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꽃은 거꾸로 털고, 곡물은 체로 쳐서… “병해충 유입 차단”


지난 15일 오후 인천 중구 내항에 정박한 한 선박. 전신 방역복에 장갑, 헬멧까지 착용한 검역관이 계단을 따라 8000톤의 미국산 밀이 실린 곡창(홀드) 내부로 내려갔다. 무수히 쌓인 밀 더미 위에서 검역관은 흰 천을 펼쳐놓고 체를 쳤다. 벌레나 알이 섞여 있지는 않은지 확인하는 절차다.

2인 1조로 이뤄지는 선상 검역은 위험도가 높거나 대량 수입되는 곡물류를 대상으로 현장에서 곧바로 이뤄진다. 병해충이 한 마리라도 발견되면 정밀검사를 거쳐야 하며, 합격 판정을 받아야만 유통될 수 있다.

같은 날 오후, 인천 축항대로의 냉장 보세창고 안. 섭씨 0도 안팎의 냉장 공간에 중국·일본·동남아시아산 마늘종, 고구마 줄기, 국화, 카네이션 등 화훼·채소류가 팔레트 단위로 대기 중이었다.

검역관들은 무작위로 샘플을 추출해 검사대에 올린 뒤, 국화를 거꾸로 들어 손뼉 치듯 흔들고, 줄기는 불빛이 들어오는 돋보기로 하나씩 살폈다. 총채벌레나 나방 유충이 숨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날 검역 대상은 절화 약 22만송이 중 1200송이 이상이었다.

중국에서 들어온 마늘종 역시 검사 대상이다. 꽃봉오리가 남아있는 상품은 검역관이 꽃봉오리를 칼로 절개해 벌레가 없는지 꼼꼼히 살핀다. 혹시 모를 외래 해충 유입 가능성을 대비한 절차다.

지난 15일 오후 인천 중구 내항에 정박해 있는 선박. 선박 안에는 미국산 밀이 실려 있다. /김민정 기자

농림축산검역본부에 따르면 인천항은 중국·동남아로부터 신선 채소와 절화류가 많이 들어오는 곳이기 때문에 병해충 유입 가능성이 크다. 전국 수입 식물 검역의 50% 이상을 담당하는 최대 검역 거점으로 꼽힌다.

김정희 검역본부 본부장은 “매일 반복되는 동식물 검역이야말로 국민 식탁의 안전을 지키는 1차 방어선”이라며 “특히 인천항을 담당하는 중부지역본부는 중국과 동남아시아 물동량을 집중적으로 다루는 만큼, 병해충 차단의 중책을 맡고 있다”고 설명했다.

중부지역본부는 인천항·평택항·대전·충청 지역을 포함해 전국 농산물 수입량의 절반, 축산물 수입량의 11%를 책임지는 기관이다. 과수화상병같은 식물병은 물론 붉은불개미, 과실파리 등 주요 병해충에 대한 상시 예찰과 방제를 한다. 붉은불개미는 매년 10회 이상 발견된다.

인천 축항대로 보세창고에서 꺼낸 중국산 마늘종의 꽃봉오리를 절개해 살펴보는 검역관 모습. /김민정 기자

최근에는 수입 물류의 다변화에 대응해 검역 시스템도 강화하고 있다. 기존에는 컨테이너 단위 대형 물량 검역이 중심이었지만, 택배식 특송화물이나 소량 혼합(LCL) 물량도 증가하면서 실시간 대응 체계를 구축했다. 검역본부는 올해부터는 불법 반입 농축산물을 조직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방역수사단도 운영하고 있다.

식약처에 따르면 올해 1분기 470만7000톤의 식품이 수입됐다. 건수로는 전년 대비 2.9% 증가한 20만3000건에 달했다. 정부가 수급·물가 안정을 목적으로 할당관세를 확대 운용하면서, 외국산 농수산물 반입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수입이 늘면 검역 부담도 함께 커진다.

검역본부는 국산 농산물의 수출길을 여는 역할도 하고 있다. 국제검역협상을 통해 최근 호주로 샤인머스캣을 수출하도록 한 것을 비롯해, 베트남 참외·멜론, 브라질 딸기, 뉴질랜드 쌀 수출 협상을 잇달아 타결했다.

검역본부 관계자는 “국경 검역은 병해충을 막는 것을 넘어, 농업 경쟁력과 수출 역량을 지키는 전초기지”라며 “수출 확대, 검역 요건 개선, 불법 반입 차단을 아우르는 전략적 대응을 계속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667 “세상에 사람 많아져선 안돼”… 美 난임 클리닉에 차량 폭발 테러 랭크뉴스 2025.05.18
49666 권영국, 김문수에 “내란 옹호, 출마 자격 없다…국민이 퇴출을” 랭크뉴스 2025.05.18
49665 레오 14세 교황 즉위…“하나된 교회가 세상의 화해 이끌수 있어” 랭크뉴스 2025.05.18
49664 김문수 “노란봉투법 악법” 권영국 “노동부 장관 어디로 해먹었나”[대선 토론] 랭크뉴스 2025.05.18
49663 김문수 “美 입장에선 李 발언 끔찍” 이재명 “한미동맹은 기본 축” 랭크뉴스 2025.05.18
49662 "종일 앉아있는 직장인들 어쩌나"…운동해도 '치매' 위험 커진다는데 랭크뉴스 2025.05.18
49661 금호타이어 광주 공장 화재 약 32시간 만에 주불 진화 랭크뉴스 2025.05.18
49660 김문수 “지구 10바퀴 돌며 투자 유치… 서민 대통령 될 것” 랭크뉴스 2025.05.18
49659 李·金 동시타격으로 존재감 뽐낸 이준석…토론회 통해 몸집 키울까 랭크뉴스 2025.05.18
49658 김문수 "불법 대북송금 몰랐나"…이재명 "檢 억지기소" 랭크뉴스 2025.05.18
49657 이재명 “이번 선거는 심판 선거… 새로운 기회 만들어 보답” 랭크뉴스 2025.05.18
49656 김문수 “노란봉투법 밀어붙일 건가”…이재명 “당연히 해야” 랭크뉴스 2025.05.18
49655 이준석 ‘셰셰’ 꺼내자…이재명 “‘친중’ 몰려고 하는데 부적절” 랭크뉴스 2025.05.18
49654 권영국 "尹 12·3 내란 우두머리 인정하나"…김문수 "재판 중" 랭크뉴스 2025.05.18
49653 "미성년자 성폭행범 엄벌"…법원 승인 나오자마자 처형한 나라 랭크뉴스 2025.05.18
49652 [속보] 이스라엘군 "가자지구서 대규모 지상작전 개시" 랭크뉴스 2025.05.18
49651 이재명 “유능한 일꾼” 김문수 “일자리 대통령”…4인4색 경제 출사표 랭크뉴스 2025.05.18
49650 이준석 “표 된다고 HMM 부산 이전? ‘주식시장 이재명 리스크’” 랭크뉴스 2025.05.18
49649 토론 시작부터 ‘내란’ 격돌…“尹 내란 우두머리 인정?” “계엄은 잘못이지만…”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5.18
49648 관세 협상, 이재명 “신중 접근” 김문수 “한미간 신뢰”[대선 토론] 랭크뉴스 2025.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