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김문수 "탈당 뜻 존중...더 단합하고 혁신하겠다"
"尹 제명" 찬성이 70%...민심 외면 지적은 피할 듯
"尹, '金에 힘 모아달라' 메시지는 역효과...한 편으로 보여"
이준석 "윤 탈당해도 계엄 원죄 못 지워"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기소된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지난 12일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공판에 출석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윤석열 전 대통령이 17일 전격 탈당하며 국민의힘에서는
“최악은 피했다”는 반응
이 나왔다. 18일 첫 대선후보 TV토론을 앞두고 상대 후보들의 견제가 집중될 김문수 후보의 약점 중 하나를 덜어냈기 때문이다. 그러나
너무 늦은 데다 떠밀려 탈당한 듯한 모습
이라 지지율 견인 효과는 크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김문수 "탈당 뜻 존중...더 단합하고 혁신하겠다"



윤 전 대통령 탈당 소식에 대해
당내에서 일제히 "존중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환영한다는 뜻
이다. 김 후보는 광주에서 취재진과 만나 “탈당에 대한 뜻을 존중한다”며 “그 뜻을 저희가 받아들여서 당이 단합하고 더 혁신해서 국민의 뜻에 맞는 그런 당, 그런 선거후보, 그런 대통령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당 중진 의원들도 “탈당을 계기로 ‘반(反)윤석열’이라는 명분도 사라졌다”(김기현 의원), “결단을 존중한다. 이제 정말 하나로 뭉쳐야 한다”(안철수 의원), "솔로몬 재판 속 진짜 어머니처럼, 갈라져서는 안 될 공동체를 살리기 위한 고통스러운 결심이었다"(윤상현 의원) 등 긍정적 반응을 내놨다.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17일 오전 광주 북구 광주교도소 터를 찾아 눈물을 흘리며 생각에 잠겨 있다. 김 후보 캠프 제공


"尹 제명" 찬성이 70%...민심 외면 지적은 피할 듯



윤 전 대통령 탈당이 김 후보의 지지율 반등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기대감 때문이다. 신동욱 당 수석대변인은 취재진과 만나 “탈당은 이재명 민주당과의 대선에서 반드시 승리할 수 있는 중요한 반전의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13~15일 실시된 KBS·한국리서치 설문조사를 보면 ‘국민의힘이 출당이나 제명 등을 통해 윤 전 대통령과의 관계를 끊어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찬성 비율이 70%(반대 21%)로 압도적이었다. 캐스팅보터인
중도층에서는 찬성 비율이 77%에 달했고, 무당층도 59%로 과반이었다. 민심을 외면한다는 지적은 피할 최소한의 근거
는 마련한 셈이다.

"尹, '金에 힘 모아달라' 메시지는 역효과...한 편으로 보여"



대선이 임박한 시점에 마지 못해 탈당한 듯한 인상을 준 것은 한계
로 꼽힌다. 한 비윤석열계 초선 의원은 본보에 “출당이나 제명같은 확실한 절연이 아니라 큰 효과는 없을 것”이라며 “‘짜고 치는 고스톱’으로 비춰 감동이 반감됐다”고 평가했다. 한동훈 전 대표는 윤 전 대통령 탈당 직후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김 후보에게 ‘윤 전 대통령 부부와 당의 절연’을 거듭 요구했다. 이번 탈당을 절연으로 보지 않는다는 뜻이다.

지난달 11일 윤석열 전 대통령과 부인 김건희 여사가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를 떠나 서초동 사저로 이동하며 지지자들과 인사를 하고 있다. 뉴스1


엄경영 시대정신연구소장은 통화에서 “윤 전 대통령이 탈당 메시지에
‘김문수에게 힘을 모아달라’고 쓴 것은 김 후보를 윤 전 대통령과 한 편으로 인식되게 만들어 탈당 효과를 떨어뜨렸다”
며 "지지율 추가 하락을 막을 수는 있어도 상승까지 기대하긴 어렵다"고 말했다.

이준석 "윤 탈당해도 계엄 원죄 못 지워"



어정쩡한 결별인 만큼 '윤 전 대통령과 절연해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와의 단일화 명분을 쌓겠다'던 당 일각의 시나리오도 힘을 받기 어려워졌다.
이준석 후보는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윤 전 대통령이) 탈당한다고 비상계엄 원죄를 지울 수 없다"
며 "탈당한다고 헌법재판소의 탄핵 인용이 김정은 독재국가 같다던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의 시대착오적 인식이 가려질 수 없다"고 단일화에 거듭 선을 그었다.

※기사에 인용된 여론조사는 지난 13일부터 15일까지 사흘간 전국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전화 면접조사 방식으로 실시됐다. 응답률은 18.3%, 95% 신뢰수준에서 오차 범위는 ±3.1%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353 충북 청주 경부고속도로서 차량 3대 잇따라 추돌‥2명 중상·2명 경상 랭크뉴스 2025.05.18
49352 'DOC와 춤을'부터 '찐이야'까지… 대통령 만든 역대 선거송들 랭크뉴스 2025.05.18
49351 “한 달 새 30명 숨져” 코로나19, 중화권서 다시 기승 랭크뉴스 2025.05.18
49350 200가지 바이러스 품은 박쥐는 어떻게 멀쩡히 생존할까 랭크뉴스 2025.05.18
49349 [단독] 온누리 상품권 17억 원어치 소멸…쥐도 새도 모르게 사라진 캐시백 랭크뉴스 2025.05.18
49348 AI가 음성·이미지에 영상까지 이해…영화 '그녀' 현실화하나 랭크뉴스 2025.05.18
49347 퇴사에 골머리 앓는 기업들…직원 ‘퇴사율’ 낮춰주는 스타트업 뜬다 랭크뉴스 2025.05.18
49346 맞춤형 AI 비서의 마지막 퍼즐, 음성합성 기술[테크트렌드] 랭크뉴스 2025.05.18
49345 오스트레일리아에 한국 여행객이 크게 는 이유는? 랭크뉴스 2025.05.18
49344 "잘못한 학생에 '반성' 가르칠 수 없는 현실"···3인 사제지간 교사들의 교단 진단 랭크뉴스 2025.05.18
49343 ‘보험부채 16조’ KDB생명, 사실상 완전 자본잠식 상태 랭크뉴스 2025.05.18
49342 12개월 미만 여아 항생제 사용, 성조숙증 가능성 높여 랭크뉴스 2025.05.18
49341 24년만에 예금자보호한도 상향···예금 유치경쟁 불 붙을까[경제뭔데] 랭크뉴스 2025.05.18
49340 "메로나랑 똑같네"·"질려서 못 먹어"…화제의 '메론킥' 먹어보니 [신상 언박싱] 랭크뉴스 2025.05.18
49339 송파·서초 매물 석 달 만에 30% 줄어… “갈아타기·외지인 수요 몰려” 랭크뉴스 2025.05.18
49338 음주운전하다 다른 차량 추돌한 교도소 대체복무요원 랭크뉴스 2025.05.18
49337 대통령 이재명·총리 홍준표…밑질 것 없는 ‘브로맨스’[송종호의 여쏙야쏙] 랭크뉴스 2025.05.18
49336 '건보 자격 취득' 내국인 3만여명 줄 동안 중국인 2만7천명 늘어 랭크뉴스 2025.05.18
49335 이재명 "호남은 죽비‥광주, AI 중심도시로" 랭크뉴스 2025.05.18
49334 “회장님 나가시니 확 달라졌다”...남양유업의 ‘부활’ 랭크뉴스 2025.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