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부친 이종령 변호사 한국전쟁때 납북후 여태 생사 몰라
정부문서 뒤져 명부 데이터화…"6·25 납북 해결됐다면 전후 납북도 없었을 것"


안보리 회의장서 발언하는 이성의 이사장
[유엔 웹TV 화면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뉴욕=연합뉴스) 이지헌 특파원 = 이성의(77) 6·25전쟁납북인사가족협의회(이하 협의회) 이사장은 "한국전쟁 당시 이뤄졌던 납북인사 문제는 북한에 의한 강제실종의 시초이고, 이 문제가 해결됐더라면 이후 이어져 온 납북 사건들도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공식회의에서 발언하기 위해 15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를 찾은 이 이사장은 이날 연합뉴스와 한 전화 인터뷰에서 이처럼 말했다.

이 이사장은 1950년 한국전쟁 기간 납북된 이종령(1909년생) 변호사의 딸로, 7명의 자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 부친이 납북됐을 당시 이 이사장의 연령은 겨우 18개월이었다.

그는 한국전쟁 중 북한에 납치된 민간인 피해자 가족들의 목소리를 국내외에 전하기 위해 활동하고 있다.

납북자 가족들의 활동은 한국전 당시인 1951년 8월부터 이뤄져 왔다고 이 이사장은 설명했다.

납북인사의 배우자들은 전쟁 중 '6·25사변피랍치인사가족회'를 만들어 자체적으로 구출 활동을 하고 납북자 명부를 제작하기도 하는 등 활발히 활동했다.

그러나 1960년대 남한 사회에 반공 정서가 강해지면서 이후 약 40년간 납북자 문제는 한국 사회에서 잊혔다.

정부가 납북자 문제 해결에 나서기는커녕 북(北)에 가족이 있다는 이유만으로 색안경을 끼고 보던 시절이었다.

그러던 중 지난 2000년 11월 납북인사의 자녀 세대가 주축이 돼 현 협의회를 재결성해 지금까지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이 이사장은 "당시 통일부에 단체 허가를 받으려고 하니 정부에서는 월북인지 납북인지를 어떻게 알고 허가를 내주냐고 했다. 너무 황당했다"라고 오랜 세월 감내해야 했던 좌절감을 털어놨다.

당시 김대중 정부는 남북 관계 화해 기조에 걸림돌이 된다며 북한을 향해 납북자라는 단어를 꺼내쓰지 않았다고 한다.

정부가 나서지 않다 보니 협의회는 스스로 증거자료를 찾아 나섰다고 한다.

그 성과로 1952년 한국 정부가 휴전회담에서 납북자 송환을 요청하기 위하여 작성한 최초의 전국단위 납북자 명부를 중앙도서관 서고에서 발견했다. 여기에는 당시 정부가 작성한 8만2천959명의 명단이 있었다.

이 이사장은 "명부 관련 뉴스 보도가 나간 뒤 과거 공보처 통계국에서 근무했던 사람이 연락해서 명부 작성에 참여했다고 증언했다"며 "전쟁 중에 가가호호 방문해 명부를 만들었다"고 말했다.

이후 강릉대 김명호 교수의 도움으로 1952년 명부와 1950년 서울 지역 피해자 명부(2천438명), 1954년 내무부 명부(1만7천940명) 등을 통합해 총 9만여명의 납북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데 성공했다.

이 이사장은 "북한에 의한 강제 실종이 지속해서 이어져 왔는데 그 시초는 6·25 전쟁"이라며 "6·25 당시 납북 문제가 해결됐다면 전후의 납북 문제를 비롯해 일본, 태국, 루마니아 등지에서 사람들이 북한으로 납치되는 일이 사라졌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이사장은 유엔 북한인권조사위원회(COI)가 북한에서 반인도 범죄가 자행됐다는 점을 규명했음에도 불구하고 후속 조치가 없다며 "책임자에 대한 국제형사재판소(ICC) 제소나 특별재판소 설립과 같은 조치가 있어야 한다"라고 촉구했다.

그는 "윤석열 정부에서 납북자 문제에 굉장히 큰 관심을 가져줬다"면서 차기 정부에서도 납북자 문제에 대한 관심이 지속될 수 있기를 희망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601 [단독] 전야제 거부당한 김문수, 결국 5·18기념식 안 간다 랭크뉴스 2025.05.16
48600 이재명, 3주 만에 13%P 폭등 51%···김문수 29% 이준석 8%[한국갤럽] 랭크뉴스 2025.05.16
48599 [속보] 경찰, '양평고속도로' 김건희 일가 특혜 의혹 강제수사...국토부 등 압수수색 랭크뉴스 2025.05.16
48598 "7월 일본에 대재앙 온다고?"…대지진 예언에 한국 아닌 '이 나라' 난리라는데 랭크뉴스 2025.05.16
48597 “개불 알아요?” 자갈치 아지매가 이준석에게 건넨 조언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5.16
48596 대선후보 지지도 이재명 51%·김문수 29%·이준석 8%[한국갤럽] 랭크뉴스 2025.05.16
48595 "1인당 최대 2만원"…국산 농산물 전품목 2주간 할인한다 랭크뉴스 2025.05.16
48594 경찰, '양평 고속도로 특혜 의혹' 국토부·양평군 압수수색 랭크뉴스 2025.05.16
48593 [속보] 기자·경찰관 폭행, 법원 침입 '서부지법 난동' 4명 징역형 랭크뉴스 2025.05.16
48592 [속보] 경찰, 김건희 일가 양평 고속도로 특혜 의혹 국토부 압수수색 랭크뉴스 2025.05.16
48591 [단독] 헌재, 민주당 추진 재판소원에 찬성... "대법 따르도록 규정해야" 역제안도 랭크뉴스 2025.05.16
48590 경찰, ‘양평고속도로 특혜 의혹’ 국토부 압수수색 랭크뉴스 2025.05.16
48589 배우 황정음, 재판 받았다...왜? 랭크뉴스 2025.05.16
48588 [속보] 경찰, ‘양평고속도로 특혜 의혹’ 국토부·양평군 압색 랭크뉴스 2025.05.16
48587 [단독] 민주, '지귀연 사진' 공개 대신 법원 제공 가닥... 대선 흠집 우려 랭크뉴스 2025.05.16
48586 이재명 51%, 김문수 29%, 이준석 8% [갤럽] 랭크뉴스 2025.05.16
48585 [단독] 검찰, ‘다이아 청탁’ 의혹 통일교 전 간부 전격 소환 랭크뉴스 2025.05.16
48584 김용태 “尹 탈당, 오늘 오후 중 연락할 것” 랭크뉴스 2025.05.16
48583 경찰, ‘양평고속도로 특혜 의혹’ 국토부·양평군 압수수색 랭크뉴스 2025.05.16
48582 대선후보 지지도, 이재명 ‘과반’ 51%…김문수 29%·이준석 8% 랭크뉴스 2025.05.16