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삼성바이오 고점 대비 -15% "황제주도 위태"
셀트리온 "바이오시밀러 오히려 유리할 수도"
약값 인하 경쟁 심화 전망,개별 영향 따져봐야
[서울경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P 연합뉴스


미국 정부가 발표한 1차 상호관세 대상에서 의약품이 제외되면서 한숨을 돌렸던 바이오 시장이 다시 긴장 상태에 들어갔다. 품목별 세부 관세 정책이 예고된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깜짝 약가 인하 행정명령까지 발표하면서 주요 바이오 기업들의 주가 는일제히 약세를 나타내고 있다. 다만 업계에서는 바이오시밀러는 오히려 수혜를 입을 수도 있다는 시각도 있어 향후 정책 세부안에 따라 바이오 업종 내에서도 ‘명암’이 엇갈릴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1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는 이달 12일부터 16일까지 최근 일주일 새 주가가 104만 원에서 100만 2000원으로 3.65% 하락했다. 미국의 고관세 정책의 영향이 비교적 제한적일 것이라고 평가받던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올 1월 ‘황제주(주가가 100만 원 이상인 종목)’에 등극한 뒤 2월 17일 118만 5000원으로 사상 최고가에 올라선 바 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의 돌발 발표에 주가는 100만 원 내외로 고꾸라져 고점 대비 15%가량 하락했다.

같은 기간 셀트리온(068270)(-2.53%), SK바이오팜(326030)(0.33%), 유한양행(000100)(-0.93%) 등도 동반 약세를 보였다. 같은 기간 코스피 지수가 1.92% 상승한 점을 감안하면 저조한 성적이라는 평가다.

제약 종목들이 일제히 약세를 보인 것은 트럼프 대통령의 ‘약가 정상화’ 행정명령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12일(현지시간) 미국 내 처방약 가격을 타국과 동일 수준으로 인하하겠다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미국 보건복지부 장관에게는 30일 내로 최혜국(MFN) 기준에 맞는 약가를 책정하라고 요구했고, 인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정부가 약값을 제한하는 방식으로 대응하겠다는 계획도 덧붙였다.

이번 행정명령은 미국에서 판매되는 처방약 등 의약품의 가격을 30%에서 80%까지 즉각 낮추겠다는 것을 골자로 한다. 실제 미국은 다른 선진국보다 약값이 약 2.6배, 한국과 비교했을 때도 많게는 11배까지 더 비싼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2020년 1기 행정부 때도 최혜국 약가 정책을 추진했지만 제약업계의 반발로 무산된 바 있다. 업계는 미국이 '약가 인하'에 이어 의약품 제조업 강화를 위한 '수입관세 인상'을 계획하고 있는 만큼 기업들에 영향이 적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업계에서는 개별 기업에 미칠 영향을 따져봐야한다는 입장이다. 셀트리온은 13일 공식 입장을 내고, 이번 조치가 바이오시밀러 기업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셀트리온은 “중간 유통(PBM 등) 구조 개선은 당사의 미국 영업 활동에 있어 긍정적인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며 “오리지널 제품 기반의 고수익 제약사들이 구축한 중간 유통 구조와 지배력은 약화될 것으로 전망되며 이는 경쟁을 기반으로 한 바이오시밀러 기업에게 있어 시장 확대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난해 기준 북미 매출이 전체의 25.8%를 차지하고 있다. 관세 부과시 원료의약품이나 중간 제품 이동에 따른 비용 인상 압박이 발생한다. 회사 측은 구체적인 관세 정책이 나온 후 대응하겠다는 입장이다. 전체 매출의 80.1%가 미국 시장에서 발생하는 SK바이오팜은 보다 신중한 입장이다. 뇌전증 치료제 '엑스코프리'가 미국 시장 유일한 성장축인 SK바이오팜은 약가 인하 및 관세 부과시 수익성 타격이 직접적일 수밖에 없다.

이선경 SK증권 연구원은 “세부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이 부재한 상황에서 여러 장벽이 존재해 단기내 약가 실현 가능성이 불투명하다”면서 “직접 구매체계 구축 외에도 유럽 등 선진국들의 불공정한 약가 조정 압박 가능성이 존재해 약가 인하에 따른 제약사 피해는 제한적일 수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희영 대신증권 연구원은 “바이오시밀러는 식품의약국(FDA) 승인 절차 간소화로 개발비용 부담이 줄어드는 효과가 기대되는 반면, 약가 인하 압력과 경쟁 심화 우려가 동시에 존재한다”면서 “행정명령 실행 이후 제약 업계의 강력한 법적 대응, 로비 활동, 외교적 마찰 등 다수의 현실적 제약이 존재해 실제 시행까지는 일정 수준의 시간과 조정이 불가피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233 ‘금호타이어 화재’ 검은 연기 확산…‘두통·목 통증’ 주민들 대피행렬 랭크뉴스 2025.05.17
49232 ‘손흥민 협박’ 남녀에 구속영장 발부…“도주 우려” 랭크뉴스 2025.05.17
49231 [속보] ‘손흥민에 임신 협박’ 20대 여성·40대 남성 구속영장 ‘발부’ 랭크뉴스 2025.05.17
49230 李, 5·18 맞아 호남 표심잡기…"광주, 이재명의 사회적 어머니"(종합) 랭크뉴스 2025.05.17
49229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화재로 생산 전면 중단 랭크뉴스 2025.05.17
49228 [단독] 검찰, '건진법사' 재차 소환… '김건희에 부정청탁 의혹' 등 추궁 랭크뉴스 2025.05.17
49227 '1호 당원' 윤석열 탈당 선언‥사과·반성 없이 "김문수 지지" 랭크뉴스 2025.05.17
49226 "꽃이 예뻐서 길렀는데 불법이라고요?"…60대女 입건된 이유 알고보니 랭크뉴스 2025.05.17
49225 광주 금호타이어 대형 화재…생산 전면 중단·주민들 대피(종합3보) 랭크뉴스 2025.05.17
49224 광주 금호타이어 공장 화재 완진까지 수일···인근 주민들 대피소 이동 랭크뉴스 2025.05.17
49223 비 소식 없는 맑은 일요일...낮 최고기온 18~24도 랭크뉴스 2025.05.17
49222 레오 14세 교황, 내일 즉위미사…팔리움과 어부의반지에 담긴 의미 랭크뉴스 2025.05.17
49221 금남로 5.18 전야제…오월의 노래2·임을 위한 행진곡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5.17
49220 이재명 “윤석열 탈당, 결국 정치 전술…90일 전쯤에 예상했다” 랭크뉴스 2025.05.17
49219 영화 ‘신과함께’ 김용화 감독, 나인원 한남 250억에 매도...4년 만에 175억 차익 랭크뉴스 2025.05.17
49218 ‘5·18 45주년’ 전야제…“윤석열 파면 각별, 폭싹 속았수다” 랭크뉴스 2025.05.17
49217 '강남역 여성 살인' 9년 추모 집회…"더 이상 죽이지 마라" 랭크뉴스 2025.05.17
49216 90대 노모에 얹혀살며 "돈 달라"…깨진 그릇 들고 협박한 50대 딸 랭크뉴스 2025.05.17
49215 이미경 CJ 부회장, 美 영화 명문대 연설 “한국에 첫 멀티플렉스 만들 때 모두가 미쳤다고 했지만 성공” 랭크뉴스 2025.05.17
49214 '지구 최고 높이' 쓰레기장인데...  입산료 2100만 원으로 뛴 '이곳'은? 랭크뉴스 2025.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