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민간인 대피 버스 타격해 9명 사망…영·프, 대러 압박·미국 역할 촉구
러, 우크라와 정상회담에 조건 제시…휴전 앞서 점령지서 우크라 병력 철수 요구


지난 14일 러시아의 공습을 당한 우크라이나 수미 지역
[AP=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금지]


(서울=연합뉴스) 신재우 기자 =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3년 2개월 만에 만나 평화 협상을 한 지 몇 시간 지나지 않아 러시아 드론이 우크라이나를 공격해 민간인 9명이 사망한 것으로 전해졌다.

우크라이나와 영국, 프랑스는 러시아를 더욱 강도 높게 압박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러시아는 협상에서 논의된 것으로 알려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정상회담에 대해 특정한 합의가 선행돼야 한다며 조건을 달았다.

17일(현지시간) AP 통신 등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당국은 이날 아침 러시아 드론이 수미 지역 빌로필리아 마을에 있던 버스를 공격해 9명이 숨지고 7명이 다쳤다고 밝혔다.

공격을 당한 마을은 러시아 국경에서 약 10㎞ 떨어진 곳으로, 당시 버스는 수미 최전방에서 민간인을 대피시키던 중이었다.

러시아 국방부는 우크라이나의 군사 장비 집결지를 공격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공격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대표단이 16일 저녁 튀르키예 이스탄불에서 만나 평화 협상을 가진 지 몇 시간 만에 이뤄졌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전방위 압박 속에 협상을 시작했으나, 휴전 등 핵심 쟁점을 두고 극명한 입장차를 재확인하면서 별 성과 없이 90분 만에 협상을 종료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SNS에서 이 공격을 "민간인에 대한 고의적 살인"이라고 규정하고, "러시아인들은 어떤 차를 공격한 것인지 알지도 못했을 것"이라고 규탄했다.

그는 전날 협상이 별다른 성과 없이 종료된 것에 대해 "러시아는 살인을 계속할 수 있는 능력만 갖췄을 뿐"이라고 비판하고, "러시아의 살인을 멈추게 할 압력을 가해야 한다. 더 강력한 제재와 압박 없이는 러시아가 진정한 외교를 추구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유럽 각국도 협상 결과에 실망감을 표하면서 러시아를 비판했다.

영국의 데이비드 라미 외무장관은 로이터에 "우리는 러시아 측의 모호한 태도와 우크라이나에 필요한 항구적인 평화에 대해 진지하게 임하지 않는 모습을 다시 목도하고 있다"며 "우리는 어느 시점에 푸틴에게 그만하면 충분하다고 말해야 하냐"고 반문했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도 알바니아에서 열린 유럽정치공동체(EPC) 정상회의에 참석해 평화 협상에 성과가 없었다고 지적하고, "푸틴 대통령의 냉소주의에 맞서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의 신뢰성을 염두에 두고 대응할 것으로 확신한다"면서 미국의 적극적인 대응을 주문했다.

튀르키예 중재속 러-우 3년만에 직접 대화
[AFP 연합뉴스. 재판매 및 DB 금지]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특정한 합의가 이뤄져야만 푸틴 대통령과 젤렌스키 대통령의 정상회담이 가능하다고 조건을 내세웠다.

전날 회담에서는 양국의 정상회담 가능성도 논의된 것으로 전해졌다.

러시아는 전날 회담에서 휴전에 앞서 점령지에서의 우크라이나군 병력 철수를 요구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로이터통신이 전했다.

우크라이나의 고위 당국자에 따르면, 러시아는 우크라이나군이 도네츠크, 루한스크, 자포리자, 헤르손 등 4개 지역에서 철수할 것을 요구했다. 이들 4개 지역은 현재 러시아군이 일부 또는 대부분을 점령 중이다.

러시아는 이들 4개 지역에 2014년 강제 병합한 크림반도를 더해 총 5개 지역이 러시아의 영토라는 국제적 인정을 원한다는 조건도 제시했다.

아울러 우크라이나가 중립국이 되고 대량살상무기를 보유하지 않으며, 외국 군대도 주둔시켜서는 안 된다는 요구도 내걸었다.

러시아가 이번에 내건 조건들은 미국이 지난달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양측에 제시한 종전 방안에 적시된 합의 수준을 넘어선 것이라고 로이터는 지적했다.

우크라이나는 수용 불가능한 요구라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러시아는 협상은 비공개로 진행돼야 한다면서 제시한 조건들에 대해 함구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339 송파·서초 매물 석 달 만에 30% 줄어… “갈아타기·외지인 수요 몰려” 랭크뉴스 2025.05.18
49338 음주운전하다 다른 차량 추돌한 교도소 대체복무요원 랭크뉴스 2025.05.18
49337 대통령 이재명·총리 홍준표…밑질 것 없는 ‘브로맨스’[송종호의 여쏙야쏙] 랭크뉴스 2025.05.18
49336 '건보 자격 취득' 내국인 3만여명 줄 동안 중국인 2만7천명 늘어 랭크뉴스 2025.05.18
49335 이재명 "호남은 죽비‥광주, AI 중심도시로" 랭크뉴스 2025.05.18
49334 “회장님 나가시니 확 달라졌다”...남양유업의 ‘부활’ 랭크뉴스 2025.05.18
49333 대선후보 첫 TV 토론…후보 4명 경제 공약 검증 랭크뉴스 2025.05.18
49332 광주 금호타이어 공장 화재…이 시각 진화 상황 랭크뉴스 2025.05.18
49331 차기 대통령, 취임 직후 참석할 軍행사?…다산정약용함·이봉창함 진수식·해군국제관함식[이현호의 밀리터리!톡] 랭크뉴스 2025.05.18
49330 그래서 장애 아동 교육이 나아졌을까…‘주호민·특수교사’ 논란이 남긴 것 랭크뉴스 2025.05.18
49329 “준비된 대통령” “사람이 먼저다”… 잘 만든 슬로건 하나, 열 전략 안 부럽다 랭크뉴스 2025.05.18
49328 "한 채 가격이 '250억'"…지드래곤·BTS 사는 '이 아파트' 올해 최고가 찍었다 랭크뉴스 2025.05.18
49327 김혜경 vs 설난영 ‘퍼스트레이디 경쟁’…대선판 바꾸는 배우자의 품격 [박영실의 이미지 브랜딩] 랭크뉴스 2025.05.18
49326 [작은영웅] 소방차 오기도 전에 대피 완료…어린이집 선생님들의 발 빠른 대응 (영상) 랭크뉴스 2025.05.18
49325 대선 대진표 확정…여론 주목도도 '1강·1중·1약'[데이터로 본 정치민심] 랭크뉴스 2025.05.18
49324 이재명 “서울대 10개 만들기” 김문수 “서울대·지방대 공동학위 수여” 이준석 “공교육 강화” 랭크뉴스 2025.05.18
49323 이어령 “6살이었어, 눈물 핑 돌았어”…암선고에 떠올린 그날 랭크뉴스 2025.05.18
49322 홍원식 ‘셀프보수 승인’ 위법 판결 이후…주총 방식 달라진다 [허란의 판례 읽기] 랭크뉴스 2025.05.18
49321 김문수, 尹탈당에 이재명 추격전 총력…지지층 재결집 도모 랭크뉴스 2025.05.18
49320 AI로 무장한 전투로봇, 아군일까 적군일까[산업이지] 랭크뉴스 2025.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