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12·3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해 내란 우두머리 혐의 등으로 기소된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지난 12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3차 공판에서 오전 공판을 마치고 법원을 나서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서울경제]

윤석열 전 대통령이 12·3 비상계엄 선포 전후로 국민의힘 추경호 의원, 나경원 의원과 보수 유튜버 고성국씨와 수차례 통화한 사실이 뒤늦게 드러났다.

15일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비상계엄 특별수사단은 윤 전 대통령이 사용하던 일반 휴대전화 통화내역을 확보해 검찰에 넘겼다고 밝혔다.

수사기관이 확보한 통화 내역에 따르면 윤석열 전 대통령은 비상계엄 선포 1시간 뒤 추경호 당시 국민의힘 원내대표, 나경원 의원과 차례로 통화했다. 추 원내대표와는 지난해 12월 3일 오후 11시22분부터 약 1분간 통화했다. 곧이어 나경원 의원에게 전화를 걸어 오후 11시26분부터 약 40초간 통화했다. 이때 국민의힘은 비상계엄 선포에 대응해 비상의총을 소집한 상태였다.

앞서 추 원내대표는 지난 1월 언론 인터뷰에서 전화 내용에 대해 “윤 전 대통령이 담화문에서 밝힌 계엄 선포 배경에 대해 언급했고, 계엄을 미리 알리지 못해 미안하다는 취지의 말이 전부였다”며 “통화 후 당사에서 국회로 의총 장소 변경을 통보하고 의원들과 함께 국회로 이동했다”고 설명한 바 있다. 아울러 국회가 아닌 당사에 있었던 경위에 대해 "처음에는 국회에서 의원총회를 소집했다가 출입이 어렵다고 해서 다시 당사로 장소를 바꿔 이동했고, 그 사이 대통령의 전화를 받은 것"이라며 "직후에 다시 국회 출입이 제한적으로 가능하다고 해서 다시 의총 장소를 국회로 변경하고 국회로 갔다"고 설명했다. 나 의원에게도 “미리 얘기 못 해 미안하다”는 취지로 말했다고 한다.

비상계엄 해제 후에는 국무위원들과 여러 차례 통화했다. 12월 4일 정오쯤 한덕수 전 국무총리의 전화를 받고 약 15분간 통화했다. 낮 1시쯤에는 최상목 전 경제부총리에게 전화를 걸어 약 6분40초간 대화했다. 최 전 부총리와의 전화를 끊은 직후 이상민 전 행안부 장관에게 전화했고, 두 차례에 걸쳐 약 7분간 통화했다.

당시 고용노동부 장관이던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후보에게는 계엄 엿새 뒤인 12월 9일 전화를 걸어 약 3분간 통화했다. 김 후보는 계엄 선포 국무회의에는 참석하지 않았다. 김 후보 측은 이에 대해 "대통령과 국무위원 사이의 통화였던 것으로 보이는데, 통화와 관련해서 특별한 내용은 전혀 기억나지 않는다는 입장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전했다.

보수 유튜버인 고성국씨와도 계엄 선포를 전후해 수차례 통화했다. 고씨는 유튜브 채널 ‘고성국TV’를 운영하며 부정선거 의혹을 앞장서 제기해온 인물이다. 윤 전 대통령은 계엄 해제 사흘 후인 지난해 12월 6일 오후 4시37분~44분 사이에 고씨에게 5회 전화를 걸었다. 고씨는 이날 저녁 유튜브 방송에서 한동훈 전 대표를 집중 성토했다. 윤 전 대통령은 나흘 후인 12월 10일 오전 11시쯤에도 고씨에게 전화를 걸었다.

두 사람은 계엄 선포 2주 전인 11월 21일에도 문자와 전화를 총 4번 주고받았다. 윤 전 대통령이 고씨에게 문자를 보냈고 약 25분 뒤 고씨가 윤 전 대통령에게 전화했다.

경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단은 이날 "(수사과정에서) 윤 전 대통령의 통화내역을 확보했던 것은 맞다"며 "개별적인 내용을 확인해 줄 수는 없다"고 밝혔다.

특수단은 앞서 윤 대통령의 개인 휴대전화에 대한 통신영장을 발부받아 휴대전화 기록을 확보해 검찰에 송치했다. 다만 이 기록은 최근 경찰이 대통령경호처 측으로부터 임의제출받아 확인하려는 비화폰 기록은 아니라고 설명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693 시민단체 “지귀연, 사법부 신뢰 무너뜨려” 공수처 고발 new 랭크뉴스 2025.05.16
48692 하루 10억 번다, 스포츠선수 수입 1위는 호날두…오타니는? new 랭크뉴스 2025.05.16
48691 80년전 3만원에 산 마그나카르타, 알고보니 '300억' 진품이었다 new 랭크뉴스 2025.05.16
48690 대구·경북서 고작 48% “이래선 어렵다”…비상 걸린 국힘 new 랭크뉴스 2025.05.16
48689 美사령관 “주한미군, 北 격퇴만 초점 아냐”…대만 유사시 투입 시사 new 랭크뉴스 2025.05.16
48688 ‘Buldak’·‘훠지멘’ 인기에 월마트 입성한 삼양식품… 1분기 이익률 25% 달성 비결은 new 랭크뉴스 2025.05.16
48687 민주 “부동산 핵심은 공급 확대”…文정부 ‘규제’에는 선 긋기 랭크뉴스 2025.05.16
48686 SKT “찾아가는 유심 교체 서비스 19일 시작…내일 유심 87만 개 입고” 랭크뉴스 2025.05.16
48685 "印해군, 로힝야족 40명 배에서 바다로 밀어내"…유엔 조사 착수 랭크뉴스 2025.05.16
48684 [르포] “보수·진보 뭣이 중하요… 호남 경제 살려주소” 랭크뉴스 2025.05.16
48683 "위자료 46억 지급하라"…'SKT 유심 해킹' 뿔난 9213명 뭉쳤다 랭크뉴스 2025.05.16
48682 [속보]서울시, 화정 아이파크 붕괴사고 HDC현산에 영업정지 1년 랭크뉴스 2025.05.16
48681 “일본도 피해자는 中 스파이”...檢, 가해자 부친에 징역 2년 구형 랭크뉴스 2025.05.16
48680 트럼프에 맞설 ‘신의 한 수’ [The 5] 랭크뉴스 2025.05.16
48679 민주 “尹 통화 내역 담긴 판도라 상자 열려…김문수도 연루”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5.16
48678 “느린 김문수, 도망 다닐 땐 빨랐다”… 설난영 여사, 유튜브 등판 랭크뉴스 2025.05.16
48677 TK 이재명 34%·김문수 48%…PK 李 41%·金 39% 오차범위내[한국갤럽] 랭크뉴스 2025.05.16
48676 서울시, 화정아이파크 붕괴 관련 HDC현산에 영업정지 1년 랭크뉴스 2025.05.16
48675 ‘서부지법 난동’ 취재진 폭행·법원 월담 징역형…“언론 자유 크게 위축” 랭크뉴스 2025.05.16
48674 부산 테마파크 놀이기구 최고점 도달 순간 굉음·진동… 탑승객 18명 '벌벌' 랭크뉴스 2025.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