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뉴스데스크]
◀ 앵커 ▶

공식선거운동이 시작되자마자 대선주자들이 일제히 찾아갔던 보수 강세지역, 영남 지역의 민심은 어떨까요?

부산, 울산, 경남에선 김문수·이재명 두 후보가 1%포인트 차이로 오차 범위 안에서 접전을 펼치고 있다는 결과도 나왔습니다.

대구·경북에선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3년 전 대선 당시 득표율보다 높은 지지율을 보이는 가운데,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 지지응답이 과반을 기록했는데요.

김상훈 기자입니다.

◀ 리포트 ▶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되고 바로 그다음 달,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달려간 곳은 대구·경북 지역이었습니다.

[이재명/더불어민주당 후보 (지난 13일)]
"'우리가 남이가?' 소리 안 해줍니까? 여러분. 재명이가 남이가?"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도 공식선거 운동 첫날 TK를 찾았고,

[김문수/국민의힘 후보 (지난 12일)]
"여러분 경제를 살리려면 바로 박정희 대통령의 정신 필요하죠. 하면 된다!"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 역시 이 지역에 공을 들였습니다.

[이준석/개혁신당 후보 (지난 13일)]
"앞으로 대구의 미래를 책임질 수 있는 후보는 바로 저 이준석이다."

세 후보들이 대구 경북을 집중 공략했던 시점에 진행된 여론조사에서 대구·경북 지역 응답자들은 52%가 김문수 후보를 찍겠다고 답했고, 27%는 이재명 후보, 9%는 이준석 후보를 지지한다고 답했습니다.

김문수 후보가 과반을 넘기긴 했지만, 지난 대선 70%를 넘었던 윤석열 전 대통령 득표율과 비교하면, 지지층 결집이 다소 약화된 것으로 분석됩니다.

반면, 대구 21.6%, 경북 23.8%를 득표했던 이재명 후보는, 3년 전보다 지지세가 오른 모습이었습니다.

부산·울산·경남에선 김문수 37%, 이재명 36%, 이준석 5%로, 김문수·이재명 두 후보가 오차범위 안에서 접전 양상을 보였습니다.

부산·울산·경남 모두 지난 대선 때 윤 전 대통령 득표율이 과반을 넘겼지만, 김 후보 지지율은 30%대에 머무른 겁니다.

자신의 지지 여부와 상관없이 누가 당선될 것으로 예상하는지 질문에는 대구·경북에서도 이재명 후보라는 응답이 49%로 김문수 후보보다 높았습니다.

민주당은 이 후보가 경북 안동 출신이란 점을 내세워 'TK 30%대 득표율'을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국민의힘은 TK 25개 선거구를 모두 차지하고 있는 소속 의원들을 앞세워 득표율 80%를 목표로 제시했습니다.

MBC뉴스 김상훈입니다.

●조사의뢰 : MBC
●조사기관 : (주)코리아리서치인터내셔널
●조사지역 : 전국
●조사기간 : 2025년 5월 14일~15일 (2일간)
●조사대상 : 전국 만 18세 이상
●조사방법 : 통신 3사 휴대전화 가상(안심)번호 전화면접
●피조사자 선정방법 : 성·연령·지역별 할당
●응답률 : 25.7% (3,904명 중 1,003명)
●가중치값 산출 및 적용방법 : 성·연령·지역별 가중값 부여(셀가중, 2025년 4월 말 행안부 인구통계 기준)
●표본오차 : 95% 신뢰 수준 ±3.1% 포인트
●질문내용 :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2025년 정치·사회현안 여론조사(5차) 결과 보고서]

https://image.imnews.imbc.com/pdf/politics/2025/05/20250516_2.pdf

[2025년 정치·사회현안 여론조사(5차) 통계표]

https://image.imnews.imbc.com/pdf/politics/2025/05/20250516_1.pdf

영상편집: 김민상 / 디자인: 조수진, 성다혜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

MBC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885 요란한 ‘봄비’ 천둥·번개에 우박까지…서울 호우주의보 랭크뉴스 2025.05.17
48884 ‘윤석열 어깨 툭’ 건진법사, ‘무속인 논란’에도 더 커진 영향력?···윤 당선 후 이어진 청탁 문의 랭크뉴스 2025.05.17
48883 준강제추행·사기 혐의 허경영 명예대표 구속…"증거인멸 우려"(종합) 랭크뉴스 2025.05.17
48882 한화세미텍과 갈등 한미반도체…한화 계열사 된 아워홈과 급식 계약 조기 종료 랭크뉴스 2025.05.17
48881 아디다스도 뚫렸다…이름·e메일주소·전화번호 유출 랭크뉴스 2025.05.17
48880 미국 뉴저지주 철도파업…뉴욕 열차 통근객 영향 랭크뉴스 2025.05.17
48879 허경영 구속…준강제추행·사기 혐의 랭크뉴스 2025.05.17
48878 러 "영토 내놔" vs 우크라 "즉각 휴전"… 고위급 회담 90분 만에 종료 랭크뉴스 2025.05.17
48877 선거운동 첫주 내내 '尹탈당' 논란 수렁…김문수 지지율 '비상'(종합2보) 랭크뉴스 2025.05.17
48876 [속보] 허경영 명예 대표 구속…사기·준강제추행 혐의 등 줄줄이 피소 랭크뉴스 2025.05.17
48875 트럼프도 현대차도 달려갔다…중동 ‘바글바글’, 왜? 랭크뉴스 2025.05.17
48874 [단독] 尹 통신기록 봤더니‥오전에 관저에서 전화 랭크뉴스 2025.05.17
48873 [속보] 준강제추행·사기 혐의 허경영 명예대표 구속 랭크뉴스 2025.05.17
48872 이유 없이 한달새 23% 뛴 계란값…정부, 칼 뺀다 랭크뉴스 2025.05.17
48871 러 “우크라와 포로 1000명씩 교환 합의”…각자 휴전안 제시하기로 랭크뉴스 2025.05.17
48870 김문수, ‘5·18 첫 희생자’ 이세종 열사 참배 취소…5·18 단체 반발 랭크뉴스 2025.05.17
48869 서울 기습폭우에 하천 25곳 통행 제한 랭크뉴스 2025.05.17
48868 한미·한화 같은 날 같은 규모 계약한 SK하이닉스...갈등 일단 봉합 랭크뉴스 2025.05.16
48867 러·우크라 협상 90분만에 종료···이견만 확인 랭크뉴스 2025.05.16
48866 이준석 “단일화 진행돼야 한다면 이준석으로” 랭크뉴스 2025.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