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대선까지 단 18일, 국민의힘은 선거 운동 시작 후 연일 윤석열 전 대통령 거취 문제 해결에 난항을 겪고 있습니다.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번 주말까지는 매듭을 지어야 한다"며 오늘 중 윤 전 대통령에게 연락해 탈당 권고를 할 거라고 예고했지만, 아직 뚜렷한 결론을 내지 못한 분위기입니다.

■ 윤석열 전 대통령 탈당 결론, 왜 늦어질까?


대선 승리를 위해 윤 전 대통령과 결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대선 국면 초반부터 당에서 나왔지만, 윤 전 대통령 거취 관련 문제는 여전히 결론이 나지 않은 채 당내 요구만 되풀이되고 있습니다.

당 중앙선대위 소속인 이정현·안철수·양향자 공동선거대책위원장 등은 공개적으로 윤 전 대통령의 탈당을 요구하고 있고, 최종 경선에서 고배를 마신 한동훈 전 대표는 "이번 주 첫 대선 후보 TV 토론회 이전에 김문수 후보의 결단이 필요하다"며 윤 전 대통령과의 절연을 거듭 당에 요구했습니다.

당 지도부에서조차,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은 윤 전 대통령에게 탈당을 권고하겠다는 의지를 재차 내비쳤고, 권성동 원내대표 역시 "윤 전 대통령이 당과 선거를 위해 판단을 하리라고 기대한다"며 자진 탈당에 무게를 실었습니다.

다만, 당사자인 윤 전 대통령의 입장은 일부 측근을 통해 전해질 뿐 뚜렷한 입장이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

국민의힘 윤상현 의원은 "윤 전 대통령은 김 후보의 승리에 가장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뭐든지 하겠다는 생각으로 본인의 거취 문제도 시기와 방법을 따져 당과 긴밀히 협의하겠다는 입장"이라고 전했습니다.

또, 윤 전 대통령 측근으로 분류되는 한 인사는 KBS에 "윤 전 대통령이 당과 협의해 선거에 도움이 되는 쪽으로 따르겠다고 했다"고 전하면서도, "속마음은 탈당 생각이 없는 것 아니겠냐"고 덧붙였습니다.

선거 승리를 위해 결단하겠다는 입장만 전해질뿐, 아직 뚜렷한 결론은 없는 겁니다.

■ 당내에선 '자진 탈당' 기대감뿐…"탈당 없이는 선거 패배"


당내에서 윤 전 대통령의 자진 탈당이 아닌 출당 등 강제 조치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거듭 제기되지만, 내부적으로는 강제 조치가 아닌 자진 탈당에 기대감을 쏟고 있습니다.

한 국민의힘 선대위 관계자는 "윤 전 대통령의 지지자도 적지 않은 만큼, 섣불리 탈당을 권하기는 쉽지 않다"며 "윤 전 대통령 본인이 결심해 주면 좋지 않겠냐"고 했고, 또다른 선대위 관계자 역시 "이 문제가 선거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지 조심스럽다"며 "각자 지켜보는 상황"이라고 말했습니다.

강제 조치에 나설 경우 선거 기간 중 지지층 반발과 당내 내홍이 생길 수 있는 만큼, 강제 조치보다는 윤 전 대통령 스스로 결단해주길 기다리고 있다는 겁니다.

한 국민의힘 선대위 관계자는 " (윤 전 대통령이) 자진 탈당하지 않는다면 선거에서 결국 지는 것 "이라고 우려하기도 했습니다.

또, 강제 출당을 위해서는 당 윤리위원회를 거쳐야 하는데 대선까지 십여 일이 남은 상황에서 절차상 쉽지 않다는 판단도 나옵니다.

■ 말 아끼는 김문수…김용태, '강제 조치' 결단할까?


김 후보는 윤 전 대통령 탈당에 대해 "윤 전 대통령이 판단할 문제"라며 "후보로 나선 제가 '탈당하십시오, 마십시오' 이런 이야기를 하는 건 적절치 않다"는 입장을 반복하며 거리를 두는 모습입니다.

보수 지지층을 의식한 듯 찬성과 반대 중 어느 판단도 내리지 않겠다는 겁니다.

다만, '탈당 권고'를 예고한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 의견에 대해서도 어떠한 입장도 밝히지 않고 있어, 사실상 김 비대위원장 역할에 무게를 실어주고 있는 걸로 보입니다.

김 비대위원장은 "이 문제는 이제 당에 맡겨달라"며 고심에 빠졌습니다. 양향자 공동선대위원장은 "민심보다는 윤심이 먼저였던 당의 잘못된 생각과 비겁한 타성을 타파해달라"며 김 비대위원장을 압박했습니다.

당장 윤 전 대통령이 당 지도부의 자진 탈당 공개 요구에도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는데, 김 비대위원장이 향후 출당 등 강제 조치에 나설지 주목됩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885 요란한 ‘봄비’ 천둥·번개에 우박까지…서울 호우주의보 랭크뉴스 2025.05.17
48884 ‘윤석열 어깨 툭’ 건진법사, ‘무속인 논란’에도 더 커진 영향력?···윤 당선 후 이어진 청탁 문의 랭크뉴스 2025.05.17
48883 준강제추행·사기 혐의 허경영 명예대표 구속…"증거인멸 우려"(종합) 랭크뉴스 2025.05.17
48882 한화세미텍과 갈등 한미반도체…한화 계열사 된 아워홈과 급식 계약 조기 종료 랭크뉴스 2025.05.17
48881 아디다스도 뚫렸다…이름·e메일주소·전화번호 유출 랭크뉴스 2025.05.17
48880 미국 뉴저지주 철도파업…뉴욕 열차 통근객 영향 랭크뉴스 2025.05.17
48879 허경영 구속…준강제추행·사기 혐의 랭크뉴스 2025.05.17
48878 러 "영토 내놔" vs 우크라 "즉각 휴전"… 고위급 회담 90분 만에 종료 랭크뉴스 2025.05.17
48877 선거운동 첫주 내내 '尹탈당' 논란 수렁…김문수 지지율 '비상'(종합2보) 랭크뉴스 2025.05.17
48876 [속보] 허경영 명예 대표 구속…사기·준강제추행 혐의 등 줄줄이 피소 랭크뉴스 2025.05.17
48875 트럼프도 현대차도 달려갔다…중동 ‘바글바글’, 왜? 랭크뉴스 2025.05.17
48874 [단독] 尹 통신기록 봤더니‥오전에 관저에서 전화 랭크뉴스 2025.05.17
48873 [속보] 준강제추행·사기 혐의 허경영 명예대표 구속 랭크뉴스 2025.05.17
48872 이유 없이 한달새 23% 뛴 계란값…정부, 칼 뺀다 랭크뉴스 2025.05.17
48871 러 “우크라와 포로 1000명씩 교환 합의”…각자 휴전안 제시하기로 랭크뉴스 2025.05.17
48870 김문수, ‘5·18 첫 희생자’ 이세종 열사 참배 취소…5·18 단체 반발 랭크뉴스 2025.05.17
48869 서울 기습폭우에 하천 25곳 통행 제한 랭크뉴스 2025.05.17
48868 한미·한화 같은 날 같은 규모 계약한 SK하이닉스...갈등 일단 봉합 랭크뉴스 2025.05.16
48867 러·우크라 협상 90분만에 종료···이견만 확인 랭크뉴스 2025.05.16
48866 이준석 “단일화 진행돼야 한다면 이준석으로” 랭크뉴스 2025.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