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1865년, 세계는 격변의 소용돌이 속에 있었다. 미국에서는 남북전쟁이 막을 내리고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이 암살당했으며, 유럽에서는 국민 국가가 속속 등장하고 있었다. 프랑스 제2제국은 후퇴하고, 이탈리아 통일이 가속화됐다. 새로운 질서와 문명이 재편되는 시기에 문학과 미술 등 문화 전반도 근대의 시작을 알리는 기점이 됐다. 전통적 낭만주의가 힘을 잃고 현실의 삶과 계급, 전쟁의 상흔을 정직하게 묘사하는 소설과, 농민·노동자의 일상을 그리는 미술 사조가 등장했다.

격변의 시기는 포도밭에도 예외 없이 닥쳤다. 1860년대 초 프랑스에서는 필록세라(Phylloxera) 진디병이 급속도로 퍼지기 시작했다. 이 해충은 미국 포도 품종과 묘목이 유럽에 수입되면서 유입된 것으로, 곧 이탈리아, 스페인, 독일 등 유럽 전역으로 확산됐다. 1870년대 말까지 프랑스 전체 포도밭의 약 40%가 폐허가 될 정도로 피해가 컸다. 프랑스 와인 산업이 멸종 위기에 처했다는 말까지 나올 정도였다.

하지만 칠레는 달랐다. 안데스산맥, 사막, 바다, 빙하로 둘러싸인 칠레는 지리적으로 고립돼 필록세라의 피해를 피해 갈 수 있었다. 오늘날까지도 칠레는 필록세라 프리존(Phylloxera-free zone)으로 꼽히는 유일한 국가로 건강한 포도나무에서 자란 고품질 와인을 생산하고 있다.

이 역사적 격변의 해, 칠레에서는 산 페드로(San Pedro) 와이너리가 설립됐다. 스페인 출신의 꼬레아 알바노(Correa Albano) 형제가 칠레 마울레 지역에 세웠다. 산 페드로는 유럽 이민자와 기술 유입을 발판으로 칠레 와인 산업의 근대화를 이끈 대표적 와이너리로 성장했다.

그래픽=손민균

산 페드로의 포도밭은 칠레 전역에 걸쳐 있으나 대부분 산티아고 남쪽에 있다. 마이포, 카사블랑카, 레이다, 카차포알, 콜차구아, 쿠리코, 마울레 등이다. 산티아고 북쪽으로는 엘키 지역이 있다.

지역별로 기후와 토양은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여름이 덥고 건조하며, 겨울은 시원하고 비가 온다. 낮과 밤의 일교차가 크고, 여름철 포도 수확기에는 거의 비가 오지 않아 병해 리스크가 낮다. 지중해성 기후의 영향으로 포도가 천천히 익는다. 퇴적토, 점토, 자갈이 혼합된 토양은 배수가 잘되고 뿌리 발달에 유리해, 품질 좋은 포도를 키우기에 최적의 환경을 갖췄다.

산 페드로 와이너리는 설립 100여년 무렵 자신들의 역사를 기념하고자 1865년을 브랜드화한 ’1865′를 출시하며 지속적으로 라인업을 확장하고 있다. 와이너리의 창립 연도를 그대로 이름에 담은 이 시리즈는 칠레 와이너리의 전통을 대표함과 동시에, 신대륙의 현대적이고 세련된 감각을 살리고자 하는 의지를 담았다. 세계적인 주류 모니터링 기관 와인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1865는 한국에서도 2016년부터 2024년까지 9년 연속 브랜드 인지도 1위를 차지했다.

초창기 1865 시리즈는 포도 품종을 완벽하게 표현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포도밭을 골라 단일 품종 와인 위주로 출시됐다. 1865는 산 페드로의 포도밭 중에서도 엘키, 레이다, 마이포, 카차포알, 우코 등의 지역에서 생산된 포도를 사용하는데, 1865 마스터 블렌드는 이 각각의 지역에서 생산한 포도를 블렌딩했다. 다양한 떼루아와 품종을 융합해 산 페드로의 블렌딩 철학의 정점을 구현했다는 평가다.

1865 마스터 블렌드는 시라 60%, 말벡 16%, 까베르네 소비뇽 14%, 쁘띠 베르도 10%로 구성됐다. 블렌딩 비율은 빈티지마다 미세하게 조정된다. 짙은 루비색으로 체리와 레드 커런트 등 잘 익은 붉은 과실 풍미가 지배적이다. 바닐라와 코코아 등 오크 숙성에서 기인한 풍미, 스파이시한 향신료의 조화가 인상적이다. 견고한 바디감과 구조감, 조화로운 산도, 우아하고 오래 지속되는 피니시가 특징이다. 붉은 육류, 붉은 살 생선, 단단한 치즈, 훈제·염장 음식과 잘 어울린다.

2021 빈티지는 팀 아킨(Tim Atkin) 93점, 데스콜차도스(Descorchados) 91점, 제임스 서클링(James Suckling) 93점 등 세계적 평론가들에게 높은 평가를 받았다. 2025 대한민국 주류대상 레드 와인 신대륙 3만원 이상 6만원 미만 부문 대상을 수상했다. 수입사는 금양인터내셔날이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334 “회장님 나가시니 확 달라졌다”...남양유업의 ‘부활’ 랭크뉴스 2025.05.18
49333 대선후보 첫 TV 토론…후보 4명 경제 공약 검증 랭크뉴스 2025.05.18
49332 광주 금호타이어 공장 화재…이 시각 진화 상황 랭크뉴스 2025.05.18
49331 차기 대통령, 취임 직후 참석할 軍행사?…다산정약용함·이봉창함 진수식·해군국제관함식[이현호의 밀리터리!톡] 랭크뉴스 2025.05.18
49330 그래서 장애 아동 교육이 나아졌을까…‘주호민·특수교사’ 논란이 남긴 것 랭크뉴스 2025.05.18
49329 “준비된 대통령” “사람이 먼저다”… 잘 만든 슬로건 하나, 열 전략 안 부럽다 랭크뉴스 2025.05.18
49328 "한 채 가격이 '250억'"…지드래곤·BTS 사는 '이 아파트' 올해 최고가 찍었다 랭크뉴스 2025.05.18
49327 김혜경 vs 설난영 ‘퍼스트레이디 경쟁’…대선판 바꾸는 배우자의 품격 [박영실의 이미지 브랜딩] 랭크뉴스 2025.05.18
49326 [작은영웅] 소방차 오기도 전에 대피 완료…어린이집 선생님들의 발 빠른 대응 (영상) 랭크뉴스 2025.05.18
49325 대선 대진표 확정…여론 주목도도 '1강·1중·1약'[데이터로 본 정치민심] 랭크뉴스 2025.05.18
49324 이재명 “서울대 10개 만들기” 김문수 “서울대·지방대 공동학위 수여” 이준석 “공교육 강화” 랭크뉴스 2025.05.18
49323 이어령 “6살이었어, 눈물 핑 돌았어”…암선고에 떠올린 그날 랭크뉴스 2025.05.18
49322 홍원식 ‘셀프보수 승인’ 위법 판결 이후…주총 방식 달라진다 [허란의 판례 읽기] 랭크뉴스 2025.05.18
49321 김문수, 尹탈당에 이재명 추격전 총력…지지층 재결집 도모 랭크뉴스 2025.05.18
49320 AI로 무장한 전투로봇, 아군일까 적군일까[산업이지] 랭크뉴스 2025.05.18
49319 중국제 무기에 당했다…전 세계에 충격 준 '인도의 최고 실수' [Focus 인사이드] 랭크뉴스 2025.05.18
49318 영·호남 훑은 李, 이번주 수도권서 '경제' 키워드로 중도 공략 랭크뉴스 2025.05.18
49317 "사진도 슬로건도 눈이 안가요"…이번 대선 벽보, 재미 없는 까닭 랭크뉴스 2025.05.18
49316 손흥민 협박한 '여성'...경찰 "임신은 맞지만" 랭크뉴스 2025.05.18
49315 지귀연 판사 의혹 논란 속 내란재판 계속…19일 尹 4차 공판 랭크뉴스 2025.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