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미국의 화염방사기 제조업체 스로플레임이 출시한 화염방사기를 장착한 4족 보행 로봇. 스로플레임 제공


요즘 전쟁의 양상을 바꿀 ‘게임 체인저’로 주목받는 존재가 있습니다. 무엇일까요. 바로 전투로봇입니다. 인공지능(AI)과 로봇 기술이 발전하면서 전투로봇이 실제 전장에도 등장하고 있는데요. 한국은 물론 여러 나라가 앞다퉈 전투로봇 개발과 실전 투입에 나서고 있는 상황입니다.

전투로봇을 활용하면 인명 피해가 줄고 전투 효율성도 커질 수 있다는 건 분명해 보입니다. 하지만 간과해선 안될 게 있습니다. 윤리적·법적 책임이나 안전 문제 등이지요. 이 숙제를 풀지 않고선 로봇전투 투입과 관련한 논란은 끊이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지상·공중·해상 누비는 로봇 병력

지난 1월 25일 우크라이나 하르키우주의 한 장소에서 촬영된 우크라이나군의 대전차 지뢰 설치용 로봇. EPA연합뉴스


전투로봇은 첨단 센서, AI, 무장 시스템 등을 갖추고 지상·공중·해상 등 다양한 전장에서 정찰·공격·방어·지원 등의 임무를 수행합니다. 무인 전투 차량, 무장 드론 등이 대표적이지요.

전투로봇이 차세대 전장 기술의 핵심으로 떠오르면서 글로벌 방산 시장에서 전투로봇의 존재감이 더욱 뚜렷해지고 있는데요. 미국 컨설팅업체 CMI는 전 세계 군사용 로보틱스 시장이 2022년 210억달러(약 29조7000억원)에서 2030년에는 350억달러(약 49조4000억원)까지 커질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주요 군사 강국들은 인간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전쟁 중 사상자 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전투로봇의 대량 배치와 기술 고도화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최근 AFP통신은 프랑스군이 오는 2040년까지 실전에서 활용 가능한 로봇 시스템을 도입할 계획이라고 전했습니다. 프랑스 육군 미래 전투 프로그램 사령관 브루노 바라츠 장군은 “3년 안에 지상 로봇 작전 능력을 전방 부대에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습니다.

미 합동참모본부 의장을 지낸 마크 밀리 예비역 육군 대장은 지난해 7월 미국 언론 악시오스가 개최한 행사에 참석해 “향후 10~15년 이내에 로봇과 기타 스마트 기계가 미군 병력의 3분의 1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또한 로봇 시스템이 보편화함에 따라 인간 병력의 수는 감소할 가능성이 크다고 했습니다.

실제 전투로봇은 전장을 누비고 있습니다. 우크라이나군은 러시아군을 상대로 중기관총 탑재 전투로봇, 대형 공격용 로봇, 도시전투·건물파괴 로봇, 각종 드론 등 다양한 무인 시스템으로 구성된 세계 최초의 중대 규모 전투로봇 부대 ‘하르티야 중대’를 실전에 배치했습니다.

미 해병대는 방산업체 오닉스가 개발한 원격무기시스템이 장착된 로봇개를 테스트 중입니다. 이 로봇개는 드론 차량과 같은 목표물을 자동으로 탐지·추적할 수 있는 AI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고 합니다. 중국은 지난해 캄보디아와의 합동 군사훈련에서 기관총을 장착한 로봇개를 시연하는 등 무인 전투 시스템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미국 공군 C-130 수송기 편으로 공수된 ‘로봇 군견’이 공군 훈련에 투입돼 병사들에게 가해질 수 있는 위협을 정찰하고 있다. 미국 공군 제공


커지는 전투로봇 시장, K방산 미래 전장 계획은

국내 주요 방산업체들도 전투로봇 개발에 뛰어들고 있습니다.

한화그룹은 2028년까지 무인 수상정, 무인 차량, 무인 로봇 등 군용 제품군을 구축한다는 목표를 세워놨습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개발한 다목적 무인차량 ‘아리온-SMET’는 이미 군 훈련에 투입됐지요.

현대로템은 군인을 대신해 감시나 정찰, 전투, 부상병 및 물자 이송 등 다양한 작전과 임무를 수행하는 다목적 무인차량 ‘세르파’를 공개했습니다. HD현대중공업은 미국 빅데이터 기업 팔란티어와 손잡고 내년까지 무인 수상정을 개발하기로 했습니다.

LIG넥스원은 지난해 7월 미국의 4족 보행 군용로봇 전문 기업 고스트로보틱스의 지분 60%를 인수하며 본격적인 무인전투체계 시장 진출을 선언했습니다. 고스트로보틱스의 4족 보행 로봇 군견 ‘비전60’은 이미 미 공군과 일본 육상자위대 등에서 순찰·경계 임무를 맡고 있습니다.

정부는 전투로봇, AI, 드론 등 4차 산업혁명 기반의 미래전장 핵심기술을 보유한 중소·벤처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하는 ‘방산혁신기업100’ 프로젝트 등 미래 방위산업의 경쟁력과 자립도를 높이기 위한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올해 국방 연구·개발(R&D) 예산이 4조9000억원 규모로 2023년(5조800억원) 수준을 회복하지 못해, 무기체계 신속 전력화가 차질을 빚게 됐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전문가들은 K-방산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국방 R&D 생태계를 민간에 더 개방하고, 민·관·군이 협력해 기술 혁신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4세대 HR-셰르파(SHERPA) 조감도. 현대로템 제공


전투로봇 시대 성큼… 기술 앞서고 윤리는 뒤처져

전투로봇이 통제에서 벗어나거나 오작동할 경우 돌이킬 수 없는 재앙에 맞닥뜨릴 수 있다는 우려도 적지 않습니다. 기술의 비약적인 진보와 달리 로봇의 판단과 책임, 생명권 보호를 둘러싼 윤리적·법적 논의는 여전히 더디기만 해 AI 무기의 통제와 규제 필요성에 대한 목소리가 꾸준히 나오고 있지요.

전문가들은 기술 개발과 함께 전투로봇의 윤리적·법적 문제에 대한 사회적 합의도 병행돼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방산 로봇은 인간을 대신하는 무기 체계인 만큼, 그 활용 기준과 통제 체계에 대한 선제적 논의가 국가적 차원에서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지요.

지난해 유엔 사무총장 보고서는 치명적 자율무기 시스템이 초래할 수 있는 인도적, 법적, 안보적, 기술적, 윤리적 문제를 포괄적으로 다루고 국제법 준수와 인간의 의미 있는 통제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또한 기술 발전 속도와 확산에 대한 우려, 국제적 규범화 논의의 진전, 국가별 입장 차이 등이 주요 내용으로 포함됐습니다.

국내 방산업계 한 관계자도 이 점에 공감하고 있었습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통해 전투로봇의 실전 투입 가능성이 입증됐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본격적인 도입에 앞서 인간과의 공존을 위해선 윤리적 기준과 운용 가이드라인 마련이 시급합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407 이재명 "개헌 당시 재임 대통령엔 연임제 적용 안 돼…헌법에 명시" 랭크뉴스 2025.05.18
49406 ‘법카’ 10만원에 항소심도 벌금 150만원…김혜경, 상고 랭크뉴스 2025.05.18
49405 [속보] 김상욱, 민주당 입당…“바닥부터 배우며 국민 받들겠다” 랭크뉴스 2025.05.18
49404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진화율 80% 근접…소방 대응 하향 전망 랭크뉴스 2025.05.18
49403 “나는 계몽됐다” 김계리, 국민의힘 입당 신청···“지금은 김문수의 시간” 랭크뉴스 2025.05.18
49402 국민의힘 탈당 김상욱, 민주당 입당‥"더 건강한 민주당 만들 것" 랭크뉴스 2025.05.18
49401 정일택 금호타이어 대표, 공장 화재에 “깊이 사죄” 랭크뉴스 2025.05.18
49400 ‘선거법 위반’ 김혜경, 2심 벌금 150만원에 상고 랭크뉴스 2025.05.18
49399 [속보]국힘 탈당 김상욱, 민주당 입당 “권력 폭주 있으면 직언하겠다” 랭크뉴스 2025.05.18
49398 이재명 “대통령 4년 연임제·결선투표제 도입해야”…개헌 공약 발표 랭크뉴스 2025.05.18
49397 [이재명 포스터 몰아보기] 19년 전에도 ‘무능·부패’ 저격, ‘무상 복지’는 사라져 랭크뉴스 2025.05.18
49396 ‘갤럽 지지율 51%’ 이재명, 박근혜 득표율 51.6% 넘을까 랭크뉴스 2025.05.18
49395 “나는 쓰레기 마을 도시락 배달부… 600여명에게 밥과 희망 전해요” 랭크뉴스 2025.05.18
49394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화재, 오늘 중 완전 진화 전망 랭크뉴스 2025.05.18
49393 이재명 “4년 연임제, 결선투표제 도입…국무총리 국회서 추천” 랭크뉴스 2025.05.18
49392 이재명 "대통령 4년 연임제 도입‥권한 분산하자" 개헌 제안 랭크뉴스 2025.05.18
49391 소방 "금호타이어 광주 공장 화재 오늘 진화율 95% 목표" 랭크뉴스 2025.05.18
49390 [전문] 이재명 “대통령 4년 연임·결선투표” 개헌 쏘아올렸다 랭크뉴스 2025.05.18
49389 손흥민에 '3억' 뜯고 "임신 비밀유지"…협박녀가 쓴 '각서', 효력 있을까 랭크뉴스 2025.05.18
49388 민주당 입당 김상욱 "국힘 정당 기능 마비…국민 위한 정치 하겠다" 랭크뉴스 2025.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