고 말했다.

늦은 탈당 시점, 사과 없는 당당한 태도 등에 대한 비판도 제기됐다. 류제화 세종갑 당협위원장은 지난 17일 페이스북에서 “‘이기고 돌아왔다’는 식의 위풍당당한 탈당”이라며 “계엄으로 인해 치르게 된 계엄대선을 코앞에 두고 이뤄진 뒤늦은 탈당”이라고 적었다. 그는 “국민과 당원에 대한 사과 한 마디는 찾아볼 수 없었다”고 덧붙였다.

김 후보가 주도적으로 나서 윤 전 대통령과의 관계를 정리한 것이 아니라는 점도 이런 당내 비판을 키우고 있다. 김 후보는 그간 탈당은 윤 전 대통령 결단에 맡겨야 한다며 탈당을 압박하는 건 부적절하다고 주장해 왔다. 김 후보는 윤 전 대통령의 탈당 선언 직후 기자들과 만나 “(윤 전 대통령) 뜻을 저는 존중한다”며 “그 뜻을 받아들여서 당이 더 단합하고 더 혁신해 국민의 뜻에 맞는 당이 되겠다”고 말했다. 그는 탈당과 관련한 당의 사전 조율은 없었다고 밝혔다.

일각에서는 당이 친윤석열계 장예찬 전 최고위원에 대한 복당을 승인하고, ‘윤어게인’ 신당을 추진했던 김계리 변호사가 입당을 신청한 것이 윤 전 대통령과의 절연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의미라는 주장도 나온다.

친윤계에서는 윤 전 대통령 탈당을 ‘희생’ ‘결단’으로 띄우며 옹호를 이어갔다. 한 친윤계 당협위원장은 기자와 통화하면서 “(탈당은) 대통령의 희생”이라고 말했다. 장 전 최고위원은 “대선 승리를 위해 당적까지 내려놓은 윤석열 대통령”이라며 “누가 더 당을 사랑하는지 자명하다”고 밝혔다.

윤 전 대통령이 탈당하더라도 박근혜·이명박 전 대통령의 경우처럼 당의 원로로 예우 받을 것이라는 예상도 나온다. 이 전 대통령은 2017년 1월 박 전 대통령 탄핵국면 당시 탈당했고, 박 전 대통령은 자유한국당 시절인 2017년 11월 제명 조치됐다. 그러나 국민의힘은 이후 주요 정치적 국면마다 두 전직 대통령을 당의 원로로 예우하고 있다.

앞선 여론조사는 무작위 추출된 무선전화 가상번호에 전화 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다. 응답률은 16.4%였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참고하면 된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676 미 중부에 토네이도 동반 폭풍 강타…최소 27명 사망 랭크뉴스 2025.05.19
49675 이재명, ‘4년 연임제 개헌’ 제안…김문수, ‘임기 단축 개헌’ 맞불 랭크뉴스 2025.05.18
49674 20년 된 엠게임 ‘나이트 온라인’ 해외서 역주행… 중견 게임사 희비 가른 ‘IP’ 파워 랭크뉴스 2025.05.18
49673 이스라엘군 “가자지구서 대규모 지상작전 개시” 랭크뉴스 2025.05.18
49672 꼬리에 꼬리 문 '저격 사슬'… 김문수·이준석 협공에 이재명 "단편적·극단화" 역공 랭크뉴스 2025.05.18
49671 "세상에 사람 늘면 안돼"…미국 난임 클리닉에 자폭테러(종합) 랭크뉴스 2025.05.18
49670 이용기 대전시의원 차량에서 숨진 채 발견 랭크뉴스 2025.05.18
49669 이스라엘군, 가자지구서 대규모 지상작전 랭크뉴스 2025.05.18
49668 "세상에 사람 늘면 안돼"…美 난임클리닉서 테러 추정 차량 폭발 랭크뉴스 2025.05.18
49667 “세상에 사람 많아져선 안돼”… 美 난임 클리닉에 차량 폭발 테러 랭크뉴스 2025.05.18
49666 권영국, 김문수에 “내란 옹호, 출마 자격 없다…국민이 퇴출을” 랭크뉴스 2025.05.18
49665 레오 14세 교황 즉위…“하나된 교회가 세상의 화해 이끌수 있어” 랭크뉴스 2025.05.18
49664 김문수 “노란봉투법 악법” 권영국 “노동부 장관 어디로 해먹었나”[대선 토론] 랭크뉴스 2025.05.18
49663 김문수 “美 입장에선 李 발언 끔찍” 이재명 “한미동맹은 기본 축” 랭크뉴스 2025.05.18
49662 "종일 앉아있는 직장인들 어쩌나"…운동해도 '치매' 위험 커진다는데 랭크뉴스 2025.05.18
49661 금호타이어 광주 공장 화재 약 32시간 만에 주불 진화 랭크뉴스 2025.05.18
49660 김문수 “지구 10바퀴 돌며 투자 유치… 서민 대통령 될 것” 랭크뉴스 2025.05.18
49659 李·金 동시타격으로 존재감 뽐낸 이준석…토론회 통해 몸집 키울까 랭크뉴스 2025.05.18
49658 김문수 "불법 대북송금 몰랐나"…이재명 "檢 억지기소" 랭크뉴스 2025.05.18
49657 이재명 “이번 선거는 심판 선거… 새로운 기회 만들어 보답” 랭크뉴스 2025.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